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179Y1 - 방전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방전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179Y1
KR200295179Y1 KR2020020025902U KR20020025902U KR200295179Y1 KR 200295179 Y1 KR200295179 Y1 KR 200295179Y1 KR 2020020025902 U KR2020020025902 U KR 2020020025902U KR 20020025902 U KR20020025902 U KR 20020025902U KR 200295179 Y1 KR200295179 Y1 KR 200295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discharge
lead wire
rod
grou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오
Priority to KR2020020025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179Y1/ko

Link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에 매설된 접지봉에 연결된 리드선을 지상시설물과 연결하여 낙뢰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서지전류를 지중으로 보내어 방전시킬 수 있는 방전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는 접지봉(10)과 리드선(14)이 십자형 슬리브(16)를 매개로 동일선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접지봉(10)과 수직을 이루는 또 하나의 접지봉(10′)이 상기 슬리브(16)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서지전류가 상기 접지봉(10,10′)에 각각 분기됨으로써 임펄스임피던스를 저감시키고 접지저항을 줄여서 방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전접지장치 {An earth devise for discharging}
본 고안은 방전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에 매설된 접지봉에 연결된 리드선을 지상시설물과 연결하여 낙뢰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서지전류를 지중으로 보내어 방전시킬 수 있는 방전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전접지장치는 낙뢰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흐르는 고용량의 서지전류를 빠른 시간내에 지중으로 보내어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전접지장치는 시설물에 설치된 피뢰침에 리드선을 연결하거나 철골구조물에 직접 리드선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전접지장치는 낙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일반 건축물을 비롯하여 송전선철탑, 발전기기, 방송통신용 레이더 등 산업시설 전반에 걸쳐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전접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10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방전침(102)이 방사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접지봉(100)과 나란하게 방전침(102′)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 끝단에 서지를 전달하는 리드선(104)이 연결되어 있다. 방전침(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2a)을 매개로 접지봉(100)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드선(10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재질의 연결부재(106)를 매개로 접지봉(100)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06)는 일측에 접지봉단자홀(106a)이 형성되고, 타측에 리드선단자홀(106b)이 형성되어, 리드선(104)을 상기 리드선단자홀(106b)에 삽입시키고 접지봉단자홀(106a)에 삽입시킨 후 유압 클랩핑장치로 압착시켜서 접지봉(100)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전접지장치는 길이가 긴 일자형 접지봉(100)의 선단에 리드선(104)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서지전류가 리드선(104)과 연결된 부분에서 방전침(102)을 통하여 방전하는데, 서지전류의 방전량이 접지봉(104)의 앞쪽부위와 접지봉(104)의 뒤쪽부위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되므로 방전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방전접지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전봉의 구조를 변경하여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전접지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지봉에 다수의 방전침이 설치되고, 상기 접지봉과 시설물 사이에 리드선이 연결되어 그 리드선으로 낙뢰로 인한 서지전류를 받아서 지중으로 방전하도록 구성된 방전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과 리드선이 십자형 슬리브를 매개로 동일선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접지봉과 수직을 이루는 또 하나의 접지봉이 상기 슬리브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서지전류가 상기 접지봉에서 각각 분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과 리드선은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매설하여 접지저항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는 리드선과 연결된 방전봉이 T자형으로 되어 리드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서지전류를 분기시킴으로써 임펄스 임피던스값을 줄여서 설비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방전접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방전접지장치의 접지선 접속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방전접지장치의 방전침 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의 접지봉에 접지선 접속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접지봉 12,12′: 방전침
14 : 리드선 16 : 십자형 슬리브
18 : 열수축튜브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의 접지봉에 접지선 접속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10,10′)과, 이 접지봉(10,10′)에 서지전류를 인도하는 리드선(14)과, 상기 접지봉(10,10′)과 리드선(14)을 접촉되게 고정시키는 십자형 슬리브(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매설되는 수직 접지봉(10)과 수평 접지봉(10′)으로 나뉘어 진다. 이 들 접지봉(10,10′)에는 원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다수의 방전침(12)이 설치되어 있고, 끝단에는 접지봉(10)과 나란하게 방전침(12′)이 캡(12a)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수직 접지봉(10)은 십자형 슬리브(16)의 하단에 배설되고, 상기 수평 접지봉(10′)은 상기 수직 접지봉(10)에 직교하게 십자형 슬리브(16)의 좌우로 돌출되게 배설되어 있다. 물론, 십자형 슬리브(16)의 상단에는 리드선(14)이 상기 수직/수평 접지봉(10,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선(14)을 통해 전달되는 서지전류가 상기 수직/수평 접지봉(10,10′)에 분기되어 방전침(12,12′)을 통하여 지중으로 방전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십자형 슬리브(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리드선(14)과 접촉되게 수직/수평 접지봉(10,10′)을 배치한 후 유압클램핑장치를 통해서 상기 수직/수평 접지봉(10,10′)과 리드선(14)이 흔들리지 않게 견고히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선(14)은 십자형 슬리브(16)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수평 접지봉(10,10′)의 연결부위까지 압착되게 고정됨으로써 접촉저항을 줄이 수 있게 된다. 십자형 슬리브(16)는 표면에 열수축튜브(18)가 씌워져 부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상기 수직/수평 접지봉(10,10′)과 리드선(14)의 연결부위를 압착하여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리드선(14)과 연결된 방전봉(10,10′)이 T자형으로 되어 리드선(14)을 통하여 전달되는 서지전류를 분기시킴으로써 임펄스 임피던스값을 줄이고 동시에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전접지장치에 의하면, 서지전류가 T자형 방전봉에서 분기되어 지중으로 방전됨으로써 임펄스 임피던스값을 줄이고 동시에 방전효율을 높여서 시설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전봉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방전봉과 리드선이 연결되는 부위를 십자형 슬리브로 견고히 연결됨으로써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접지봉(10)에 다수의 방전침(12)이 설치되고, 상기 접지봉(10)과 시설물 사이에 리드선(14)이 연결되어 그 리드선(14)으로 낙뢰로 인한 서지전류를 받아서 지중으로 방전하도록 구성된 방전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10)과 리드선(14)이 십자형 슬리브(16)를 매개로 동일선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접지봉(10)과 수직을 이루는 또 하나의 접지봉(10′)이 상기 슬리브(16)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서지전류가 상기 접지봉(10,10′)에서 각각 분기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접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10)과 리드선(14)이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되게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접지장치.
KR2020020025902U 2002-08-30 2002-08-30 방전접지장치 KR200295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02U KR200295179Y1 (ko) 2002-08-30 2002-08-30 방전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02U KR200295179Y1 (ko) 2002-08-30 2002-08-30 방전접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758A Division KR20040020228A (ko) 2002-08-30 2002-08-30 방전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179Y1 true KR200295179Y1 (ko) 2002-11-18

Family

ID=7312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02U KR200295179Y1 (ko) 2002-08-30 2002-08-30 방전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1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4B1 (ko) * 2002-09-13 2004-12-03 주식회사 티지오 띠접지장치
KR101210057B1 (ko) * 2011-09-02 2012-12-07 함영수 서지 방전용 탄소접지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4B1 (ko) * 2002-09-13 2004-12-03 주식회사 티지오 띠접지장치
KR101210057B1 (ko) * 2011-09-02 2012-12-07 함영수 서지 방전용 탄소접지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4483A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necting of mult-wire cabling to surge protectors
US4719315A (en) Cable connectors
CN107069646B (zh) 一种便于剥线的防折断的弱电缆线接线盒
KR200295179Y1 (ko) 방전접지장치
US4733464A (en) Cable connectors
KR20040020228A (ko) 방전접지장치
CN105356074A (zh) 一种钎焊铜铝过渡压接线夹
KR100458944B1 (ko) 띠접지장치
KR200298684Y1 (ko) 띠접지장치
KR200206713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
CN212323726U (zh) 一种野战用综合防雷系统
CN211957958U (zh) 一种防雷接地器用安装装置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KR101222871B1 (ko) 접지선용 서지 방전체
CN210665825U (zh) 一种便于接地电阻测试的杆塔接地引下装置
JP6689794B2 (ja) リッツ線の端子接続部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KR200366574Y1 (ko) 서지방전봉
KR200375219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의 방전침 결합 구조
CN205960228U (zh) 一种角钢石墨接地体复合接地极
CN205960229U (zh) 一种柔性石墨防雷接地体复合接地引下线
KR100617900B1 (ko) 침 장착형 접지장치
CN204760558U (zh) 多配内导体射频连接器
KR200391837Y1 (ko) 접지시스템
CN217823331U (zh) 一种新型铜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