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191B1 -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191B1
KR102472191B1 KR1020200179634A KR20200179634A KR102472191B1 KR 102472191 B1 KR102472191 B1 KR 102472191B1 KR 1020200179634 A KR1020200179634 A KR 1020200179634A KR 20200179634 A KR20200179634 A KR 20200179634A KR 102472191 B1 KR102472191 B1 KR 10247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hole
transmission tower
adapte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213A (ko
Inventor
정명진
Original Assignee
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진 filed Critical 정명진
Priority to KR102020017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1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은 피뢰침과 송배전선로가 설치된 송전탑과 피뢰침으로부터 연장된 방전케이블과, 송전탑을 지지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기초 지지물과, 방전케이블과 연결되고 기초지지물의 하부에 매설되는 부싱과, 부싱 하부에 배치되는 방전봉을 포함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으로,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측면에 형성되고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부싱과, 관통공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부싱에 삽입되는 경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홀이 형성된 어뎁터와, 설치홀에 결합되는 방전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은 방전케이블이 연결된 부싱과 어뎁터를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여 어뎁터와 부싱의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어뎁터와 부싱의 체결시 별도의 락킹밴드를 이용하여 부싱에서 어뎁터가 회전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하여 락킹밴드가 이탈, 회전하고, 이에 따라 어뎁터가 부싱에서 회전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FLASHOVER PREVENTION SYSTEM OF POWER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탑에 낙뢰 낙하시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지면으로 방전시켜 송배전선로에 역섬락을 방지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뢰(落雷)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잔되어 발생한 전기에너지의 일종으로 각종 설치물을 시공시에 반드시 접지시설을 갖추어 낙뢰를 받았을 때 그 충격전류를 신속하게 지면으로 방전시킴으로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지시설은 낙뢰피해가 우려되는 건축물, 철근구조물 및 전기시설물에 접지극을 리드선으로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시킨 것으로, 특히 건물의 최상단부에 피뢰침을 설치하고, 이 피뢰침을 동선으로 연결하여 지면에 접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지면으로 방전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충격전류를 지면으로 방전시키기 용이하게 메쉬형상의 접지망이나 방사상의 접지망 또는 동으로 이루어진 접지봉을 사용하여 비교적 지면에 넓게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충격전류가 발생시에 신속히 그 충격전류를 방전시켜 대지전위의 상승에 의해 역섬락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지방법은 비교적 지면의 넓은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래에는 봉 형상의 접지봉을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에 다수 설치하여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지면으로 방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43014호에는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는 부싱으로부터 어댑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3014(2015. 08. 03 등록)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송전탑 하부의 기초지지물 하부에 설치되어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지면으로 방전시켜 역섬락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전봉을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방전봉이 연결된 어뎁터와 방전케이블이 연결된 부싱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은 피뢰침과 송배전선로가 설치된 송전탑과 피뢰침으로부터 연장된 방전케이블과, 송전탑을 지지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기초 지지물과, 방전케이블과 연결되고 기초지지물의 하부에 매설되는 부싱과, 부싱 하부에 배치되는 방전봉을 포함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으로,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측면에 형성되고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부싱과, 관통공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부싱에 삽입되는 경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홀이 형성된 어뎁터와, 설치홀에 결합되는 방전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의 어뎁터의 나사부는 부싱의 관통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경우 체결홀에 삽입되어 부싱 내에서 어뎁터의 회전을 방지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의 부싱에는 체결홀에 인접하여 한 쌍의 단턱이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은 부싱의 양 측면에 이격하여 한 쌍이 형성되며, 체결홀 사이에는 단턱보다 낮은 걸림홈이 형성되고, 걸림홈의 높이는 체결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락킹부재는 걸림홈과 체결홀을 감싸며, 체결홀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밴드와, 밴드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밴드에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가압돌기로 이루어진 락킹밴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의 락킹밴드의 가압돌기의 측면단부는 단턱의 측면단부보다 낮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의 부싱의 한쌍의 단턱 사이와, 일 가압돌기와 타 가압돌기 사이에는 호 형상의 커버가 배치되고, 커버의 상부와 하부에는 돌출될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단턱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락킹밴드의 밴드가 관통하는 회피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의 방전봉은 방전봉몸체와, 방전봉몸체의 상부에는 어뎁터의 설치홀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실린더가 형성되며, 방전봉몸체의 하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방전봉몸체에는 복수 개의 방전니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의 체결공에는 방전봉의 고정실린더 또는 체결공(440)을 폐쇄하는 캡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은 방전케이블이 연결된 부싱과 어뎁터를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여 어뎁터와 부싱의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어뎁터와 부싱의 체결시 별도의 락킹밴드를 이용하여 부싱에서 어뎁터가 회전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하여 락킹밴드가 이탈, 회전하고, 이에 따라 어뎁터가 부싱에서 회전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결합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은 종래의 송전답 역섭락 방지시스템을 도시한 도 1에 도시된 기초지지물(15)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뢰침(11)과 송배전선로(13)가 설치된 송전탑(10)의 기초지지물(15) 하부에 매설되는 부싱과 부싱 하부에 배치되는 방전봉으로 이루어지며, 피뢰침(11)과 부싱 사이에는 방전케이블(17)이 연결된다.
이러한 부싱과 방전봉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요부 분해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부싱(100)은 방전케이블(17)과 연결된 것으로 저면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홀(H)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싱(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00)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나사부(330)가 형성되고, 부싱(100)에 삽입되는 경우 체결홀(H)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320)이 형성되어 안착홈(320)이 체결홀(H)을 통해 노출되는 어뎁터(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어뎁터(300)의 저면에는 방전봉(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홀(310)이 형성되어 방전봉(400)이 결합된다.
어뎁터(300)에 결합되는 방전봉(400)은 방전봉몸체(410)와, 방전봉몸체(410)의 상부에는 어뎁터(300)의 설치홀(310)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실린더(420)가 형성되며, 방전봉몸체(410)의 하부에는 다른 방전봉 또는 캡(450)이 체결되는 체결공(4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송전탑의 주위 조건에 따라 도 2와 같이 여러개의 방전봉(400)들을 상호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방전봉(400)만을 어뎁터(3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마지막 방전봉(400)의 체결공(440)에는 체결공(440)을 폐쇄하는 캡(450)을 체결하여 지중의 수분, 토사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뎁터(300)의 나사부(300)를 통해 부싱(100)과 결합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뎁터(300)와 부싱(100)은 나사결합되므로, 부싱(100)에 결합된 어뎁터(300)를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강제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나, 어뎁터(300)를 결합한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는 경우 쉽게 분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부싱(100)의 체결홀(H)에는 체결홀(H)을 통해 노출된 안착홈(320)에 삽입되어 어뎁터(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락킹부재(200)가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부싱(100)을 참조하면 부싱(100)에는 체결홀(H)에 인접하여 한 쌍의 단턱(120)이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H)은 부싱(100)의 양 측면에 이격하여 한 쌍이 형성되며, 체결홀(H) 사이에는 단턱(120)보다 낮은 걸림홈(110)이 형성되고, 걸림홈(110)의 높이는 상기 체결홀(H)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120)은 결합된 락킹부재(200)의 안내하는 것으로, 체결홀(H)을 사이에 두고 한쌍이 배치되며, 체결홀(H)은 락킹부재(200)를 이용하여 어뎁터(3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격하여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체결홀(H) 사이에는 락킹부재(2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걸림홈(110)이 형성되며, 이때 걸림홈(110)의 측면은 단턱(120)의 측면보다 부싱(100)의 측면방향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락킹부재(200)가 단턱(120)을 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킹부재(200)는 'U'자 형상의 탄성이 있는 클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락킹부재(200)는 걸림홈(110)과 체결홀(H)을 감싸며, 체결홀(H)의 부싱(100)의 높이 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작은 길이를 갖는 원 형상의 밴드(210)와, 밴드(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밴드(210)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가압돌기(220)로 이루어지는 락킹밴드(2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락킹밴드(200)의 밴드(210)는 체결홀(H)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체결홀(H)을 통해 어뎁터(300)의 안착홈(320)에 안착될 수 있으며, 락킹밴드(200)를 회전시켜 체결홀(H)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가압돌기(200)가 체결홀(H)의 위치에 있는 경우 밴드(210)는 어뎁터(300)의 안착홈(320)에서 이탈하여 어뎁터(3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결합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락킹밴드(200)의 가압돌기(220)의 측면단부는 단턱(120)의 측면단부보다 낮게 배치되어 락킹밴드(200)의 가압돌기(220)가 부싱(100)의 설치시 각종 장비, 지중 매설물 등에 의해 접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요부 분해도인 도 4와 도 4에 도시된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의 결합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부싱(100)의 한쌍의 단턱(120) 사이와, 하나의 가압돌기(220)와 다른 가압돌기(220) 사이에는 호 형상의 커버(130)가 배치되어 지중의 이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130)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락킹밴드(200)는 단턱(120)을 따라 회전할 수 있으므로, 커버(130)의 상부와 하부에는 돌출될 삽입돌기(132)를 형성하고, 단턱(120)에는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는 삽입홈(134)을 형성하여, 커버(130)가 설치되는 경우 락킹밴드(200)가 단턱(120)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30)의 내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밴드(200)의 밴드(210)가 관통하는 회피홈(1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수 있다.
10 : 송전탑 11 : 피뢰침
13 : 송배전선로 15 : 기초지지물
17 : 방전케이블 19 : 부싱
19a : 방전봉
100 : 부싱 110 : 걸림홈
120 : 단턱 130 : 커버
200 : 락킹밴드 210 : 밴드
220 : 가압돌기 300 : 어뎁터
310 : 설치홀 320 : 안착홈
400 : 방전봉 410 : 방전봉몸체
420 : 고정실린더 430 : 방전니들
440 : 체결공 450 : 캡

Claims (5)

  1. 피뢰침(11)과 송배전선로(13)가 설치된 송전탑(10)과 상기 피뢰침(11)으로부터 연장된 방전케이블(17)과, 상기 송전탑(10)을 지지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기초 지지물(15)과, 상기 방전케이블(17)과 연결되고 상기 기초지지물(15)의 하부에 매설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 하부에 배치되는 방전봉을 포함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으로서,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홀(H)이 형성된 부싱(100);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나사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부싱(1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결홀(H)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320)이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홀(310)이 형성된 어뎁터(300): 및
    상기 설치홀(310)에 결합되는 방전봉(400)을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00)의 나사부(300)는 상기 부싱(100)의 관통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홀(H)에 삽입되어 상기 부싱(100) 내에서 상기 어뎁터(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락킹부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싱(100)에는
    상기 체결홀(H)에 인접하여 한 쌍의 단턱(120)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체결홀(H)은 상기 부싱(100)의 양 측면에 이격하여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H) 사이에는 상기 단턱(120)보다 낮은 걸림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10)의 높이는 상기 체결홀(H)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락킹부재(200)는 상기 걸림홈(110)과 체결홀(H)을 감싸며, 상기 체결홀(H)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밴드(210)와, 상기 밴드(21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210)에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가압돌기(220)로 이루어진 락킹밴드(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밴드(200)의 가압돌기(220)의 측면단부는 상기 단턱의 측면단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00)의 한쌍의 상기 단턱(120) 사이와, 상기 일 가압돌기와 타 가압돌기 사이에는 호 형상의 커버(130)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130)의 상부와 하부에는 돌출될 삽입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120)에는 상기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는 삽입홈(134)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30)에는 상기 락킹밴드(200)의 밴드(210)가 관통하는 회피홈(1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봉(400)은 방전봉몸체(410)와, 상기 방전봉몸체(410)의 상부에는 어뎁터(300)의 설치홀(310)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실린더(420)가 형성되며, 상기 방전봉몸체(410)의 하부에는 체결공(440)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봉몸체(410)에는 복수 개의 방전니들(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결공(440)에는 방전봉의 고정실린더 또는 상기 체결공(440)을 폐쇄하는 캡(4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역섬락 방지 시스템.
KR1020200179634A 2020-12-21 2020-12-21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KR102472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34A KR102472191B1 (ko) 2020-12-21 2020-12-21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34A KR102472191B1 (ko) 2020-12-21 2020-12-21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213A KR20220089213A (ko) 2022-06-28
KR102472191B1 true KR102472191B1 (ko) 2022-11-29

Family

ID=8226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634A KR102472191B1 (ko) 2020-12-21 2020-12-21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1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84B1 (ko) * 2017-12-14 2018-11-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014B1 (ko) 2015-01-26 2015-08-12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
JP6943892B2 (ja) * 2017-02-10 2021-10-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84B1 (ko) * 2017-12-14 2018-11-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213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1546B2 (en) Insulation barrier for high voltage power lin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same
US7902455B2 (en) Lightning arrester
KR100440616B1 (ko) 피뢰장치
JP2008010241A (ja) 避雷装置
KR101344039B1 (ko)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200432449Y1 (ko) 접지봉
JPS5922737Y2 (ja) 送電線用導体装置
KR102472191B1 (ko) 송전탑 역섬락 방지시스템
KR20080015637A (ko) 피뢰장치
KR100462440B1 (ko) 공간전하 분산형 피뢰장치
KR101543014B1 (ko)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
KR100582192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KR101915084B1 (ko)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KR200222355Y1 (ko) 입상용 고압케이블 보호장치
US3383459A (en) Anticorona suspension clamp
JPH1140390A (ja) 絶縁型避雷針
US6741438B2 (en) Lightning-arresting system with underground network
KR101234047B1 (ko) 전해질 저 저항 탄소접지봉
CN211376312U (zh) 一种绝缘脚钉
KR200201454Y1 (ko) 이온전기를 증폭시켜 낙뢰를 유도하는 피뢰침
CN105337240A (zh) 配电线路避雷装置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KR100460516B1 (ko) 공간전하 분산형 피뢰장치
KR200491730Y1 (ko) 지그재그 돌출구조를 갖는 피뢰침용 접지판
KR200366574Y1 (ko) 서지방전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