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483B1 - 메쉬접지구조 - Google Patents

메쉬접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483B1
KR101084483B1 KR1020090111283A KR20090111283A KR101084483B1 KR 101084483 B1 KR101084483 B1 KR 101084483B1 KR 1020090111283 A KR1020090111283 A KR 1020090111283A KR 20090111283 A KR20090111283 A KR 20090111283A KR 101084483 B1 KR101084483 B1 KR 10108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ing
mesh
wire
gra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578A (ko
Inventor
조옥현
Original Assignee
조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옥현 filed Critical 조옥현
Priority to KR102009011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4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접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나동선마다 흑연봉을 끼운 후, 이 접지나동선을 메쉬형태로 서로 접합시킨 접지메쉬봉을 지면의 접지매설구덩이에 포설하고, 접지메쉬봉의 각 흑연봉마다 별도의 보조접지선을 연결하여 접지면적을 극대화하면서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메쉬접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흑연봉을 이용하여 접지면적과 접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흑연봉으로 접지나동선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그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메쉬접지, 흑연봉, 접지나동선, 보조접지선

Description

메쉬접지구조{MESH EARTH STRUCTURE}
본 발명은 메쉬접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동선마다 흑연봉을 끼운 후, 이 나동선을 메쉬형태로 서로 접합시킨 접지메쉬봉을 지면의 접지매설구덩이에 포설하고, 접지메쉬봉의 각 흑연봉마다 별도의 나동선을 연결하여 접지면적을 극대화하면서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메쉬접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접지구조는 전력 설비의 사고나 절연불량, 전원회로나 전자장치에 뇌서지(Lighting Surge) 또는 개폐서지(Switching Surge) 등과 같은 과도한 이상전압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고 설비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설비에서의 잡음(雜音)을 제거하여 정보전송의 양질화를 이루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금속이나 도전성 물체를 대지(大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 전위(電位)를 대지와 같은 전위, 또는 전위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방식중 보링접지는 대지 저항률이 높고 부지면적이 좁은 장소나 저저항의 독립 접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합한 것으로써, 보링기계로 소 정 깊이의 구멍을 뚫어 봉형상체의 접지전극을 끼워넣고 전극과 구멍의 공간으로 접지저감재를 충전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매설지선접지는 송전선의 철탑, 송신소 등의 저저항 접지에 적합한 것으로써, 접지선의 단면적이 22∼28㎟인 동선을 20∼40㎜ 길이로 하여 접지지점을 기준으로 깊이가 50∼80㎝ 정도인 방사상의 홈을 파서 동선을 묻고 접지선 주위를 접지저감재 또는 접지시멘트로 채우는 방식이다.
그리고, 구조체 접지는 부지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장소에 적합한 것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철골조 건축물에서 서로 맞물려진 철근 또는 철골에 케이지식 피뢰설비를 형성하고, 이것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철근 콘크리트, 철골조 등의 구조체 자체를 접지전극과 같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메쉬접지는 대지 저항율이 높고 부지가 넓은 곳에 시공하기 적합한 것으로써, 접지선(나동선)을 메쉬형태로 포설한 후, 접지선의 교차되는 부분의 접속을 화학반응을 이용한 용접방법으로 접속하여, 필요시에 접지선 주위를 접지저감재로 채워 접지선과 저감재가 하나의 전극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때, 종래의 메쉬접지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1)상에 접지매설구덩이(2)를 시공한 후, 이 접지매설구덩이(2)에 접지메쉬망을 포설하게 되며, 이 접지메쉬망은 통상적인 접지나동선(10)을 메쉬구조로 접합 연결시켜 만든 구조물로써, 연결나동선(11)에 의해 지상의 구조물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메쉬접지구조는 접지나동선(10)을 메쉬구조로 접합 연결시켜 만든 접지메쉬망에 의해 접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접지면적이 충분하 지 못하고, 이로 인해 그 접지저항이 커질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메쉬접지구조는 접지메쉬망의 접지나동선(10)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손상될 위험이 높고, 이로부터 그 수명의 단축과 접지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지나동선마다 흑연봉을 끼운 후, 이 접지나동선을 메쉬형태로 서로 접합시킨 접지메쉬봉을 지면의 접지매설구덩이에 포설하고, 접지메쉬봉의 각 흑연봉마다 별도의 보조접지선을 접합시켜 접지면적을 극대화하면서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메쉬접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의 접지매설구덩이에 포설된 접지메쉬봉을 연결나동선을 이용하여 지상의 구조물과 연결함으로써 접지가 이루어지는 메쉬접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지메쉬봉은 접지나동선에 다수의 흑연봉을 끼운 후, 각 접지나동선을 메쉬형태로 서로 접합 연결시켜 구성하되, 상기 흑연봉의 외주면에 보조접지선을 구비하여 다른 흑연봉과의 추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접지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흑연봉을 이용하여 접지면적과 접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흑연봉으로 접지나동선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그 수명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접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접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접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나동선(10)마다 흑연봉(20)을 끼운 후, 각 접지나동선을 메쉬형태로 서로 접합 연결시켜 구성하는 접지메쉬봉(30)과; 상기 흑연봉(2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면서 다른 흑연봉과 접합되는 보조접지선(2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흑연봉(20)은 지름 약 50mm이상, 길이 약 30mm내외의 크기를 가지면서 그 중심축을 따라 조립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립구를 통해 접지나동선(10)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흑연봉(10)은 제올라이트와 발포페놀폼, 황산구리수용액, 알긴산소다와 염화칼슘, 메틸셀룰로오스 등으로 조성되는 통상적인 접지저항저감재로 만들어져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흑연봉(20)을 끼운 각 접지나동선(10)을 서로 접합시켜 메쉬형태로 연결하게 되면 접지메쉬봉(30)을 구성하게 되고, 이 접지메쉬봉은 기존의 접지메쉬망과는 달리 흑연봉의 접지면적을 이용하여 접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각 흑연봉(20)의 외주면상에 보조접지선(21)을 부착시켜 또 하나의 흑연봉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면서 접지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접지메쉬봉(30)을 이루는 접지나동선(10)을 흑연봉(20)이 감싸면서 보호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지나동선의 손상이나 접지효율의 저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나동선(10)에 흑연봉(20)이 촘촘하게 결합한 접지메쉬봉(30)은 암석 등과 같이 접지저항이 매우 높은 대지에 설치되면서 접지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나동선(10)에 흑연봉(20)이 드문드문하게 결합한 접지메쉬봉(31)은 양질의 토양 등과 같이 접지저항이 매우 낮은 대지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도1은 종래의 메쉬접지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접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접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접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지면 2: 접지매설구덩이 10: 접지나동선 11: 연결나동선 20: 흑연봉 30: 접지메쉬봉

Claims (1)

  1. 지면(1)의 접지매설구덩이(2)에 포설된 접지메쉬봉(30,31)을 연결나동선(11)을 이용하여 지상의 구조물과 연결함으로써 접지가 이루어지는 메쉬접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지메쉬봉(30,31)은 접지나동선(10)에 다수의 흑연봉(20)을 끼운 후, 각 접지나동선(10)을 메쉬형태로 서로 접합 연결시켜 구성하되, 상기 흑연봉(20)의 외주면에 보조접지선(21)을 구비하여 다른 흑연봉(20)과의 추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접지구조.
KR1020090111283A 2009-11-18 2009-11-18 메쉬접지구조 KR10108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83A KR101084483B1 (ko) 2009-11-18 2009-11-18 메쉬접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83A KR101084483B1 (ko) 2009-11-18 2009-11-18 메쉬접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78A KR20110054578A (ko) 2011-05-25
KR101084483B1 true KR101084483B1 (ko) 2011-11-21

Family

ID=4436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283A KR101084483B1 (ko) 2009-11-18 2009-11-18 메쉬접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815B1 (ko) 2022-06-02 2022-11-09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배전 및 수전설비용 메시접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04B1 (ko) 2018-10-24 2020-09-09 정지문 메쉬형 접지 및 그 시공 방법
KR20240025166A (ko) * 2022-08-18 2024-02-27 나향수 서지 저감형 입체 피뢰접지전극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0807A (ja) * 2006-01-30 2007-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メッシュ接地用電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0807A (ja) * 2006-01-30 2007-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メッシュ接地用電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815B1 (ko) 2022-06-02 2022-11-09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배전 및 수전설비용 메시접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78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CN201498612U (zh) 利用杆塔基础降低输电线路接地电阻的接地装置
KR101477460B1 (ko) 접지장치
WO2014133234A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1084483B1 (ko) 메쉬접지구조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CN109546366B (zh) 深井型接地极的上端部绝缘构造
KR20110097556A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7186B1 (ko) 가상 다점 접지 방식 다중관형 서지 방전 접지봉
KR20090090868A (ko) 접지장치
KR100544696B1 (ko) 보링용 접지봉
RU2288529C1 (ru) Зазем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RU2407824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анодного заземления в грунтах с высоким электрическим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KR100744816B1 (ko)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KR100814741B1 (ko) 수로에 부착되는 접지 장치
KR200422395Y1 (ko) 탄소 접지봉
KR100561179B1 (ko)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공법
KR100866933B1 (ko) 나선 스크류가 형성된 기초부를 갖는 접지봉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KR200253293Y1 (ko) 수개의 구멍이 뚫린 접지용 동파이프
KR20110081510A (ko)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KR200249145Y1 (ko) 복합형 접지 설비
KR102124644B1 (ko) 파이프형 콘크리트 접지블록
WO2008143421A1 (en) A ground rod structure with drills blade sh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