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473B1 - 탄소접지봉 - Google Patents

탄소접지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473B1
KR100852473B1 KR1020080002119A KR20080002119A KR100852473B1 KR 100852473 B1 KR100852473 B1 KR 100852473B1 KR 1020080002119 A KR1020080002119 A KR 1020080002119A KR 20080002119 A KR20080002119 A KR 20080002119A KR 100852473 B1 KR100852473 B1 KR 10085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body
rod
conductive
conducti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현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 나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 나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0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제1도전봉이 함유된 탄소접지봉의 몸체 측면에 금속의 제2도전봉을 제1도전봉에 접촉되도록 함입시킴으로써 제1도전봉으로 유도된 뇌전류를 탄소몸체보다 전도율이 좋은 제2도전봉으로 신속히 유도시켜 빠르게 뇌전류를 대지로 방유시킬 수 있는 탄소접지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소접지봉은 탄소로 구성되며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탄소몸체와; 상기 탄소몸체를 관통되며 일단이 피뢰도선에 연결된 제1도전봉과; 일단이 상기 탄소몸체의 측면에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탄소몸체의 내부에 함입된 제1도전봉에 접촉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제2도전봉을 구비하는 통상의 탄소접지봉에 있어서, 상기 탄소몸체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소몸체에는 상기 체결구와 결속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접지봉, 관통공, 피뢰도선, 접지봉, 도전봉, 덮개

Description

탄소접지봉{A EARTH ROD OF BEING COMPOSED OF CABON}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제1도전봉이 함유된 탄소접지봉의 몸체 측면에 금속의 제2도전봉을 제1도전봉에 접촉되도록 함입시킴으로써 제1도전봉으로 유도된 뇌전류를 탄소몸체보다 전도율이 좋은 제2도전봉으로 신속히 유도시켜 빠르게 뇌전류를 대지로 방유시킬 수 있는 탄소접지봉에 관한 것이다.
또한, 탄소몸체의 일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뇌전류가 관통공을 따라 흐를때에 내부 공기와의 전위차로 인하여 스파크 방전을 유도하여 뇌전류에 포함된 전하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탄소접지봉에 관한 것이다.
낙뢰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전되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낙뢰는 높은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지상의 각종 시설물을 파괴하므로 각 시설물은 이 에너지를 지상으로 방전하도록 함으로써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설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낙뢰를 유도하는 피뢰도선과 피뢰도선으로부터 유도된 낙뢰가 지상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접지봉이 개발되었다.
접지봉은 아연도금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접지성능이 있는 막대기모양 등을 사용하여 접지저항이 10Ω 이하가 되도록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지봉은 양도체인 흑연을 비롯하여 시멘트 및 모래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되므로 전도성을 띠게되나, 특히 수분이 적고 협소한 사토나 암반지역에 장기간 사용시 쉽게 깨지거나 부스러져 원형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422395호에서는 축선에 대해 점대칭으로 복수의 관통공(7)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단면 육각형의 탄소봉 몸체(5)와, 탄소봉 몸체(5)의 축선 상에 동축상으로 삽입되어 있는 동봉(3)을 포함하는 탄소접지봉을 제시하였다. 이때, 관통공의 내부에 토양을 충진시켜 토양과의 접지면적을 최대화하여 다량의 전하가 토양으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422395호의 탄소접지봉은 관통공에 토양이 충진되어 토양에 접지하는 면적은 증가시킬 수 있었으나, 전하의 전달은 관통공 내부의 토양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직접 접지봉 외부의 토양에 접지되어 소진되는 것에 비하여 전하 배출량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제1도전봉이 함유된 탄소접지봉의 몸체 측면에 금속의 제2도전봉을 제1도전봉에 접촉되도록 함입시킴으로써 제1도전봉으로 유도된 뇌전류를 탄소몸체보다 전도율이 좋은 제2도전봉으로 신속히 유도시켜 빠르게 뇌전류를 대지로 방유시킬 수 있는 탄소접지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몸체의 일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뇌전류가 관통공을 따라 흐를때에 내부 공기와의 전위차로 인하여 스파크 방전을 유도하여 뇌전류에 포함된 전하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탄소접지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탄소접지봉은 탄소로 구성되며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탄소몸체와; 상기 탄소몸체를 관통되며 일단이 피뢰도선에 연결된 제1도전봉과; 일단이 상기 탄소몸체의 측면에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탄소몸체의 내부에 함입된 제1도전봉에 접촉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제2도전봉을 구비하는 통상의 탄소접지봉에 있어서,
상기 탄소몸체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소몸체에는 상기 체결구와 결속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탄소접지봉은 길이방향으로 제1도전봉이 함유된 탄소접지봉의 몸체 측면에 금속의 제2도전봉을 제1도전봉에 접촉되도록 함입시킴으로써 제1도전봉으로 유도된 뇌전류를 탄소몸체보다 전도율이 좋은 제2도전봉으로 신속히 유도시켜 빠르게 뇌전류를 대지로 방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소몸체의 일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뇌전류가 관통공을 따라 흐를때에 내부 공기와의 전위차로 인하여 스파크 방전을 유도하여 뇌전류에 포함된 전하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100)은 탄소로 구성되며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탄소몸체(110)로 형성된다.
탄소몸체(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단이 피뢰도선(미도시)과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탄소몸체(110)를 관통한 후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제1도전봉(120)과, 탄소몸체(110)의 일측에 탄소몸체(110)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111) 및 일단이 탄소몸체(110)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이 탄소몸체(110)의 내부에 함입되는 다수개의 제2도전봉(130)이 형성된다.
제1도전봉(120) 및 제2도전봉(130)은 전도율이 높은 은, 알루미늄, 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동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 개의 제2도전봉(130) 모두는 각각 제1도전봉(120)과 개별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제2도전봉(130) 중의 어느 하나가 제1도전봉(120)과 접촉되고 다른 제2도전봉들이 각각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관통공(111)은 탄소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수 개를 형성함으로써 방전공간을 넓힐 수 있다. 또한, 관통공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접지봉의 제1도전봉(120)에 낙뢰전류가 인가되면 낙뢰전류의 일부는 탄소몸체(110)를 관통하는 제1도전봉을 따라 흐르고 제1도전봉에 접하는 대지를 따라 방류된다.
또한, 낙뢰전류의 일부는 제1도전봉에 접촉된 탄소몸체(110)를 따라 제1도전봉으로부터 낙뢰전류를 제공받아 탄소몸체(110)의 표면을 덮고 있는 대지로 방류된다.
한편, 낙뢰전류의 일부는 제1도전봉(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도전봉에 연결된 제2도전봉을 따라 이동하며 탄소몸체의 외부로 돌출된 제2도전봉의 타단을 따라 대지로 방류된다. 이때, 제1도전봉 및 제2도전봉(130)은 탄소몸체(110)보다 더 높은 전도율을 가지므로 제1도전봉(120) 및 제2도전봉()으로 유입된 낙뢰전류는 탄소몸체보다 더욱 빠르게 대지로 방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소몸체의 표면으로 이동되는 낙뢰전류의 일부는 관통공(111)의 표면으로 유입되면 관통공의 표면과 내부 공기간의 전위차가 발생되어 스파크 방전이 발생되어 급속하게 소진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200)은 탄소몸체(210)의 일측에 체결돌기(212)를 형성하고 제1도전봉(220)이 탄소몸체(210)에 함입되기 시작하는 면에 일면을 제1도전봉(220)이 관통하는 덮개부(240)를 형성하며, 덮개부(240)는 일측에 체결돌기(212)와 결속하는 체결구(241)를 형성한다.
이 때, 체결구(241)는 수 개를 덮개부(240)에 형성하고 탄소몸체(210)에는 이와 결속되는 수 개의 체결돌기(212)를 형성하여 덮개부(240)와 탄소몸체(210)의 결속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240)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돔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240)는 덮개부(240) 내를 꽉채운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내부를 빈 공간으로 두어 덮개부의 표면적을 통해 스파크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방전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240)는 낙뢰의 전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 동, 알루미늄, 은 또는 탄소몸체와 동일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덮개부(240)는 비록 탄소몸체(210)의 상부에만 덮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하부의 관통공(211)을 보호하기 위해 하부에도 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의 구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종래의 탄소접지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접지봉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탄소접지봉 110: 탄소몸체
111: 관통공 120: 제 1 도전봉
130: 제 2 도전봉 212: 체결돌기
240: 덮개부 241: 체결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탄소로 구성되며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탄소몸체와; 상기 탄소몸체를 관통되며 일단이 피뢰도선에 연결된 제1도전봉과; 일단이 상기 탄소몸체의 측면에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탄소몸체의 내부에 함입된 제1도전봉에 접촉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제2도전봉을 구비하는 통상의 탄소접지봉에 있어서,
    상기 탄소몸체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소몸체에는 상기 체결구와 결속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접지봉.
KR1020080002119A 2008-01-08 2008-01-08 탄소접지봉 KR10085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119A KR100852473B1 (ko) 2008-01-08 2008-01-08 탄소접지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119A KR100852473B1 (ko) 2008-01-08 2008-01-08 탄소접지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473B1 true KR100852473B1 (ko) 2008-08-14

Family

ID=3988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119A KR100852473B1 (ko) 2008-01-08 2008-01-08 탄소접지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4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37B1 (ko) 2008-12-23 2009-04-24 (주) 나라기술단 탄소접지블럭
KR101089496B1 (ko) 2010-07-20 2011-12-02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전도성이 우수한 고효율 접지봉
KR101824070B1 (ko) * 2016-11-24 2018-01-31 서정아 접지설비 부식방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1Y1 (ko) 1999-07-28 2000-02-15 주식회사영일전기 접지봉
KR200257089Y1 (ko) * 2001-09-27 2001-12-29 주식회사 디엠테크 전주용 접지극
KR200302447Y1 (ko) 2002-12-23 2003-02-05 동양산전 주식회사 접지판의 구조
KR200340357Y1 (ko) 2003-10-21 2004-02-05 (주)신원전기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KR100431978B1 (ko) 2002-05-31 2004-05-24 김홍삼 접지공사재료인 원통형 직선봉
KR100558334B1 (ko) 2003-09-01 2006-03-10 김홍삼 원통형 심타 접지봉
KR20060081320A (ko) * 2005-02-04 2006-07-12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탄소 저저항 접지 모듈과 그 제조방법
KR100681450B1 (ko) 2006-04-12 2007-02-09 김유정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1Y1 (ko) 1999-07-28 2000-02-15 주식회사영일전기 접지봉
KR200257089Y1 (ko) * 2001-09-27 2001-12-29 주식회사 디엠테크 전주용 접지극
KR100431978B1 (ko) 2002-05-31 2004-05-24 김홍삼 접지공사재료인 원통형 직선봉
KR200302447Y1 (ko) 2002-12-23 2003-02-05 동양산전 주식회사 접지판의 구조
KR100558334B1 (ko) 2003-09-01 2006-03-10 김홍삼 원통형 심타 접지봉
KR200340357Y1 (ko) 2003-10-21 2004-02-05 (주)신원전기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KR20060081320A (ko) * 2005-02-04 2006-07-12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탄소 저저항 접지 모듈과 그 제조방법
KR100610604B1 (ko) * 2005-02-04 2006-08-09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탄소 저저항 접지 모듈과 그 제조방법
KR100681450B1 (ko) 2006-04-12 2007-02-09 김유정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37B1 (ko) 2008-12-23 2009-04-24 (주) 나라기술단 탄소접지블럭
KR101089496B1 (ko) 2010-07-20 2011-12-02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전도성이 우수한 고효율 접지봉
KR101824070B1 (ko) * 2016-11-24 2018-01-31 서정아 접지설비 부식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440616B1 (ko) 피뢰장치
KR100852473B1 (ko) 탄소접지봉
CN111247876A (zh) 雷击抑制型避雷装置
KR100605533B1 (ko) 유도방전 표피판을 구비한 접지봉
KR20080001607A (ko) 피뢰 장치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0446812Y1 (ko) 접지장치
KR101061472B1 (ko) 접지장치 및 접지블록
KR200422796Y1 (ko) 심타형 다용도 접지봉
KR100858354B1 (ko) 나선형 도전선을 구비한 전력설비 및 정보통신용 접지봉
CN110100504B (zh) 落雷抑制型避雷装置
KR101597356B1 (ko) 시트형 접지판
KR101234047B1 (ko) 전해질 저 저항 탄소접지봉
KR101506650B1 (ko) 다중 방사형 전해질 접지봉
JP6659046B2 (ja) 落雷抑制型避雷装置
KR100998316B1 (ko) 전기 쌍극자 방식과 방전 유도 기능을 이용한 정전분산 공간전하의 다량의 스트리머 방출 피뢰침
KR101145226B1 (ko) 방전 유도판이 구비된 아크 방전용 접지봉
RU178215U1 (ru) Молниеотвод
KR100709145B1 (ko) 방전접지장치
KR200419525Y1 (ko) 접지봉용 서지링
JP5642487B2 (ja) 接地棒
KR101358916B1 (ko) 전위방전판을 구비한 접지봉
KR102240897B1 (ko) 2중 복합열선에 의한 전자기장 억제 기능을 갖는 매설형 전기온돌 장치
KR100930992B1 (ko) 복합형 접지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