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359B1 - 시트형 접지판 - Google Patents

시트형 접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359B1
KR101262359B1 KR1020130021942A KR20130021942A KR101262359B1 KR 101262359 B1 KR101262359 B1 KR 101262359B1 KR 1020130021942 A KR1020130021942 A KR 1020130021942A KR 20130021942 A KR20130021942 A KR 20130021942A KR 101262359 B1 KR101262359 B1 KR 101262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heet
grounding
pl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359B1/ko
Priority to PCT/KR2013/006826 priority patent/WO20141332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형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주(60)에서 인출되는 접지선(62)과 연결하여 접지 시공할 수 있는 시트형 접지판(10)에 있어서, 상기 전주(60)의 접지선(62)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42)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연결대(40)가 구비되는 동일크기의 메쉬망 구조를 갖는 상,하부시트망(31,32)으로 이루어진 접지시트층(30)과, 상기 상,하부시트망(31,32) 사이에 동일한 크기로 삽입 배치되는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20)과, 상기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을 상호 밀착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상, 하부시트망(31,32) 사이를 리벳팅 작업으로 결합 고정하는 다수의 리벳(34)을 포함하는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시트형 접지판{sheet type ground plate}
본 발명은 시트형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판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주의 측면 혹은 아래쪽에 시트형태로 매설 시공할 수 있는 관계로, 시트형 접지판의 시공 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판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시트형 접지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제품에 이상이 있어 누전(누설전류가 흐른다)이 되는 제품에 손이나 피부가 닿으면 전류는 그 사람의 몸속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가게 되는데 이 현상이 감전이고, 그 정도가 약하면 약간의 쇼크로 끝나지만, 큰 전류인 경우에는 치명적인 장애 또는 사망까지 이른다. 이러한 위험상태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 접지인 것이다.
또한, 접지는 토양에 접지전극을 접속하여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및 전력장비 등 전기를 이용하는 제 장비를 전기적으로 대지와 접속시켜 주는 것으로, 비 이상적인 전류에 의한 과부하나 낙뢰에 의한 써지(serge)를 대지로 흘려보내 각종 장비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접지전극과 대지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저항을 접지저항이라고 하며, 극히 짧은 시간에 비 이상 과전류나 써지(serge)를 지면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수치는 '0'이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경우 이상적인 접지저항의 확보는 불가능하다.
접지저항이 너무 크게 되면 과전류나 뇌격 전류 등의 일부만이 접지봉(혹은 접지판)을 통하여 방전되고, 나머지 전하가 역류하면서 각종 장비나 주변 인체에 전달되어 각종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접지봉이나 접지판은 용도에 따라 접지저항이 10~100Ω 이하가 되도록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선로의 접지공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를 매설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구덩이를 지면(3)에 굴착한 후, 상기 구덩이 일측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구덩이를 하나 더 굴착하고, 상기 구덩이에 접지에 사용되는 다수의 접지봉(1)을 햄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시켜 매설한 다음, 상기 전주(2) 내에서 인출되는 접지선(4)과 접지봉(1)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접지 시공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주(2)를 일으켜 세워 구덩이에 흙과 같은 내용물을 채워 시공 및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처럼, 접지 시공 작업이 완료된 전주(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접지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07699호(2009.7.14. 공고)에는 탄소 접지판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5631호(2012.4.17. 공고)에는 경량 도전성 접지판의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접지판은, 도 1의 접지봉(1) 타입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면적을 넓힘과 아울러 도전성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하여 배전선로의 접지공사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접지판(100)은 시멘트, 무기충전제, 반응조정제, 도전성 탄소섬유 등이 혼합된 도전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철부자재가 내장된 형태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리고, 종래 접지에 따른 접지저항치를 낮추기 위하여 접지판을 직렬로 연결하여 시공하거나, 둘 이상의 접지판을 일정거리 이상 이격하여 병렬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접지 시공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접지효과도 만족할 만한 수준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는 접지 저항의 감소특성과도 연관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저항은 접지판의 수량에 따른 접지 저항의 감소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바, 접지저항은 접지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접지 저항이 어느 정도 감소하게 되면, 접지판의 수를 아무리 늘려도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임계값에 도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접지 저항의 임계값은 접지면적 및 대지저항률과도 관계가 있다.
즉,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접지판의 크기가 클수록, 길이가 길수록 접지저항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이를 통해서 접지저항은 접지판과 대지의 접촉면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배전선로의 접지방법은 배전선로가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어 지역의 상황에 따라 소정의 접지 저항치를 얻기 위한 접지공사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종래 개시된 접지판은 자체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접지 시공 시에 시공작업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다른 접지 방식에 비하여 비싸며, 매우 넓은 시공 면적이 필요하고 유지보수가 불가능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99875호(2003.10.10.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2010-29684호(2010.3.17.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11-18778호(2011.2.24.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12-97847호(2012.9.5. 공개) 등에는 중량을 줄이면서 접지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접지판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99875호(2003.10.10. 공고, 명칭: 전주용 접지판의 설치방법 및 이에 설치되는 접지판)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07699호(2009.7.14. 공고, 명칭: 탄소 접지판)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29684호(2010.3.17. 공개, 명칭: 개포형 발포금속으로 구성되는 접지판 및 접지봉)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18778호(2011.2.24. 공개, 명칭: 카본직물을 이용한 접지재료)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5631호(2012.4.17. 공고, 명칭: 경량 도전성 접지판의 제작방법) 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97847호(2012.9.5. 공개, 명칭: 망형 접지판)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접지판이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접지판이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전주 측면이나 아래쪽에 시트 형태로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판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시트형 접지판의 시공 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판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서 인출되는 접지선과 연결하여 접지 시공할 수 있는 시트형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연결대가 구비되는 동일크기의 메쉬망 구조를 갖는 상,하부시트망으로 이루어진 접지시트층과, 상기 상,하부시트망 사이에 동일한 크기로 삽입 배치되는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과, 상기 펠트층과 접지시트층을 상호 밀착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상, 하부시트망 사이를 리벳팅 작업으로 결합 고정하는 다수의 리벳을 포함하는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함에 그 특징으로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시트층의 상, 하부시트망과, 단자연결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자연결대는 상,하부시트망 중 어느 한쪽 시트망의 양측면 상에 용접을 통해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연결대와 접지리드선사이의 연결은 압축단자로 이루어진 리드선단자부로 연결 배선되고, 상기 접지선과 접지리드선 사이의 연결은 슬리브로 연결 배선되며, 상기 리드선단자부와 슬리브에 의한 연결부위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보호튜브가 각각 완전 밀폐시키는 형태로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펠트 형태로 제조되어 구조적인 미세공으로 인한 우수한 흡습 능력 및 우수한 전기전도율을 갖는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과, 이 펠트층을 감싸는 내부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메쉬망 타입의 상,하부시트망으로 이루어진 접지시트층을 포함하는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접지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생산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이 얇은 시트 형상으로 제조되는 관계로, 기존 접지봉이나 접지판의 중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자원의 절약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접지 시공 시 운반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선로의 접지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접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는 접지봉의 수에 따른 접지 저항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접지와 대지의 접촉 면적에 대한 접지저항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구성 및 접지리드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실물 사진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구성 및 접지리드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구성 및 접지리드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을 직렬로 연결하여 접지 능력을 배가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이 전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접지 시공하거나, 전주 측면에 둥근 호(弧) 형태로 휘어서 짧은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접지 시공하거나, 전주 밑에 평탄하게 매설하는 구조로 각각 접지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20)과, 상기 펠트층(20)을 상하로 감싸는 메쉬망 구조의 상,하부시트망(31,32)으로 이루어진 접지시트층(30)과, 상기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 사이를 결합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리벳(3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은 사각의 판상구조를 갖고 있으며, 서로 동일한 크기(혹은 넓이)를 갖고 있다.
상기 펠트층(20)에 사용되는 카본펠트(carbon felt)는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높은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단열재 및 연료전지의 전극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재료이다.
이러한 카본펠트는 재료 자체의 특성에 의하면 흡습 능력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지만, 카본펠트의 내부에는 스펀지 혹은 솜과 같은 펠트 자체의 구조적인(혹은 형태적인) 다공성으로 인해 무수히 많은 미세공이 존재하게 되고, 이 카본펠트 내부의 미세공으로 습기(혹은 물기)가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기 때문에 카본펠트는 구조적으로 우수한 흡습 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본펠트로 구성된 펠트층(20)을 갖는 시트형 접지판(10)을 지중에 매설하게 되면, 카본펠트 자체의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더불어 카본펠트 내부로 지중의 습기가 흡습되기 때문에 전기전도도가 배가(倍加)되어 매우 뛰어난 접지 능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카본펠트가 매우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고 있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잘 부식되지 않아 시트형 접지판(10)의 내구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접지판의 접지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시트층(30)을 구성하는 상,하부시트망(31,32)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조되어 메쉬망 타입의 판상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은 동판과 같은 구리 재질에 비해 전기전도도가 떨어지지만 내부식성이 뛰어난 관계로, 본 발명에서는 접지시트층(30)의 재질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97847호에 개시된 망형 접지판의 재질로 전기전도도가 뛰어난 동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접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동 재질은 내부식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지중에 매설될 경우 쉽게 부식되어 장기간 접지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접지시트층(30)의 재질로 전기전도도가 뛰어난 메쉬망 타입의 동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주의 접지시공을 위해 접지판을 지중에 한 번 매설한 이후에는 매설된 접지판 자체를 교체하기가 쉽지 않아 오랜 기간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동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내부식성을 고려하여 동판을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접지시트층의 재질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의 경우, 접지시트층(30) 사이로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20)을 구성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접지시트층(30)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다소 전기전도도가 떨어진다고 하여도 펠트층(20)을 구성하는 카본펠트의 전기전도도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접지 능력은 기존의 도전성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접지판이나 접지봉에 비해서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시트망(31,32) 사이에 펠트층(20)을 밀착 결합함에 있어서, 메쉬망 타입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상,하부시트망(31,32)과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20)은 접착제와 같은 액상의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고착시키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두 물체를 결합하는 주지 관용적으로 기술인 리벳팅에 의해 밀착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시트망(31), 펠트층(20), 하부시트망(32)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부시트망(31)에서 하부시트망(32)까지 도달하는 다수의 리벳공(33)을 접시시트층(30) 전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 형성하고, 이 리벳공(33)에 리벳(34)을 박아 리벳팅을 통해서 접지시트층(30)과 펠트층(20)을 견고하게 밀착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시트층(30)의 사방 가장자리 부위와 중앙 부위에 고르게 분산된 형태로 리벳(34)에 의한 리벳팅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하부시트망(31,32)과 펠트층(20)이 서로 들뜨는 부위 없이 고르게 밀착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접지시트층(30)과 펠트층(20)에 리벳팅 되는 리벳(34)의 갯수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접지시트층(30)을 구성하는 상,하부시트망(31,32) 중 어느 한쪽의 시트망 좌우 양측면에는 전주(60)의 접지선(62)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42)이 접속되는 판상 구조의 단자 연결대(40)가 마련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예시적으로 도시된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단자연결대(40)가 상부시트망(31)의 양쪽 측면에 배치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시트망(32)에 단자연결대(40)가 결합되어도 기능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어느 쪽에 결합하더라도 무방하다.
즉, 첨부된 도면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접지시트층(30)의 상,하부시트망(31,32)이라 구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단자연결대(4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을 구성하는 접지시트층(30)의 양쪽면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지시트층(30)의 상,하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편의에 따라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자연결대(40)가 상부시트망(31)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자연결대(40)는 상,하부시트망(31,32)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시트망(31)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상 구조로 아르곤 용접과 같은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연결대(40)는 접지리드선(42)을 연결하여 하기 위한 부위로써, 상기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 사이에는 리드선단자부(50)가 매개되어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리드선단자부(50)는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부위로써,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압축단자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단자의 연결구조에 따라 두 가지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단자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접지리드선(42)의 일측 끝단이 나선 상태로 삽입되어 압축 고정되고 타측이 단자연결대(40)에 밀착된 상태에서 단자연결대(40)의 볼트공(41)과 사이에 단자연결볼트(52)를 끼워서 볼트 체결하는 구조를 갖는 압축단자(51)가 사용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선단자부(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접지리드선(42)의 일측 끝단이 나선 상태로 삽입되어 압축 고정되고 타측은 단자연결대(40)에 접합된 단자연결너트(54)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는 압축단자(53)가 사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처럼, 상기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의 연결은 사용되는 압축단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리드선단자부(50)를 통해서 시트형 접지판(10)의 단자연결대(40)에 배선 연결된 접지리드선(42)은 접지 과정에서 전주(60)의 접지선인출공(61)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61)과 슬리브(55)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의 압축단자에 의한 연결부위와, 접지리드선(42)과 접지선(62)의 슬리브(55)에 의한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면,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이 전주(60)의 접지 시공을 통해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상기한 연결 부위가 지중 속의 습기와 접촉하여 부식이 빠르게 일어나 접지 기능을 저해할 우려가 높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부식 방지를 위해서 보호튜브(56,57)를 씌워서 완전히 밀봉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호튜브(56,57)는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열수축튜브 또는 자기수축튜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지판의 규격을 감안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은 통상적인 도전성 접지판의 규격을 감안하여 가로 길이가 대략 60㎝ ~ 150㎝ 정도, 세로길이가 20㎝ ~ 60㎝ 정도로 각각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은 규격으로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펠트층(20)의 두께는 5㎜ ~ 30㎜ 정도를 갖는 것이 재료의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나, 이 역시 상기와 같은 두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상기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의 크기(혹은 넓이) 및 펠트층의 두께가 크면 클수록 시트형 접지판(10)의 접지능력이 증대되게 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제조의 필요에 따라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의 규격은 언제든지 가변될 수 있으나, 제품의 경제성 및 제품의 전반적인 규격을 고려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예시적인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예시적인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현재 시판되고 있는 도전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도전성 접지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량의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 이동을 수월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형 접지판(10)의 전체적인 규격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은 당연하다.
이처럼, 시트형 접지판(1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하게 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기존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접지봉이나 접지판의 중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시트형 접지판(10)의 자체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줄여 줌에 따라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지 시공시에도 중량 감소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접지봉이나 접지판의 중량은 대부분 10㎏ ~ 20㎏ 정도로 제작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은 2㎏ ~ 3㎏ 내외로 제작할 수 있어 중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은 내부식성이 뛰어난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20)과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인 접지시트층(30)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습 및 전기전도율이 높은 펠트층(20)을 가지고 있어 접지 시공에서 요구하는 접지 성능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고, 전주(60)에 대한 접지 시공 자체가 한번 시공하게 되면, 오랜 기간 동안 그 내구성 및 접지 성능이 유지되어야 제품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은 내부식성을 보다 극대화시키고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직렬로 연결하여 접지 능력을 배가 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60)에 접지 시공한 사용 상태도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60)에 측면에 세워서 접지 시공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60)를 세우기 위해 지면(70)에 일정 깊이의 구덩이(71)를 파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주(60)의 하단 측면 부위 쪽 구덩이(31) 내에 시트형 접지판(10)을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매설하게 되는바, 이때, 작업자는 지상에서 시트형 접지판(10)의 일측 단자연결대(40)에 접지리드선(42)을 압축단자(51 또는 53)로 배선 연결하고, 이렇게 배선된 접지리드선(42)을 전주(60)의 접지선인출공(61)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61)과 슬리브(55)로 연결함으로써, 전주(60)와 시트형 접지판(10) 사이의 접지를 위한 연결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 상기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의 연결부위와 접지리드선(42)과 접지선(62)의 연결부위에는 부식 방지를 위해서 열수축튜브 또는 자기수축튜브와 같은 보호튜브(56,57)를 씌워서 완전히 밀봉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접지 연결작업이 완료된 시트형 접지판(10)은 전주(10) 측면의 구덩이(71) 내에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구덩이(71) 내 전주(60)를 반듯하게 세운 다음, 구덩이(71)를 메워서 견고하게 다져주게 되면, 최종적으로 전주(60)의 매설과 함께 접지 시공이 마무리되게 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형 접지판(10)을 구덩이(71) 내에 길이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접지 시공을 할 수도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접지판(10)을 둥근 호(弧)형으로 휘어서 전주(60)의 측면을 둥근 호형으로 감싸는 구조로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주(60)를 세우기 위한 구덩이(71)가 원통형으로 굴착됨에 따라 원통형 전주(60)와 구덩이(71)의 단면구조에 맞춰 시트형 접지판(10)을 둥근 호(弧)형으로 휘어서 배치하게 되면, 구덩이(71) 내에 시트형 접지판(10)을 길이방향으로 세울 때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이때에도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형 접지판(10)의 접지리드선(42)과 전주(60)의 접지선(61)이 상호 연결되어 접지 연결되는 과정은 도 11에 대해 전술하고 있는 과정과 동일하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60) 밑에 매설한 상태에서 접지 시공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70)에 전주(60)를 세울 수 있는 구덩이(71)를 굴착할 때 시트형 접지판(10)을 매설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굴착한 다음, 전주(60)에서 인출된 접지선(62)과 시트형 접지판(10)의 접지리드선(42)을 슬리브연결부(55)로 연결하여 접지 상태를 완료한 상태에서 구덩이(71) 맨 밑에 시트형 접지판(10)을 펼쳐 놓은 다음, 일차로 토사를 부어 시트형 접지판(10)을 매설하고, 그 다음 전주(60)를 구덩이(71)에서 반듯하게 세운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구덩이(71)를 메워줌으로써, 접지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접지 연결과정에서 접지리드선(42)과 접지선(62)의 연결 부위와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의 연결 부위를 각각 보호튜브(56,57)로 완전 밀봉되게 감싸서 부식을 방지하도록 시공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형 접지판(10)이 사전 굴착된 구덩이(71) 내에 간단한 작업으로 배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 전주가 매설된 측면에 접지봉을 별도로 타설하여 집지 시공하는 방식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수월하고, 전체적으로 접지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 비용을 최소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시트형 접지판 20 : 펠트층
30 : 접지시트층 31 : 상부메쉬망
32 : 하부메쉬망 33 : 리벳공
34 : 리벳 40 : 단자 연결대
41 : 체결공 50 : 리드선 단자부
51 : 압축단자 52 : 단자연결볼트
53 : 압축단자 54 : 단자연결너트
55 : 슬리브 56, 57 : 보호튜브
60 : 전주 61 : 접지선인출공
62 : 접지선 70 : 지면
71 : 구덩이

Claims (3)

  1. 전주(60)에서 인출되는 접지선(62)과 연결하여 접지 시공할 수 있는 시트형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전주(60)의 접지선(62)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42)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연결대(40)가 구비되는 동일크기의 메쉬망 구조를 갖는 상,하부시트망(31,32)으로 이루어진 접지시트층(30)과, 상기 상,하부시트망(31,32) 사이에 동일한 크기로 삽입 배치되는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층(20)과, 상기 펠트층(20)과 접지시트층(30)을 상호 밀착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상, 하부시트망(31,32) 사이를 리벳팅 작업으로 결합 고정하는 다수의 리벳(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접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시트층(30)의 상, 하부시트망(31,32)과, 단자연결대(4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자연결대(40)는 상,하부시트망(31,32) 중 어느 한쪽 시트망의 양측면 상에 용접을 통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접지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대(40)와 접지리드선(42)사이의 연결은 압축단자(51,53)로 이루어진 리드선단자부(50)로 연결 배선되고, 상기 접지선(62)과 접지리드선(42) 사이의 연결은 슬리브(55)로 연결 배선되며, 상기 리드선단자부(50)와 슬리브(55)에 의한 연결 부위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보호튜브(56,57)가 각각 완전 밀폐시키는 형태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접지판.
KR1020130021942A 2013-02-28 2013-02-28 시트형 접지판 KR10126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42A KR101262359B1 (ko) 2013-02-28 2013-02-28 시트형 접지판
PCT/KR2013/006826 WO2014133233A1 (ko) 2013-02-28 2013-07-30 시트형 접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42A KR101262359B1 (ko) 2013-02-28 2013-02-28 시트형 접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359B1 true KR101262359B1 (ko) 2013-05-08

Family

ID=4866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942A KR101262359B1 (ko) 2013-02-28 2013-02-28 시트형 접지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2359B1 (ko)
WO (1) WO201413323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06A (ko) 2014-01-27 2015-08-0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20160016331A (ko) 2014-08-05 2016-02-1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20160147403A (ko) * 2015-06-15 2016-12-23 제룡산업 주식회사 고감도 흡습형 접지극
WO2020243610A1 (en) * 2019-05-31 2020-12-03 Mat Ipsum LLC Earth ground enhancing systems
US11728579B2 (en) 2019-04-03 2023-08-15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1058B (zh) * 2015-08-11 2017-07-11 国家电网公司 一种野外高压设备用快速接地装置
KR102062071B1 (ko) * 2019-07-11 2020-01-03 김문식 일체형 침상 접지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 시공방법
US12080939B2 (en) 2021-01-24 2024-09-03 M Towers LLC Manufactured utilit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9363A (ja) 2003-06-30 2005-01-20 Sankosha Corp 接地体
JP2006196365A (ja) 2005-01-14 2006-07-27 Sytn:Kk 接地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45917B1 (ko) 2011-02-18 2012-05-15 더큰 낙뢰 접지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767A (ja) * 1994-11-04 1996-05-31 Sankooshiya:Kk 埋設接地体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9363A (ja) 2003-06-30 2005-01-20 Sankosha Corp 接地体
JP2006196365A (ja) 2005-01-14 2006-07-27 Sytn:Kk 接地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45917B1 (ko) 2011-02-18 2012-05-15 더큰 낙뢰 접지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06A (ko) 2014-01-27 2015-08-0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101597354B1 (ko) * 2014-01-27 2016-02-2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20160016331A (ko) 2014-08-05 2016-02-1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101597356B1 (ko) * 2014-08-05 2016-02-2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20160147403A (ko) * 2015-06-15 2016-12-23 제룡산업 주식회사 고감도 흡습형 접지극
KR101713024B1 (ko) * 2015-06-15 2017-03-07 제룡산업 주식회사 고감도 흡습형 접지극
US11728579B2 (en) 2019-04-03 2023-08-15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WO2020243610A1 (en) * 2019-05-31 2020-12-03 Mat Ipsum LLC Earth ground enhanc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233A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359B1 (ko) 시트형 접지판
KR101262360B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CN201243091Y (zh) 一种电器设备的复合接地体
JP4453923B2 (ja) 等電位化接地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CN201956469U (zh) 网格状电气设备接地体
US11664612B2 (en) Integrated needle-shaped ground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ground unit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597356B1 (ko) 시트형 접지판
KR200446812Y1 (ko) 접지장치
KR101597354B1 (ko) 시트형 접지판
KR101255118B1 (ko) 시트형 접지판
KR101094624B1 (ko)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KR100852473B1 (ko) 탄소접지봉
KR200422395Y1 (ko) 탄소 접지봉
CN201478470U (zh) 一种喀斯特地区防雷接地网的结构
CN210074181U (zh) 一种低接地电阻接地结构
CN210404072U (zh) 一种导电性混凝土接地板
CN211376951U (zh) 一种渗透式接地装置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101234047B1 (ko) 전해질 저 저항 탄소접지봉
CN1855634A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101713024B1 (ko) 고감도 흡습형 접지극
CN211182551U (zh) 一种导电混凝土接地桩
KR200410069Y1 (ko) 접지설비
CN210576507U (zh) 一种复合材料接地体
JP2013191394A (ja) 避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