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447Y1 - 접지판의 구조 - Google Patents

접지판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447Y1
KR200302447Y1 KR20020038121U KR20020038121U KR200302447Y1 KR 200302447 Y1 KR200302447 Y1 KR 200302447Y1 KR 20020038121 U KR20020038121 U KR 20020038121U KR 20020038121 U KR20020038121 U KR 20020038121U KR 200302447 Y1 KR200302447 Y1 KR 200302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late
ground
reducing agent
adapter
chemical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38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웅
Original Assignee
동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20038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접지판의 중앙에 접지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학저감제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을 부가하여 이를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하면서 시공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접지판의 주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적인 구성은 등간격으로 보강살(3)이 배설된 횡봉(1)의 양단부에는 내주연에 암나선부(4a)가 형성되어있는 어댑터(4)가 고정 장착된 접지봉(5)과, 상기 접지봉(5)의 외표면에 전압저감효과가 우수한 여러 재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두께로 피복시킨 직방형체의 전도층(7)을 포함하는 접지판(10)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3)과 타측 외주연에는 숫나선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4)에 탈부착되는 체결부재(15)와, 상기 체결부재(15)의 삽입공(13)에 일체로 결합되어 커버(16)로 피복되는 리드선(20)으로 구성된 통상의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횡봉(1)의 중앙에 체결부(2)를 부가하여 이에 외부에서 화학저감제(24)를 투입할 수 있는 중공형상의 주입관(25)을 부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접지판의 구조{Structure of ground plate}
본 고안은 접지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접지판의 중앙에 접지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학저감제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을 부가하여 이를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하면서 시공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한 접지판의 주조에 관한 것이다.
접지판은 낙뢰 등의 이상전압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를 땅속으로 유도하여 접지저항값을 낮춤으로써 각종의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접지판은 본 출원인이 기 제안한바있는 실용신안등록제240611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등간격으로 보강살(3)이 배설된 횡봉(1)의 양단부에는 내주연에 암나선부(4a)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4)가 고정 장착된 접지봉(5)과, 상기 접지봉(5)의 외표면에 전압저감효과가 우수한 여러 재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두께로 피복시킨 직방형체의 전도층(7)을 포함하는 접지판(10)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3)과 타측 외주연에는 숫나선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4)에 탈부착되는 체결부재(15)와, 상기 체결부재(15)의 삽입공(13)에 일체로 결합되어 커버(16)로 피복되는 리드선(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지판(10)은 낙뢰 등으로 발생되는 이상전압이 지표면으로 연장된 리드선(20)에 의해서 지중에 매설된 접지판(10)으로 유도되어 주변의 토양으로 방전시킴으로써 각종의 기기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서지가 발생되는 경우 접지판(10)에 의해 지중으로 방전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접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접지판(10)을 시공하게 됨으로써 이로 인한 인력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고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종래 접지판의 저면으로 접지저항값을 임의로 조절 가능한 화학저감제를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접지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접지판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등간격으로 보강살(3)이 배설된 횡봉(1)의 양단부에는 내주연에 암나선부(4a)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4)가 고정 장착된 접지봉(5)과, 상기 접지봉(5)의 외표면에 전압저감효과가 우수한 여러 재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두께로 피복시킨 직방형체의 전도층(7)을 포함하는 접지판(10)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3)과 타측 외주연에는 숫나선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4)에 탈부착되는 체결부재(15)와, 상기 체결부재(15)의 삽입공(13)에 일체로 결합되어 커버(16)로 피복되는 리드선(20)으로 구성된 통상의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횡봉(1)의 중앙에 체결부(2)를 부가하여 이에 외부에서 화학저감제(24)를 투입할 수 있는 중공형상의 주입관(25)을 부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도
도 4는 종래 접지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횡봉 2…체결구 2a…나선부 3…보강대 5…접지봉
7…전도층 10…접지판 15…체결부재 20…리드선
24…화학저감제 25…주입관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등간격으로 보강살(3)이 배설된 횡봉(1)의 양단부에는 내주연에 암나선부(4a)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4)가 고정 장착된 접지봉(5)과, 상기 접지봉(5)의 외표면에 전압저감효과가 우수한 여러 재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두께로 피복시킨 직방형체의 전도층(7)을 포함하는 접지판(10)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3)과 타측 외주연에는 숫나선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4)에 탈부착되는 체결부재(15)와, 상기 체결부재(15)의 삽입공(13)에 일체로 결합되어 커버(16)로 피복되는 리드선(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지판(10)의 저부로 화학저감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25)을 부가한 구성이다.
상기 주입관(25)은 횡봉(1)의 중앙에는 장착되는 체결구(2)에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체결구(2)는 중공형상으로서 내주면에는 암나선부(2a)가 형성된 것으로서, 이 암나선부(2a)에는 주입관(25)의 하단부에 형성된 숫나선부(21)가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단부의 나선부(22)는 지표면으로 노출되어 커버(23)를 결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공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지판(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2)에 중공형상의 주입관(25)을 결합한 후접지판(10)을 지중에 매설한 후 리드선(20)의 외부로 연장시켜 피뢰침에 연결하고, 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주입관(25)으로 화학저감제(24)를 주입하게 되면, 화학저감제(24)는 하부로 이동하여 접지판(10)의 저면의 토양으로 확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변의 토양으로 확산된 화학저감제(24)는 리드선(20)을 통하여 접지판(10)으로 유도되는 서지를 주변의 토양으로 신속하게 방전시키게 됨으로써 그 접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주입관(25)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있어 수시로 접지저항값을 측정하여 접지저항값이 목표치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화학저감제(24)를 주입하여 항시 동일한 목표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화학저감제(24)를 주입할 필요가 없는 지역의 경우에는 체결구(2)에서 주입관(25)을 분리한 후 접지판(10)만을 지중에 매설하는 것으로도 소기의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지판의 중앙에 화학저감제를 반복해서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을 부가하여 이를 이용하여 접지판의 주변토양으로 화학저감제가 침투되도록 하여 접지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1개의 시공으로도 유수한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접지저항값을 측정하여 화학저감제를 보충하여 항시 최적의 접지저항값이 유지되어 리드선에 의해 접지판으로 유도되는 서지를 주변의 토양으로 신속하게 방전시킴으로써 뛰어난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저면에 보강살(3)이 배설된 횡봉(1)의 양단부에는 내주연에 암나선부(4a)가 형성되어있는 어댑터(4)를 고정한 접지봉(5)과, 상기 접지봉(5)의 외표면에 전압저감효과가 우수한 여러 재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두께로 피복시킨 직방형체의 전도층(7)을 포함하는 접지판(10)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3)에 동선(18)을 압착고정하고 타측 외주연에는 숫나선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4)에 탈부착되는 체결부재(15)를 단부에 고정한 리드선(20)으로 구성된 통상의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횡봉(1)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선부(2a)가 형성된 체결부(2)를 부가하고, 상기 체결부(2)에는 외부에서 화학저감제(24)를 투입할 수 있는 중공형상의 주입관(25)을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판의 구조.
KR20020038121U 2002-12-23 2002-12-23 접지판의 구조 KR200302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8121U KR200302447Y1 (ko) 2002-12-23 2002-12-23 접지판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8121U KR200302447Y1 (ko) 2002-12-23 2002-12-23 접지판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447Y1 true KR200302447Y1 (ko) 2003-02-05

Family

ID=4115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8121U KR200302447Y1 (ko) 2002-12-23 2002-12-23 접지판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44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73B1 (ko) 2008-01-08 2008-08-14 (주) 나라기술단 탄소접지봉
KR100858354B1 (ko) 2008-03-25 2008-09-11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나선형 도전선을 구비한 전력설비 및 정보통신용 접지봉
WO2009022841A2 (en) * 2007-08-16 2009-02-19 Dong Yang Industrial Co., Ltd. Conductive concrete ground member with paper casing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94737B1 (ko) * 2008-12-23 2009-04-24 (주) 나라기술단 탄소접지블럭
KR100919618B1 (ko) * 2008-07-22 2009-09-30 동양산전 주식회사 지관이 일체로 부가된 접지판 및 이의 제조장치
KR101010257B1 (ko) * 2008-05-16 2011-01-21 동양산전 주식회사 접지저항값의 조절이 가능한 접지부재
KR101623922B1 (ko) * 2011-06-24 2016-05-25 맹민희 접지블록
KR102062071B1 (ko) 2019-07-11 2020-01-03 김문식 일체형 침상 접지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 시공방법
KR102629035B1 (ko) 2023-08-23 2024-01-23 김학서 방류용 침상접지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841A2 (en) * 2007-08-16 2009-02-19 Dong Yang Industrial Co., Ltd. Conductive concrete ground member with paper casing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9022841A3 (en) * 2007-08-16 2009-04-30 Dong Yang Ind Co Ltd Conductive concrete ground member with paper casing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2473B1 (ko) 2008-01-08 2008-08-14 (주) 나라기술단 탄소접지봉
KR100858354B1 (ko) 2008-03-25 2008-09-11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나선형 도전선을 구비한 전력설비 및 정보통신용 접지봉
KR101010257B1 (ko) * 2008-05-16 2011-01-21 동양산전 주식회사 접지저항값의 조절이 가능한 접지부재
KR100919618B1 (ko) * 2008-07-22 2009-09-30 동양산전 주식회사 지관이 일체로 부가된 접지판 및 이의 제조장치
KR100894737B1 (ko) * 2008-12-23 2009-04-24 (주) 나라기술단 탄소접지블럭
KR101623922B1 (ko) * 2011-06-24 2016-05-25 맹민희 접지블록
KR102062071B1 (ko) 2019-07-11 2020-01-03 김문식 일체형 침상 접지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 시공방법
US11664612B2 (en) 2019-07-11 2023-05-30 Moon Sik Kim Integrated needle-shaped ground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ground unit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2629035B1 (ko) 2023-08-23 2024-01-23 김학서 방류용 침상접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2447Y1 (ko) 접지판의 구조
AU2006305016B2 (en) A ground rod and connection sleeve filled with compound of electric comduction
US6202368B1 (en) Earth anchoring system
KR101104836B1 (ko) 전주용 접지 장치
DE3328210A1 (de) Kapazitiver sensor
CN101098072A (zh) 避雷装置
KR200432449Y1 (ko) 접지봉
KR200464744Y1 (ko) 접지판 탈부착식 전주
HUE029248T2 (en) Priming equipment for columns, in particular for lamp posts
KR20110007885U (ko) 서지방전용 접지장치
KR101621501B1 (ko) 조립가능한 피뢰침
KR100852473B1 (ko) 탄소접지봉
KR101543014B1 (ko)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
KR200422395Y1 (ko) 탄소 접지봉
CN207338684U (zh) 一种pcb板连接电性可拆卸连接结构
CN113451950A (zh) 一种电缆管防进水装置及方法
KR200238886Y1 (ko) 접지선 인입구 캡
KR20060109060A (ko) 수목의 뿌리를 이용한 접지장치 및 접지방법
KR930003616Y1 (ko) 지중 케이블의 접지구
CN215859313U (zh) 一种用于拼装式游泳池的拼装模块
KR200339035Y1 (ko) 조류에 의한 송전선로 고장 방지용 바람개비 설치대
CN211774076U (zh) 一种破碎锤防飞溅装置
KR100206659B1 (ko) 전주의 조류둥지용 유도구
KR102472191B1 (ko)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KR102390327B1 (ko) 일체형 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압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