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816B1 -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816B1
KR100744816B1 KR1020070050336A KR20070050336A KR100744816B1 KR 100744816 B1 KR100744816 B1 KR 100744816B1 KR 1020070050336 A KR1020070050336 A KR 1020070050336A KR 20070050336 A KR20070050336 A KR 20070050336A KR 100744816 B1 KR100744816 B1 KR 10074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bronze
groove
concrete block
lattic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건
Priority to KR102007005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시공부지의 확보가 어려운 공동주택내에서 콘크리트의 부착력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접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블록(30)에 격자홈(32)을 형성하고, 십자모양의 서포터(40)를 격자홈(32)의 교차로(34)로 삽입하며, 열십자 모양의 절개홈(42)을 갖는 지지봉(44)을 서포터(40)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내벽에 탄성을 갖고 밀착되는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 상하단에 끼움홈(52)(6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하측에 위치한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에 형성된 끼움홈(52)(62)을 끼워 맞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을 격자모양으로 결합하고, 결합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교차부위(70)를 지지봉(44)에 형성된 절개홈(42)으로 삽입하고, 격자홈(32)의 교차로(34)로 삽입되는 열십자모양의 캡(80) 중앙에 형성된 구멍(82)에 지지봉(44)의 상단을 끼우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접지선연결부(54)를 콘크리트블록(30)의 밖으로 인출하고, 콘크리트블록(30)의 격자홈(32) 빈공간을 도전성레진(90)으로 메워서 구성된 것이다.
접지,콘크리트,판스프링,인청동,십자홈,서포터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Concrete earthing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에서 콘크리트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와 캡을 확대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를 보인 결합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의 빈 공간에 도전성레진이 주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콘크리트블록 32 : 격자홈
34 : 교차로 36 : 바닥면
40 : 서포터 42 : 절개홈
44 : 지지봉 50,60 : 인청동웨이브스프링
52,62 : 끼움홈 54 : 접지선연결부
70 : 교차부위 80 : 캡
82 : 구멍 90 : 도전성레진
본 발명은 접지시공부지의 확보가 어려운 공동주택내에서 콘크리트의 부착력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접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지구조는 전력 설비의 사고나 절연불량, 전원회로나 전자장치에 뇌서지(lighting surge) 혹은 개폐서지(switching surge) 등과 같은 과도한 이상전압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고 설비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설비에서의 잡음(雜音)을 제거하여 정보전송의 양질화를 이루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금속이나 도전성 물체를 대지(大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 전위(電位)를 대지와 같은 전위, 또는 전위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인 접지방식으로서, 보링접지는 대지 저항률이 높고 부지면적이 좁은 장소나 저저항의 독립 접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합한 것으로서, 보링기계로 소정 깊이의 구멍을 뚫어 봉형상체의 접지전극을 끼워넣고 전극과 구멍의 공간으로 접지저감재를 충전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매설지선 접지는 송전선의 철탑, 송신소 등의 저저항 접지에 적합한 것으로서, 접지선의 단면적이 22∼28㎟인 동선을 20∼40㎜ 길이로 하여 접지지점을 기준으로 깊이가 50∼80㎝ 정도인 방사상의 홈을 파서 동선을 묻고 접지선 주위를 접지저감재 또는 접지시멘트로 채우는 방식이다.
그리고, 구조체 접지는 부지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장소에 적합한 것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철골조 건축물에서 서로 맞물려진 철근 또는 철골에 케이지식 피뢰설비를 형성하고, 이것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철근 콘크리트, 철골조 등의 구조체자체를 접지전극과 같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또, 메쉬접지는 대지 저항율이 높고 부지가 넓은 곳에 시공하기 적합한 것으로서, 접지선을 메쉬형태로 포설하고, 교차되는 부분의 접속에 화학반응을 이용한 용접방법으로 접속하여, 필요시에 접지선 주위를 접지저감재로 채워 접지선과 저감재가 하나의 전극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종래에, 이러한 접지방식과 관련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제10-0493901호(2005. 5. 27. 등록) 공보에서와 같이 전도성 몰탈 혼합물에 매립되는 동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접지전극의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일부분에 3∼5㎜ 정도의 요철면을 가지도록 치핑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 설치부가 마련되어 있고, 전극 설치부에 도포된 침투성 접착 증강제 상에 동 와이어 메쉬(22)와 접지 선(24)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포설되어 있으며, 접지선(24)의 끝단부와 리드선(26)이 C형 슬리브(27)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전극 설치부내에 전도성 몰탈 혼합물(20)을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것에 의해 접지선(24)과 리드선(26)의 연결부분을 포함한 동 와이어 메쉬(22)가 매설되어 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접지전극 구조는 와이어 메쉬(22)와 접지선(24)이 단순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성이 매우 취약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와이어 메쉬(22)와 접지선(24)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지부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격자홈을 형성하고, 십자모양으로 형성된 서포터를 콘크리트블록에 형성된 격자홈의 교차로로 삽입하여 격자홈 바닥면에 안착시키며, 열십자 모양의 절개홈을 갖는 지지봉을 서포터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콘크리트블록에 형성된 격자홈의 내벽에 탄성을 갖고 밀착되는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 상하단에 끼움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하측에 위치한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에 형성된 끼움홈을 끼워 맞춰 인청동웨이브스프링을 격자모양으로 결합하고, 결합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 의 교차부위를 지지봉에 형성된 절개홈으로 삽입하고, 콘크리트블록에 형성된 격자홈의 교차로로 삽입되는 열십자모양의 캡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지지봉의 상단을 끼우며, 인청동웨이브스프링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접지선연결부를 콘크리트블록의 밖으로 인출하고, 콘크리트블록의 격자홈 빈공간을 도전성레진으로 메워서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록(30)의 상면에 격자홈(32)을 형성하고, 십자모양으로 형성된 서포터(40)를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교차로(34)로 삽입하여 격자홈(32) 바닥면(36)에 안착시키며, 열십자 모양의 절개홈(42)을 갖는 지지봉(44)을 서포터(40)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내벽에 탄성을 갖고 밀착되는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 상하단에 끼움홈(52)(6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하측에 위치한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에 형성된 끼움홈(52)(62)을 끼워 맞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을 격자모양으로 결합하고, 결합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교차부위(70)를 지지봉(44)에 형성된 절개홈(42)으로 삽입하고,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교차로(34)로 삽입되는 열십자모양의 캡(80) 중앙에 형성된 구멍(82)에 지지봉(44)의 상단을 끼우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접지선연결부(54)를 콘크리트블록(30)의 밖으로 인출하고, 콘크리트블록(30)의 격자홈(32) 빈공간을 도전성레 진(90)으로 메워서 구성한다.
상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은 정형파모양으로 절곡되며, 산부위가 격자홈(32)에 내벽에 밀착되도록 미리 탄성을 부여하고,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이 격자홈(3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반대편 산과 산이 이루는 폭이 격자홈(32)의 폭보다 큰 폭을 이루도록 하여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을 격자홈(32)에 삽입할 때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을 약간 압축한 상태에서 격자홈(32)에 삽입하면,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격자홈(3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서포터(40)와 캡(80)의 코너부위에는 격자홈(32)의 교차로(34) 모서리부분에 접촉되지 않도록 원형홈(46)(86)을 각각 형성하여 서포터(40)와 캡(80)을 격자홈(32)에 삽입할 때 교차로(34)의 모서리부분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 교차로(34) 모서리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도전성레진(90)은 전기전도성을 띈 것으로, 예컨대 접착제와 크림솔더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록(30)의 상면에 형성된 격자홈(32)의 교차로(34)에 십자형으로 형성된 서포터(40)를 삽입하여 교차로(34) 바닥면(36)에 서포터(40)를 밀착시킨 다음 횡으로 설치되는 인청동웨이브스프링(60)을 격자홈(32)에 횡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인청동웨이브스프링(60)이 탄성에 의해 격자홈(32)의 내벽에 밀착된다.
이때 횡방향으로 설치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60)에 형성된 끼움홈(62)이 상측으로 위치되게 삽입하여야 하며, 격자홈(32)에 삽입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60)을 더욱 깊게 누르게 되면, 격자홈(32)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60)이 서포터(4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봉(44)의 절개홈(42)에 삽입되면서 지지봉(44)에 의해 지지된 채 격자홈(32)의 바닥면(36)으로부터 들뜬 상태로 설치된다.
이후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에 형성된 끼움홈(52)이 밑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에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을 종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이 격자홈(32)의 내벽에 밀착되며,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설치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을 더욱 깊게 누르게 되면, 종방향으로 설치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이 서포터(40)의 지지봉(44)에 형성된 절개홈(42)에 삽입되면서 하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60)의 끼움홈(62)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의 끼움홈(52)이 십자형으로 맞물리면서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이 격자형으로 결합된다.
이때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에 종방향으로 삽입된 여러 개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 중에 하나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에 형성된 접지선연결부(54)는 콘크리트블록(3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후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빈 공간으로 도전성레진(90)을 주입하여 경화시키게 되면, 격자홈(32) 내부에 삽입된 서포터(40)와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 및 캡(80)이 도전성레진(90)에 의해 격자홈(32) 내부에 매립되 며, 접지선연결부(54)만이 콘크리트블록(30)의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콘크리트블록(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접지선연결부(54)에 접지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접지선과 접지선연결부(54)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과 도전성레진(90)을 통해 콘크리트블록(30)으로 방전된다.
또, 콘크리트블록(30)에 균열이 발생되어 콘크리트블록(30)이 변형된 경우 격자홈(32)에 삽입되어 있는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이 콘크리트블록(30)의 변형에 따라 유연하게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접지라인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접지선연결부(54)가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로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에 균열이 발생하여 변형된 경우 격자홈에 매립되어 있는 인청동웨이브스프링이 콘크리트블록의 변형에 따라 탄성변형될 뿐 파단되지 않기 때문에 접지라인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접지선연결부가 인청동웨이브스프링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로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블록(30)의 상면에 격자홈(32)을 형성하고, 십자모양으로 형성된 서포터(40)를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교차로(34)로 삽입하여 격자홈(32) 바닥면(36)에 안착시키며, 열십자 모양의 절개홈(42)을 갖는 지지봉(44)을 서포터(40)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내벽에 탄성을 갖고 밀착되는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 상하단에 끼움홈(52)(6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하측에 위치한 종횡의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에 형성된 끼움홈(52)(62)을 끼워 맞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을 격자모양으로 결합하고, 결합된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교차부위(70)를 지지봉(44)에 형성된 절개홈(42)으로 삽입하고, 콘크리트블록(30)에 형성된 격자홈(32)의 교차로(34)로 삽입되는 열십자모양의 캡(80) 중앙에 형성된 구멍(82)에 지지봉(44)의 상단을 끼우며, 인청동웨이브스프링(50)(6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접지선연결부(54)를 콘크리트블록(30)의 밖으로 인출하고, 콘크리트블록(30)의 격자홈(32) 빈공간을 도전성레진(90)으로 메워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KR1020070050336A 2007-05-23 2007-05-23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KR10074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6A KR100744816B1 (ko) 2007-05-23 2007-05-23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6A KR100744816B1 (ko) 2007-05-23 2007-05-23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816B1 true KR100744816B1 (ko) 2007-08-01

Family

ID=3860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336A KR100744816B1 (ko) 2007-05-23 2007-05-23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8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135A (zh) * 2017-12-22 2018-04-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宁供电公司 一种基于多性能的新型综合接地系统与构建方法
KR102098280B1 (ko) 2019-04-25 2020-05-26 김선기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접지 커넥터
KR102147483B1 (ko) 2019-06-04 2020-08-24 김선기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전선 결합 커넥터
WO2024038955A1 (ko) * 2022-08-18 2024-02-22 나향수 서지 저감형 입체 피뢰접지전극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01B1 (ko) 2003-05-13 2005-06-10 윤기주 콘크리트 접지전극 및 그 시공방법
KR100658213B1 (ko) 2006-10-30 2006-12-15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되는 전기시설물의 접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01B1 (ko) 2003-05-13 2005-06-10 윤기주 콘크리트 접지전극 및 그 시공방법
KR100658213B1 (ko) 2006-10-30 2006-12-15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되는 전기시설물의 접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135A (zh) * 2017-12-22 2018-04-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宁供电公司 一种基于多性能的新型综合接地系统与构建方法
KR102098280B1 (ko) 2019-04-25 2020-05-26 김선기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접지 커넥터
KR102147483B1 (ko) 2019-06-04 2020-08-24 김선기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전선 결합 커넥터
WO2024038955A1 (ko) * 2022-08-18 2024-02-22 나향수 서지 저감형 입체 피뢰접지전극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816B1 (ko) 공동주택용 콘크리트 접지장치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907699B1 (ko) 탄소 접지판
KR10071369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061472B1 (ko) 접지장치 및 접지블록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857151B1 (ko)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물
KR101034191B1 (ko) 맨홀 접지구조
KR101477460B1 (ko) 접지장치
KR102062071B1 (ko) 일체형 침상 접지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 시공방법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KR101084483B1 (ko) 메쉬접지구조
KR100846132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561179B1 (ko)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공법
KR100598466B1 (ko)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KR200422395Y1 (ko) 탄소 접지봉
KR100708295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102449609B1 (ko) 배전 선로의 리드레스 접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855634A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200151086Y1 (ko) 접지극 설치구조
KR200253344Y1 (ko) 접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