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510A -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 Google Patents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510A
KR20110081510A KR1020100001708A KR20100001708A KR20110081510A KR 20110081510 A KR20110081510 A KR 20110081510A KR 1020100001708 A KR1020100001708 A KR 1020100001708A KR 20100001708 A KR20100001708 A KR 20100001708A KR 20110081510 A KR20110081510 A KR 2011008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pper
center
me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624B1 (ko
Inventor
김유정
Original Assignee
김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정 filed Critical 김유정
Priority to KR102010000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6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봉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저감제가 효과적으로 지중에 침투하도록 한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중심관의 내부에 내부 중심관을 넣고, 이의 상단에 저감제 투입 및 피뢰도선을 연결하며, 중심관과 내부 중심관의 상단을 상부커버로 고정시키고, 중심관의 둘레에 망관을 고정시키며 망관의 둘레에 직경이 가는 세동관을 다수 둘러 설치하고, 이들 중심관 및 내부 중심관 그리고 망관 내부에 저감제를 채워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세동관 및 동관 그리고 망관에 의하여 제공되는 대단히 넓은 표면에 의한 표피효과에 의하여 신속히 직접 지중방전 시키거나 저감제를 통하여 지중방전 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접지봉에 도달한 전하가 피뢰도선을 타고 역류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접지봉의 성능을 크게 개선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Copper Tube and Netting Tube Combination Type Ground Rod}
본 발명은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낙뢰를 유도하여 지중에서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낙뢰로 인한 건물이나 설비의 피해 및 인명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봉에 있어서 그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저감제가 효과적으로 지중에 침투하도록 하기 위한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단일 동관으로 된 접지봉 내부에 저감제를 넣고 지면에 매설하여 피뢰침에서 유도되는 낙뢰가 피뢰도선을 통하여 접지봉에서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하였으며, 대표적인 예를 도 1로 보인 바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02151호(발명의 명칭: 전기설비의 접지봉 및 접지 시공방법;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는 전기시설물의 접지를 위한 접지봉에 있어서,
전기시설물의 접지를 위하여 지면 아래쪽에 매립되고 전기시설물과 접지선으로 연결되는 접지봉에 있어서, 접지저감제의 주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봉의 하단부에는 접지 저감제 투입을 위한 다수의 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용발명은 접지봉 내부의 저감제가 지속적으로 지면으로 흡수되는 것이어서 양호한 접지저항을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의 접지봉은 낙뢰를 지중에서 방전시키는 과정에서 접지봉의 표피효과에 의하여 제한된 면적의 표피에서 전하가 방전되는바, 막대한 낙뢰 전하가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유입되는 경우에는 방전 면적이 불충분하게 됨에 따라 낙뢰 전하가 전량 지중 방전 되지 못하고 피뢰도선측으로 역류 현상을 일으켜 피뢰도선 외부로 낙뢰가 비산되면서 사람이나 시설물 등에 뇌격을 가하여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동관의 직경을 크게 하여 표피 면적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단일 동관으로 된 접지봉은 직경을 크게 하자면 운반, 시공시 등에 필요한 강성을 얻기 위하여 부득이 그 두께를 두텁게 하여야 하므로 중량이 증가되고, 두께가 두텁게 됨에 따라 천공 등 가공 작업이 어렵게 되는 것이어서, 제작 및 운반 및 시공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지봉의 표피 면적을 파격적으로 증가시켜 지중 방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접지 저항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속적 방전에 충분한 양의 저감제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저감제가 효과적으로 지중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둘레면에 유출공이 형성된 동관 내부에 저감제를 넣어 매설하도록 하되,
직경이 작은 중심관의 내부에 내부 중심관을 넣고, 이의 상단에 저감제 투입 및 피뢰도선이 연결된 터미널을 체결하기 위한 조임볼트를 고정시키며, 중심관과 내부 중심관의 상단을 상부커버로 고정시키고, 중심관의 둘레에 망관을 고정시키 망관의 둘레에 직경이 가는 세동관을 다수 둘러 설치하여서 된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세동관과 망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됨과 동시에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고 망관과 중심관 사이에 나사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최적 간격이 유지됨과 아울러 견고한 강성 구조를 확보하고, 망관내부에 충분한 양의 저감제를 투입하여 저감제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면서 토양에 침투하여 낮은 접지 저항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극히 짧은 시간에 피뢰도선을 통하여 진입한 막대한 양의 전하를 세동관 및 동관 그리고 망관에 의하여 제공되는 대단히 넓은 표면에 의한 표피효과에 의하여 신속히 직접 지중방전 시키거나 저감제를 통하여 지중방전 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접지봉에 도달한 전하가 피뢰도선을 타고 역류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접지봉의 성능을 크게 개선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세동관과 망관을 복합하여 확보되는 넓은 표피 면적에 의하여 토양과 접하는 실효 면적이 증대되어 접지저항이 낮아 질 뿐만 아니라, 망관 내부의 충분한 공간에 많은 양의 저감제를 수용할 수 있는 저감제 수용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어서 다량의 저감제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낮은 접지저항을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망관의 저감제가 효과적으로 지중에 흡수되어 접지망을 형성하게 되므로 접지저항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직경이 매우 큰 접지봉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면서도 많은 수의 세동관과 중심관 및 내부중심관이 동심원상으로 스페이서에 의하여 고정된 것이어서 그 두께를 얇게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전체적으로 견고한 강성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두께가 얇아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 운반,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많은 수의 세동관 표면에 무수히 많은 돌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표면적을 대폭 증대시켜 극히 짧은 시간에 도달한 더욱 막대한 양의 전하를 매우 넓은 표피 면적에 의하여 지중으로 즉시 방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접지봉 지중 방전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지봉의 표피 면적을 파격적으로 증가시켜 지중 방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접지 저항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속적 방전에 충분한 양의 저감제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저감제가 효과적으로 지중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감제를 사용한 접지봉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본 발명에 의한 다중관형 접지봉의 외관을 도 2로 도시하였으며, 그 구조를 도 3의 종단면도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에 예부(100)가 구비된 중심관(200)과, 중심관(200)의 중앙에 내부중심관(305)을 설치하고 내부중심관(305)의 상방에 나사관(202)을 압입하며, 내부중심관(305) 상단을 상부커버(502)의 중심공(503)에 끼워 결합하고, 나사관(202)에 결합되는 조임볼트(201) 및 피뢰도선(701)의 터미널(203)을 체결하며, 중심관(200)의 외부 둘레에 끼워진 망관(300)과, 망관(300) 외부 둘레에 끼워진 세동관(400) 및 이들 중심관(200), 망관(300), 세동관(400)의 상, 하단에 결합된 상, 하부커버(500, 501)와, 세동관(400)과 망관(300) 그리고 중심관(200)의 사이에 결착되어 이들 관체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600)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관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저감제(800)가 배출공(801)을 경유하여 지중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전술한 나사관(202)은 내부중심관(305)의 두께를 얇은 것으로 하더라도 나사관(202) 내부 둘레면에 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조임볼트(201)를 위한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커버 기능과 터미널(203) 체결 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내부중심관(305) 및 중심관(200)의 상단과 하단을 다른 관체에 비하여 다소 길이가 길도록 하여 상, 하부커버(500, 501)를 결합 시 접지봉의 수직 중심이 정확하게 확보되도록 하며, 세동관(400)의 상, 하단이 상, 하부커버(500, 501)의 관통공(504)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스페이서(600)에 의하여 망관(3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하는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600)는 세동관(400)의 배열 간격에 의하여 천공된 지지공(601)을 구비한 원판상의 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가감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2개의 스페이서(600)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저감제(800)를 내부중심관(305)에 주입하여 채워 넣게 되는 것인바, 내부중심관(305)에 저감제를 주입하면 내부중심관(305) 둘레면에 형성된 통공을 경유하여 중심관(200)과 망관(300) 까지의 공간에 채워지게 되는 것인 바, 이러한 저감제(800) 충전 공정은 필요에 따라 제조 공장에서 실시할 수도 있고, 시공 현장에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직경이 매우 크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 하부커버(500, 501)와 스페이서(600)에 의하여 세동관(400)과 망관(300), 중심관(200), 내부중심관(305)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망관(300)의 위치의 안정을 위하여 중심관(200)과 망관(300) 사이를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다수의 나사체결수단(304)으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강성구조로 되어 운반이나 시공 시에도 변형이나 손상이 없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나사체결수단은 도 7a로 보인 바와 같이 양측에 볼트가 구비되어 중심관(200)과 망관(300)측에서 너트부에 의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일측은 볼트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너트부가 형성되어 일측의 볼트부가 중심관(200)에 체결되고, 타측의 너트부는 망관(300)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하여 중심관(200)과 망관(30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아울러 도 7b로 보인 바와 같이 통공(302)을 가진 원판상의 지지링(303)을 한개 이상 사용하여 세동관(400)과 망관(300) 사이에 배열하여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결합 구조로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관체의 두께를 두텁게 하지 않아 전체적으로는 경량화 되고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면서도 견고한 강성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중심관(305)과 중심관(200), 망관(300) 그리고 세동관(400)이 상, 하부커버(500, 501) 및 스페이서(600), 나사 체결수단(304)에 의하여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모두 도통된 상태이므로 피뢰도선(701)에 의하여 유도된 낙뢰에 의한 전하가 내부중심관(305)과 중심관(200) 그리고 세동관(400)과 망관(300)의 표피를 통하여 지중 방전되거나 망관(300)에 무수하게 형성된 유출공(801)을 통하여 지중으로 침투한 전기적 저항이 작은 저감제(800)를 통하여 지중 방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세동관, 망관, 중심관, 내부 중심관에 의하여 확보된 표피 면적이 매우 넓은 상태이므로 막대한 양의 낙뢰전하가 가하여 진 경우에도 넓은 표피에 이들 낙뢰전하가 분산되고, 이에 따라 피뢰도선(701)으로 역류하지 아니하고 전량 지중으로 방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세동관(400)에 다수의 돌기(900)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다수의 돌기(900)에 의하여 생성되는 넓은 표면적에 의하여 더욱 많은 양의 전하를 수용하여 지중으로 방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망관(300)을 1개 설치한 예를 보였으나,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접지봉이 시공되는 지중의 전기 전도도를 감안하여 망관(300)은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세동관(400)과 중심관(200) 사이에 제 1동관(901)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제 1동관(901)과 중심관(200) 사이에 나사체결수단(304)를 설치하여 강성 구조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망관(300)을 제 1동관(901)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1동관(901)의 개수를 1개에서 2개 이상으로 증가시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 경우에도 나사체결수단(304)을 활용하여 중심관(200)과의 강성 결합 구조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중심관(305) 및 중심관(200)의 상, 하단 길이가 세동관(400)이나 망관(300) 또는 제 1동관(901) 보다 길도록 하고, 연장된 중심관(200)이 상, 하부커버(500, 501)의 내측둘레면(204)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수단 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중심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세동관과 동관 그리고 망관을 이용하여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을 제작함으로써 많은 표피면적을 제공하고 충분한 양의 저감제를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지중으로의 침투가 가능하게 되어 접지 저항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도면 및 명세서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예시된 실시예 외에도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보편화된 구성 요소를 부가하여 다양한 변형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세동관과 중심관을 별도의 연결선으로 체결하였다. 이와 같이 별도의 연결선으로 연결된 중심관과 세동관은 막대한 양의 전하가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불안정한 파형 형태로 유입되면서 상부커버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지중 방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100: 예부 200: 중심관 201: 조임볼트
202: 나사관 203: 터미널 204: 내측둘레면
300: 망관 302: 통공 303: 지지링
304: 나사체결수단 305: 내부중심관 400: 세동관
500: 상부커버 501: 하부커버 502: 상부커버
503: 중심공 504: 관통공 600: 스페이서
601:지지공 701: 피뢰도선 800: 저감제
801: 배출공 900: 돌기 901: 제 1동관

Claims (9)

  1. 피뢰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저감제가 채워지며 둘레면에 유출공이 구비된 중심관과, 중심관의 둘레에 저감제가 채워지는 망관을 고정시키며 망관의 둘레에 직경이 가는 세동관을 다수 둘러 설치하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의하여 전술한 중심관과 망관 및 다수의 세동관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 내부 중앙에 유출공이 구비된 내부 중심관을 추가 설치하고, 전술한 중심관과 내부 중심관 상방이 상부커버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내부 중심관 상단에 피뢰도선과 연결된 터미널을 체결하고 저감제를 투입한 후 체결하기 위한 조임볼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과 망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유지와 강성확보를 위한 스페이서를 배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의 상, 하단 길이가 망관보다 길도록 하고, 연장된 중심관의 상부와 상부커버에 체결된 세동관 사이를 연결선으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과 망관 사이가 나사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형 접지봉.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 내부 망관, 세동관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돌기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형 접지봉.
  7. 둘레면에 유출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저감제를 넣어 매설하도록 하되, 하나의 중심관 외부에 보다 직경이 큰 제 1동관이 배치되도록 하고, 그 외곽에 다수의 세동관을 둘러 설치하며, 제 1동관과 세동관의 상, 하단에 상, 하부커버를 고정하며, 이와 아울러 중심관과 제 1동관 사이에 나사체결수단을 설치하고, 제 1동관과 세동관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 내부 중앙에 내부중심관을 추가 설치하고, 그 상방에 조임볼트 및 피뢰도선과 연결된 터미널을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전술한 중심관, 제 1동관, 세동관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돌기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형 접지봉.
KR1020100001708A 2010-01-08 2010-01-08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KR10109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708A KR101094624B1 (ko) 2010-01-08 2010-01-08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708A KR101094624B1 (ko) 2010-01-08 2010-01-08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510A true KR20110081510A (ko) 2011-07-14
KR101094624B1 KR101094624B1 (ko) 2011-12-15

Family

ID=4492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708A KR101094624B1 (ko) 2010-01-08 2010-01-08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6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32B1 (ko) * 2014-11-13 2015-04-24 강순석 서지저감방사링 장착 접지봉.
KR20220056041A (ko) * 2020-10-27 2022-05-04 노병균 카트리지 타입 접지봉
WO2024038955A1 (ko) * 2022-08-18 2024-02-22 나향수 서지 저감형 입체 피뢰접지전극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15Y1 (ko) 2003-04-25 2003-07-23 주식회사 티지오 보링용 접지봉
KR100558334B1 (ko) 2003-09-01 2006-03-10 김홍삼 원통형 심타 접지봉
KR100681450B1 (ko) 2006-04-12 2007-02-09 김유정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32B1 (ko) * 2014-11-13 2015-04-24 강순석 서지저감방사링 장착 접지봉.
KR20220056041A (ko) * 2020-10-27 2022-05-04 노병균 카트리지 타입 접지봉
WO2024038955A1 (ko) * 2022-08-18 2024-02-22 나향수 서지 저감형 입체 피뢰접지전극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624B1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360B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1262359B1 (ko) 시트형 접지판
KR20070042315A (ko) 심타용 접지봉 장치
KR101094624B1 (ko)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KR101267186B1 (ko) 가상 다점 접지 방식 다중관형 서지 방전 접지봉
KR101477460B1 (ko) 접지장치
KR101029710B1 (ko) 전해질충진 고방사 탄소접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094471B1 (ko) 다중관형 접지봉
KR20090090868A (ko) 접지장치
RU2288529C1 (ru) Зазем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1084483B1 (ko) 메쉬접지구조
KR20110007885U (ko) 서지방전용 접지장치
KR101234047B1 (ko) 전해질 저 저항 탄소접지봉
KR100993472B1 (ko) 메탈폼 접지장치
CN212062715U (zh) 一种方便固定接地线的接地体
KR101102991B1 (ko) 피뢰용 탄소 접지봉
CN210490335U (zh) 一种耐冲击的pvc热收缩性套管
KR100814741B1 (ko) 수로에 부착되는 접지 장치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CN210576507U (zh) 一种复合材料接地体
KR200430715Y1 (ko) 역서지 방전수단이 구비된 접지장치
KR101515332B1 (ko) 서지저감방사링 장착 접지봉.
CN205542222U (zh) 一种古树引下线套管
CN1855634A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CN210370186U (zh) 一种工程安全施工用防护折叠格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