KR200446812Y1 -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12Y1
KR200446812Y1 KR20090004022U KR20090004022U KR200446812Y1 KR 200446812 Y1 KR200446812 Y1 KR 200446812Y1 KR 20090004022 U KR20090004022 U KR 20090004022U KR 20090004022 U KR20090004022 U KR 20090004022U KR 200446812 Y1 KR200446812 Y1 KR 200446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rod
grounding
plate
grou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희
조대훈
Original Assignee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봉; 상기 접지봉이 관통된 상태로 접지봉에 고정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방사침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판에는 접지판의 일부분을 접거나 펼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절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지장치에 의하면, 접지판에 절첩부를 구비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지판을 접을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접지장치의 보관이나 운반을 좀 더 용이하게 하며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지, 접지봉, 접지판, 방사침, 절첩부, 보조 접지봉

Description

접지장치{APPARATUS FOR ELECTRIC EARTH}
본 고안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장치의 접지판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절첩부가 구비되며 지중 매설 깊이를 조절하도록 보조 접지봉이 구비된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란 전자기기, 통신장비, 계측장비 등 전기설비 시스템과 피뢰설비의 접지선을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어스(earth)라고도 한다.
이러한 접지는 장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장비에 작용하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서지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 과부하 및 서지전압으로부터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첨단 전자장비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접지는, 보편적으로 저항 값을 작게 하면 유효하므로 저항이 작은 도선(導線)으로 대지에 잇는다. 이로 말미암아 대전도체(帶電導體)의 전위는 대지와 상등하게 '0' 이 되므로 기기에 닿아도 감전되지 않는다. 전기기기의 겉틀이나 피뢰침 등을 접지하는 것은 이 때문인 것이다.
반면, 접지를 제대로 하지 않게 되면 장비에 과부하가 생기거나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기차단기가 오동작 하는 등 장비나 인명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장비로부터 누전이 될 때, 누전차단기가 정격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면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도 발생하게 된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접지장치의 일예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지장치는 전주 하부를 감싸는 접지블록바(10,10a,10b,10c)와, 접지블록바(10,10a,10b,10c)를 전주 외면에 고정결합시키는 좌우측고정블록(20)과, 접지블록바(10,10a,10b,10c)의 접지봉(12)과 통전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며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편(30)과, 접지블록바(10,10a,10b,10c)의 접지봉(12) 상단에 통전고정되는 인하선(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블록바(10,10a,10b,10c)는 전주(50) 하부의 외주연을 사방으로 감싸 4등분되어 평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지편(30)은 긴 삼각형상의 도체인 다수 개 판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접지편(30)은 좌우측고정블록(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별도의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다수의 접지장치를 보관이나 운반할 경우 상당한 적재공간을 필요로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접지장치를 지중에 매설할 때, 그 매설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매설 깊이를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접지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지장치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적재공간을 감소시켜서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좀 더 쉽게 보관이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중 매설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접지장치는, 접지봉; 상기 접지봉이 관통된 상태로 접지봉에 고정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방사침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에는 접지판의 일부분을 접거나 펼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절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절첩부는, 상측이 라운드진 'n'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V'자 단면형상의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첩부와 접지판의 단부 사이의 길이는 절첩부와 접지봉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의 길이방향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방사침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사침의 외면에는 원뿔 형상의 제2 방사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에 형성되는 제1 방사침은, 상기 접지판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접지판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거나, 엠보싱 또는 드로잉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접지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접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접지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봉의 상단에는 접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보조 접지봉이 삽입되어 접지봉과 보조 접지봉이 연결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접지봉과 보조 접지봉이 연결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 접지봉의 단부에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사산부와,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암수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접지장치에 의하면, 접지판에 절첩부를 구비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지판을 접을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접지장치의 보관이나 운반을 좀 더 용이하게 하며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접지봉을 접지봉에 더 연결함으로써 접지장치의 지중 매설 깊이 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와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접지판끼리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의 (a)와 (b)는 도 2의 (a)와 (b)에서의 접지판이 절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에 보조 접지봉이 연결되는 각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는 지중에 설치되어 전기설비 시스템과 피뢰 설비상의 고주파 및 저주파 과도전류를 접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봉(100), 접지판(200) 및 제1 방사침(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봉(100)은 내부가 채워진 봉 형상이거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의 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지봉(100)이 전술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내부에는 산화칼륨, 석회, 마그네슘 등의 무기염류로 조성된 전해질 생성물이 채워지게 되며, 접지봉(100)의 재질은 알루미늄, 동 또는 규산염 등의 진흙으로 조성된 전해질 흡수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접지장치로 유도된 과도전류의 방전을 더욱 신속하게 하며 경제성있게 제조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봉(100)은 동(bronze)으로 이루 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봉(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통기 및 통수 역할을 하도록 각각 통기홀(110)과 통수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접지효율의 증가를 위해 뾰족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접지봉(100)에는 후술하는 제1 방사침(310)이 용접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사침(310)이 부착된 별도의 고리형상의 장착링(130)이 접지봉(100)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접지봉(100)의 상단에는 전기설비 시스템과 피뢰 설비 등에 발생된 과도전류가 유입되도록 외부접지선(400)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지판(200)은 접지봉(100)이 관통되면서 접지봉(10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접지봉(100)과 마찬가지로 재질이 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접지판(200)은 접지저항, 보폭전압 및 접촉전압 등의 접지성능과의 상관 관계에 의해, 그 폭은 100mm~150mm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1500mm~2400mm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상기한 수치의 범위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1 방사침(310)은 상기 과도전류의 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지판(200)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방사침(310)은 접지판(200)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접지판(200)에 용접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침(310)은 엠보싱 또는 드로잉 등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접지판(2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접지판(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제1 방사침(310)의 외면에는 접지장치의 접지 효율을 상승시키도록 원뿔 형상의 또 다른 제2 방사침(320)이 용접 등을 통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를 보면 상기 제1 방사침(310)은 접지판(2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접지판(200)의 측면 및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제1 방사침(310)이 접지판(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장치가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매설되는 경우에 한해서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접지판(200)은 과도전류의 방전 효율 상승을 위해 양단부의 측면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접지판(200)은 접지봉(100)에 유입된 과도전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삽입홀(2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홀(210)에 접지봉(100)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지판(200)은 전기 저항성을 최소화하도록 용접 등을 통해 접지봉(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지봉(100)의 외면에 대하여 삽입홀(210)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접하도록 접지봉(100)은 접지판(200)에 강제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지판(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봉(100)으로 유도된 과도전류가 접지봉(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방사(放射)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판(200)의 접지 효율을 좀 더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간의 교차각이 90도를 이루도록 접지판(200)이 2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접지판(200)이 반드시 별도의 복수개로 구비되어 접지봉(100)에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접지판(200)은 대략 '
Figure 112009020842009-utm00002
'자 형상을 가지도록 블랭킹 등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접지판(200)은 상호간에 먼저 결합된 후, 결합된 접지판(200) 결합품의 삽입홀(210)에 접지봉(100)을 관통시키고 이어서 연결부위를 용접함에 의해 접지봉(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2개의 접지판(200)의 선(先)결합 즉, 상호간의 용접 결합을 좀 더 용이하게 하도록 제1 접지판(220)과 제2 접지판(230)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은, 제1 접지판(2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21)와, 제1 접지판(220)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 접지판(23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돌출부(221)와 대응 결합하는 제2 오목홈(231)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특징적인 요소인 접지판(200)과 접지봉(100)에 대해 좀 더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접지판(2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장치의 운반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접지판(200)에는 접지판(200)의 일부분을 접거나 펼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절첩부(500)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절첩부(500)가 형성된 부분을 접을 수 있으며, 접지장치의 지중 설치시에는 절첩부(500)가 형성된 부분을 펼쳐서 접지판(200)이 방사형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절첩부(500)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단면 형상의 오목홈(510)으로 이루어지거나,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라운드진 'n'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목홈(510)은 접지판(20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절첩부(500)가 상측이 라운드진 'n'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전술한 오목홈(51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절첩부(500)가 형성된 부분의 접지판(200)의 두께가 감소하지 않으므로 접지판(200)의 절첩 시 접지판(200)이 파단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첩부(500)가 접힌 상태의 접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적재 공간을 감소시키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기 절첩부(500)는 접지판(200)의 단부보다 접지봉(100)에 더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첩부(500)와 접지판(200) 단부 사이의 길이는 절첩부(500)와 접지봉(100)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상기 접지봉(100)에 대해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접지봉(100)에는 길이방향으로 보조 접지봉(60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봉(100)의 상단에는 접지봉(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40)에 보조 접지봉(600)이 강제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호간에 접촉하는 관통홀(140)의 내주면과 보조 접지봉(600)의 외면 사이에는 균일하고 충분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봉(100)의 상단에는 접지봉(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며,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접지봉(100)과 보조 접지봉(60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보조 접지봉(600)의 단부에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611)이 형성되는 제1 나사산부(610)와, 상기 관통홀(140)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611)과 암수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나사산(621)이 형성되는 제2 나사산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봉(100)과 보조 접지봉(60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호 간을 연결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나사산(611)과 제2 나사산(621) 사이에는 전기 저항성을 최소화하도록 균일하고 충분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덧붙여, 전술한 두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모두 접지봉(100)과 보조 접지봉(600)의 연결부위는 접지봉(100)으로 유도된 과도전류의 효율적인 방전을 위한 전기 저항성의 최소화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용접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와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접지판끼리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의 (a)와 (b)는 도 2의 (a)와 (b)에서의 접지판이 절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상태도.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에 보조 접지봉이 연결되는 각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접지봉 110: 통기홀
120: 통수홀 130: 장착링
140: 관통홀 200: 접지판
210: 삽입홀 220: 제1 접지판
221: 제1 돌출부 230: 제2 접지판
231: 제2 오목홈 310: 제1 방사침
320: 제2 방사침 400: 외부접지선
500: 절첩부 510: 오목홈
600: 보조 접지봉 610: 제1 나사산부
611: 제1 나사산 620: 제2 나사산부
621: 제2 나사산

Claims (9)

  1. 접지봉;
    상기 접지봉이 관통된 상태로 접지봉에 고정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방사침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에는 접지판의 일부분을 접거나 펼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절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절첩부는,
    상측이 라운드진 'n'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V'자 단면형상의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와 접지판의 단부 사이의 길이는 절첩부와 접지봉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의 길이방향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침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사침의 외면에는 원뿔 형상의 제2 방사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에 형성되는 제1 방사침은,
    상기 접지판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접지판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거나, 엠보싱 또는 드로잉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접지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접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접지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의 상단에는 접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보조 접지봉이 삽입되어 접지봉과 보조 접지봉이 연결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접지봉과 보조 접지봉이 연결되되,
    상기 별도의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 접지봉의 단부에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사산부와,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암수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9. 삭제
KR20090004022U 2009-04-07 2009-04-07 접지장치 KR200446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022U KR200446812Y1 (ko) 2009-04-07 2009-04-07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022U KR200446812Y1 (ko) 2009-04-07 2009-04-07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12Y1 true KR200446812Y1 (ko) 2009-12-03

Family

ID=4605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4022U KR200446812Y1 (ko) 2009-04-07 2009-04-07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1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70B1 (ko) * 2011-07-20 2011-12-01 선광엘티아이(주) 이중 방사형 접지봉
KR101358916B1 (ko) 2013-10-15 2014-02-06 선광엘티아이(주) 전위방전판을 구비한 접지봉
KR101496987B1 (ko) * 2013-11-07 2015-03-02 한국산업은행 차량용 피뢰 접지장치
CN106684585A (zh) * 2017-01-23 2017-05-17 武汉昱仝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纤维石墨接地体及其制作方法
CN109301525A (zh) * 2018-11-08 2019-02-01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博尔塔拉供电公司 便携伸缩式接地针
CN110212320A (zh) * 2019-06-18 2019-09-06 国家电网有限公司 接地线装置
CN110931994A (zh) * 2019-12-03 2020-03-27 烽火海洋网络设备有限公司 一种高硅铸铁电极及端站海洋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5240A (ja) * 2003-06-11 2005-01-06 Sankosha Corp 接地体
KR200387578Y1 (ko) 2005-03-30 2005-06-20 한국엑스아이티주식회사 판형 접지장치
JP2005317300A (ja) 2004-04-28 2005-11-10 Sankosha Corp 接地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54336B1 (ko) * 2008-02-20 2008-08-26 제일엔지니어링 (주) 배전 전주용 접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5240A (ja) * 2003-06-11 2005-01-06 Sankosha Corp 接地体
JP2005317300A (ja) 2004-04-28 2005-11-10 Sankosha Corp 接地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87578Y1 (ko) 2005-03-30 2005-06-20 한국엑스아이티주식회사 판형 접지장치
KR100854336B1 (ko) * 2008-02-20 2008-08-26 제일엔지니어링 (주) 배전 전주용 접지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70B1 (ko) * 2011-07-20 2011-12-01 선광엘티아이(주) 이중 방사형 접지봉
KR101358916B1 (ko) 2013-10-15 2014-02-06 선광엘티아이(주) 전위방전판을 구비한 접지봉
KR101496987B1 (ko) * 2013-11-07 2015-03-02 한국산업은행 차량용 피뢰 접지장치
US9318889B2 (en) 2013-11-07 2016-04-19 The Korea Development Bank Lightning protection and grounding device for vehicle
CN106684585A (zh) * 2017-01-23 2017-05-17 武汉昱仝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纤维石墨接地体及其制作方法
CN109301525A (zh) * 2018-11-08 2019-02-01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博尔塔拉供电公司 便携伸缩式接地针
CN110212320A (zh) * 2019-06-18 2019-09-06 国家电网有限公司 接地线装置
CN110212320B (zh) * 2019-06-18 2020-06-19 国家电网有限公司 接地线装置
CN110931994A (zh) * 2019-12-03 2020-03-27 烽火海洋网络设备有限公司 一种高硅铸铁电极及端站海洋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812Y1 (ko) 접지장치
CN202454738U (zh) 用于电力设备的接地桩
WO2014133234A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20080002638U (ko) 스크루형 접지장치
KR101031061B1 (ko)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KR200230702Y1 (ko) 접지 임피던스 및 접지저항 감소형 접지장치
KR200387578Y1 (ko) 판형 접지장치
KR101237431B1 (ko) 망형 접지판
KR100617900B1 (ko) 침 장착형 접지장치
KR100852473B1 (ko) 탄소접지봉
KR101234047B1 (ko) 전해질 저 저항 탄소접지봉
KR100582192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KR200442926Y1 (ko) 래더 접지장치
CN203589645U (zh) 立母线支撑装置
KR200206713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
CN205752597U (zh) 一种防雷接地系统
US20140083730A1 (en) Ground electrode with magnetic coupler
KR20080029722A (ko) 서지 전위 저감 접지장치
CN206697629U (zh) 一种机电一体化用快速电连接结构
KR200433797Y1 (ko) 서지 전위 저감 접지장치
CN108923155A (zh) 一种通过局部形变改变插孔距离的插座
KR101095668B1 (ko) 맨홀의 외부 접지 구조
KR200442925Y1 (ko) 어레이 접지장치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KR200295179Y1 (ko) 방전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