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118B1 - 시트형 접지판 - Google Patents

시트형 접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118B1
KR101255118B1 KR1020120104069A KR20120104069A KR101255118B1 KR 101255118 B1 KR101255118 B1 KR 101255118B1 KR 1020120104069 A KR1020120104069 A KR 1020120104069A KR 20120104069 A KR20120104069 A KR 20120104069A KR 101255118 B1 KR101255118 B1 KR 10125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heet
grounding
plate
grou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22Graphite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형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전주(20)에서 인출되는 접지선(21)과 연결하여 접지 시공할 수 있는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전주(20)에 플렉시블한 시트 형태로 감아서 접지 가능하도록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층(11)과, 상기 섬유층(11)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 체결되어 전주의 접지선(21)과 연결을 위한 접지리드선(15)이 접합된 다수의 동판(13)과, 상기 섬유층(11)과 동판(13) 위에 접착제를 통해 코팅 형태로 도포되는 전기전도율이 높은 접지저항 저감제로 이루어진 접지 전도층(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상기 섬유층(11)의 배면 전체에 스펀지와 같은 흡습 기능을 갖는 흡습부재(16)가 추가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접지 전도층(12)의 접지저항 저감제로는 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시트형 접지판{sheet type ground plate}
본 발명은 시트형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판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주에 감아서 접지하거나 전주 밑에 시트형태로 펼친 상태로 매설 시공할 수 있는 관계로, 시트형 접지판의 시공 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판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시트형 접지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제품에 이상이 있어 누전(누설전류가 흐른다)이 되는 제품에 손이나 피부가 닿으면 전류는 그 사람의 몸속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가게 되는데 이 현상이 감전이고, 그 정도가 약하면 약간의 쇼크로 끝나지만, 큰 전류인 경우에는 치명적인 장애 또는 사망까지 이른다. 이러한 위험상태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 "어스"(접지)인 것이다.
또한, 접지는 토양에 접지전극을 접속하여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및 전력장비 등 전기를 이용하는 제 장비를 전기적으로 대지와 접속시켜 주는 것으로, 비이상적인 전류에 의한 과부하나 낙뢰에 의한 써지(serge)를 대지로 흘려보내 각종 장비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접지전극과 대지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저항을 접지저항이라고 하며, 극히 짧은 시간에 비이상 과전류나 써지(serge)를 지면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수치는 '0'이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경우 이상적인 접지저항의 확보는 불가능하다.
접지저항이 너무 크게 되면 과전류나 뇌격 전류 등의 일부만이 접지봉(판)을 통하여 방전되고 나머지 전하가 역류하면서 각종 장비나 주변 인체에 전달되어 각종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접지봉이나 접지판은 용도에 따라 접지저항이 10~100Ω 이하가 되도록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접지공사는 전주(2)를 매설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구덩이를 지면(3)에 굴착한 후, 상기 구덩이 일측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구덩이를 하나 더 굴착하고, 상기 구덩이에 접지에 사용되는 다수의 접지봉(1)을 햄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시켜 매설한 다음, 상기 전주(2) 내에서 인출되는 접지선(4)과 접지봉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접지 시공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주(2)를 일으켜 세워 구덩이에 흙과 같은 내용물을 채워 시공 및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처럼, 접지 시공 작업이 완료된 전주(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접지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배전선로의 접지방법은 배전선로가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어 지역의 상황에 따라 소정의 접지 저항치를 얻기 위한 접지공사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특히, 도심지에서 접지공사시 포장된 도로나 보도블럭을 파헤쳐야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굴착 및 복구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표면의 75㎝정도로 굴착된 지점에서 접지봉을 햄머로 타격하여 설치하므로 인해 접지봉이 잘 들어가지 않게 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 접지에 따른 접지저항치를 낮추기 위하여 접지봉을 직렬로 연결하여 시공하거나, 둘 이상의 접지봉을 일정거리 이상 이격하여 병렬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접지 시공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접지효과도 만족할 만한 수준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는 접지 저항의 감소특성과도 연관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저항은 접지봉이나 접지판의 수량에 따른 접지 저항의 감소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바, 접지저항은 접지봉(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접지 저항이 어느 정도 감소하게 되면, 접지봉(판)의 수를 아무리 늘려도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임계값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지 저항의 임계값은 접지면적 및 대지저항률과도 관계가 있다.
즉,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접지봉(판)의 크기가 클수록, 길이가 길수록 접지저항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이를 통해서 접지저항은 접지봉(판)과 대지의 접촉면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지저항률은 접지 저항의 계산 및 접지전극의 수의 계산에 절대적인 함수이다.
이러한 대지저항률은 토양의 수분함유, 수분이 함유한 화학적 성분, 토양의 종류, 지질 성분, 대지의 온도 등 기후와 지역적 특성에 따라 그 값이 크게 달라진다.
특히, 대지저항이 높은 토질에서는, 접지봉(판) 만을 매설하는 것이나 리드선을 매설하는 것만으로 접지저항을 낮출 수가 없어 대지저항을 낮출 수 있는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접지저항 저감제는 무기재료와 전해질을 함유하는 화학저감제와 시멘트, 골재,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시멘트계 저감제가 있다.
일정한 접지저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접지저항 저감제의 투입량이 유지되어야 하나, 화학저감제의 경우 시간이 경과되면 투입된 접지저항 저감제가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해 유실되어 접지저항 저감제의 기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시멘트계 저감제의 경우, 수분이 적고 협소한 사토나 암반지역에 장기간 사용시 쉽게 깨지거나 부스러져 원형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지봉(판)의 부식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접지 저항이 증가된다.
이처럼, 최근까지도 접지봉이나 접지판은 물론, 접지저항 저감제 등을 통해 서 접지 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35119호(2006.10.17. 공고)에는 접지봉의 표면에 블레이드를 형성한 접지봉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5631호(2012.4.17. 공고)에는 경량 도전성 접지판의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5982호(2006.8.28. 공고)에는 접지저감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2244호(2010.6.11. 공고)에는 코팅 흑연 접지 저항체 및 그 코팅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18778호(2011.2.24. 공개)에는 카본직물을 이용한 접지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개시된 접지봉이나 접지판은 자체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접지 시공 시에 시공작업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다른 접지 방식에 비하여 비싸며, 매우 넓은 시공 면적이 필요하고 유지보수가 불가능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35119호(2006.10.17. 공고, 명칭: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5631호(2012.4.17. 공고, 명칭: 경량 도전성 접지판의 제작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5982호(2006.8.28. 공고, 명칭: 접지저감제 조성물)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2244호(2010.6.11. 공고, 명칭: 코팅 흑연 접지 저항체 및 그 코팅방법) 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18778호(2011.2.24. 공개, 명칭: 카본직물을 이용한 접지재료)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접지봉이나 접지판과 달리 전주에 감거나 전주 밑에 시트 형태로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판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주에 감아서 접지하거나 전주 밑에 시트형태로 펼친 상태로 매설 시공할 수 있는 관계로, 시트형 접지판의 시공 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판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은, 전주에서 인출되는 접지선과 연결하여 접지 시공할 수 있는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전주에 플렉시블한 시트 형태로 감아서 접지 가능하도록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 체결되어 전주의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이 접합된 다수의 동판과, 상기 섬유층과 동판 위에 접착제를 통해 코팅 형태로 도포되는 전기전도율이 높은 접지저항 저감제로 이루어진 접지 전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층의 배면 전체에 스펀지와 같은 흡습 기능을 갖는 흡습부재가 추가 부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 전도층의 접지저항 저감제로는 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질적으로 흡습 능력이 뛰어남은 물론 내부식성이 강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층과, 이 섬유층 상에 전기전도율이 높은 흑연과 같은 접지저항 저감제를 접착제를 통해 코팅형태로 도포 고착시킨 접지 전도층을 구성함과 아울러, 접지 전도층 내에 접지리드선이 접합된 다수의 동판이 배치된 시트형 접지판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접지봉(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생산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이 얇은 시트 형상으로 제조되는 관계로, 기존 접지봉이나 접지판의 중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자원의 절약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접지 시공 시 운반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선로의 접지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접지봉의 수에 따른 접지 저항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접지와 대지의 접촉 면적에 대한 접지저항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흡습부재가 부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을 전주에 감은 구조로 접지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이 전주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이 전주 밑에 매설된 구조로 접지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층(11) 위에 전주(20)의 접지선(21)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15)이 접합된 다수의 동판(13)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흑연과 같은 접지저항 저감제로 이루어진 접지 전도층(12)이 접착제를 통해 섬유층(11)에 코팅 형태로 도포됨으로써, 전주(20)에 감을 수 있는 정도의 플렉시블한 시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의 전체적인 두께는 1㎝ 미만으로 구현할 수 있고, 시트형 접지판(10)의 전체적인 규격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은 당연하다.
이처럼, 시트형 접지판(1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하게 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기존 접지봉이나 접지판의 중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시트형 접지판(10)의 자체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줄여 줌에 따라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지 시공시에도 중량 감소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섬유층(11)을 구성하는 섬유재질로는 흡습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내부식성이 뛰어나면서 플렉시블하게 접힐 수 있는 마섬유와 같은 천연섬유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도별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부직포와 같은 합성섬유 및 탄소섬유와 같은 복합재료 중에서도 생산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상기한 흡습 기능 및 내부식성을 가지면서 전주(20)에 감을 수 있는 정도로 플렉시블하게 접힐 수 있는 섬유재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지 전도층(12)에 사용되는 접지저항 저감제로는 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흑연 이외에도 전도성이 뛰어나 접지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이면서 미세한 가루 형태로 제조되어 접착제를 통해서 섬유층(11)에 도포 결합되어 코팅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재료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접지 전도층(12)에 흑연을 사용하는 이유는, 흑연이 전기 전도율이 높아 접지저항 저감제로써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재료 수급률이 원활하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동판(13)은 전주(20)에서 인출된 접지선(21)과 연결되는 접지리드선(15)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지 전도층(12)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삽입 배치되게 되는바, 상기 동판(13)은 섬유층(11)에 리벳팅 작업과 같은 공지의 체결 기술에 의해 체결부(14)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물론, 상기 동판(13)의 섬유층(11)에 대한 체결 방식은 섬유층(11)의 특성을 고려하여 리벳팅 작업이 아닌 접착제에 의한 접착 작업으로 대체 체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동판(13) 대신에 전기전도도(혹은 전기전도율)가 높은 금속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중 은의 경우, 전기전도도가 금속 중 가장 높기 때문에 접지저항이 가장 낮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산화물의 형성에 의해 접지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동판 대신에 사용할 수 있으나, 동판(13)에 비해서 은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은 재질을 삽입한 접지판을 제조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불가하다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에 있어서, 전주(20)의 접지선(21)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는 부위를 반드시 동판(13)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겠다는 의미는, 동판(13)과 비교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으면서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이 있는 경우에 동판(13)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판(13)에 연결 형성된 접지리드선(15)은 전주(20) 내에 설치된 접지선(21)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위로써, 동판(13)의 소정의 위치에 스폿트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 형성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섬유층의 일측에는 각각 서로 대향 체결할 수 있는 벨크로(일명, 찍찍이)와 같은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에 감은 상태로 접지 시공할 때, 별도로 준비된 체결밴드(17)를 이용하여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 상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시공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형 접지판(10)의 섬유층(11)에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방식을 통해서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에 감은 다음, 결합수단(미도시)을 통해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접지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미도시)은 전주(20)의 외측 둘레의 크기에 관계없이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에 감아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 부위의 위치를 여러 단계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된 시트형 접지판(10)의 경우,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별도 준비된 체결밴드(17)를 통해서 전주(20)에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전주(20)의 외측 둘레 크기에 관계없이 접지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체결밴드(17)로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에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시트형 접지판(10)의 길이가 전주(20)의 외측 둘레 길이보다 클 경우, 시트형 접지판(10)의 양단 부위가 상호 겹쳐지는 형태를 갖더라도 시트형 접지판(10)를 전주(20)에 감는 과정에서 양단이 상호 겹쳐진 상태 그대로 체결밴드(17)로 고정하면 되기 때문에 접지 시공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은 전주(20)에 감아서 접지하는 방식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0) 밑에 시트형 접지판(10)을 펼친 상태로 매설하는 방식으로 접지시공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주(20) 밑이나 지면(30) 속에 구덩이(31)를 파고 매설하는 방식으로 시트형 접지판(10)을 접지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시트형 접지판(10)에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시트형 접지판(10)에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체결밴드(17)로 감아서 고정 시공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시트형 접지판(10)의 전체적인 제조공정 및 접지 시공방식 등을 고려할 때 좀 더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접지판(10)을 구성하는 섬유층(11)의 배면 전체에 스펀지와 같은 흡습 기능을 갖는 흡습부재(16)를 추가 부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은 흡습 기능을 갖는 섬유층(11)과, 흡습 및 전기전도율이 높은 접지 전도층(12)을 가지고 있어, 접지 시공에서 요구하는 접지 성능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나, 전주(20)에 대한 접지 시공 자체가 한번 시공하게 되면, 오랜 기간 동안 그 내구성 및 접지 성능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지 성능을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트형 접지판(10)의 흡습 능력을 보다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층(11)의 배면에 흡습부재(16)를 부착하여 흡습 능력을 배가시키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에 접지 시공한 사용 상태도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을 전주(20)에 감은 상태로 접지 시공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0)를 세우기 위해 지면(30)에 일정 깊이의 구덩이(31)를 파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덩이(31)에 매설되는 전주(20)의 하단 부위에 시트형 접지판(10)의 접지 전도층(12)이 전주(2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섬유층(11)과 전주(20)의 외측 둘레가 접촉되는 형태로 감은 다음, 별도 마련된 체결밴드(17)로 시트형 접지판(10)의 외주면을 감아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주(20)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21)과 시트형 접지판(10)에 연결된 접지리드선(15)을 연결하여 접지 상태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접지판(10)의 섬유층(11)에 스펀지와 같은 흡습부재(16)가 부착된 경우에는 흡습부재(16)와 전주(20)의 외측 둘레가 서로 밀착 접촉되도록 접지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지 상태가 마무리된 상태에서 시트형 접지판(10)이 위치한 전주(20)의 하단 부위를 구덩이(31)에 위치시키고, 전주(20)를 반듯하게 세운 상태에서 구덩이(31)를 메워줌으로써 최종적으로 접지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을 전주 밑에 매설한 상태에서 접지 시공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30)에 전주(20)를 세울 수 있는 구덩이(31)를 굴착할 때 시트형 접지판(10)을 매설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굴착한 다음, 구덩이(31) 맨 밑에 시트형 접지판(10)을 펼쳐 놓은 다음, 전주에서 인출된 접지선과 시트형 접지판의 접지리드선을 연결하여 접지 상태를 완료한 상태에서 일차로 토사를 부어 시트형 접지판을 매설하게 되며, 그 다음 전주를 구덩이에서 반듯하게 세운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구덩이를 메워줌으로써, 접지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단한 작업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고, 시공이 간편하여 전체적으로 작업비용이 최소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형 접지판(10)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이상전류에는 써지와 상용주파로 나뉘어지게 되고, 상기 상용주파에 대한 접지성능은 접지저항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나, 유입전류와 이 유입전류에 의해 발생된 대지전위 상승이 동상일 때는 접지저항으로 접지성능을 표현하고, 유입전류와 대지전위 상승의 위상차가 심해지면 접지성능은 접지임피던스로 평가해야 한다.
상기 접지저항과 접지임피던스는 접지면적이 넓은 접지판(10)을 통하여 방출되고, 상기 접지판(10)을 통과한 정현파 주파수 성질을 갖는 유입전류는 대부분 과전류 혹은 3상 불평형전류로 대지를 통해 자기를 공급 준 변전소나 발전소로 돌아가려고 하고, 이러한 통로는 접지선 및 지면이 되며, 정상주파수인 60Hz에서의 고장전류 혹은 불평형전류는 판상 형태의 접지판(10)이 담당하고, 접지저항은 접지면적과 반비례하므로 지금까지의 봉 형태에 비해 월등히 넓은 접지면적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낙뢰, 유도뢰 및 변전소나 배전선의 차단기의 동작으로 생기는 진행파라고 부르는 써지성의 유입전류에 대한 접지성능은 접지저항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전송되는 선로의 매질의 변화로 좌우되는 써지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의 써지임피던스에 의해 토양 중에 방전이 일어나면 순간적으로 큰 에너지를 토양으로 방출시키므로 전력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여 위험성을 해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접지판(10)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의 시트형 접지판(10)은 첨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 알려진 접지봉이나 접지판에 감아서 접지 능력을 배가시키는 접지부재로 충분히 활용할 수도 있다.
10 : 시트형 접지판 11 : 섬유층
12 : 접지 전도층 13 : 동판
14 : 체결부 15 : 접지리드선
16 : 흡습부재 17 : 체결밴드
20 : 전주 21 : 접지선
30 : 지면 31 : 구덩이

Claims (3)

  1. 전주(20)에서 인출되는 접지선(21)과 연결하여 접지 시공할 수 있는 접지판에 있어서,
    상기 전주(20)에 플렉시블한 시트 형태로 감아서 접지 가능하도록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층(11)과, 상기 섬유층(11)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 체결되어 전주(20)의 접지선(21)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15)이 접합된 다수의 동판(13)과, 상기 섬유층(11)과 동판(13) 위에 접착제를 통해 코팅 형태로 도포되는 접지저항 저감제로 이루어진 접지 전도층(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접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11)의 배면 전체에 흡습 기능을 갖는 흡습부재(16)가 추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접지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저항 저감제는 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접지판.
KR1020120104069A 2012-09-19 2012-09-19 시트형 접지판 KR10125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69A KR101255118B1 (ko) 2012-09-19 2012-09-19 시트형 접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69A KR101255118B1 (ko) 2012-09-19 2012-09-19 시트형 접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118B1 true KR101255118B1 (ko) 2013-04-23

Family

ID=4844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069A KR101255118B1 (ko) 2012-09-19 2012-09-19 시트형 접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06A (ko) 2014-01-27 2015-08-0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20160016331A (ko) 2014-08-05 2016-02-1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WO2020243610A1 (en) * 2019-05-31 2020-12-03 Mat Ipsum LLC Earth ground enhancing systems
US11728579B2 (en) 2019-04-03 2023-08-15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KR102631292B1 (ko) * 2022-09-26 2024-01-29 김효열 전주용 탄소복합 접지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136A (ja) * 1993-11-18 1995-06-02 Osaka Gas Co Ltd 接地抵抗低減剤および接地電極
JP2717207B2 (ja) 1988-03-22 1998-02-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接地電極
JP2721866B2 (ja) 1988-05-09 1998-03-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低抵抗接地体
JP2009094024A (ja) 2007-10-12 2009-04-30 Kuki E & T:Kk 埋設アースとアース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7207B2 (ja) 1988-03-22 1998-02-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接地電極
JP2721866B2 (ja) 1988-05-09 1998-03-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低抵抗接地体
JPH07142136A (ja) * 1993-11-18 1995-06-02 Osaka Gas Co Ltd 接地抵抗低減剤および接地電極
JP2009094024A (ja) 2007-10-12 2009-04-30 Kuki E & T:Kk 埋設アースとアース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06A (ko) 2014-01-27 2015-08-0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KR20160016331A (ko) 2014-08-05 2016-02-15 제룡산업 주식회사 시트형 접지판
US11728579B2 (en) 2019-04-03 2023-08-15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WO2020243610A1 (en) * 2019-05-31 2020-12-03 Mat Ipsum LLC Earth ground enhancing systems
KR102631292B1 (ko) * 2022-09-26 2024-01-29 김효열 전주용 탄소복합 접지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118B1 (ko) 시트형 접지판
CN201498612U (zh) 利用杆塔基础降低输电线路接地电阻的接地装置
CN103457044B (zh) 10kV配电网架空线路杆塔的接地装置及其敷设方法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262359B1 (ko) 시트형 접지판
WO2014133234A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2204629B1 (ko) 메쉬접지케이블 대체용 띠형 접지전극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N211182560U (zh) 新型杆塔防雷接地装置
CN105514750A (zh) 一种输电线路接地施工方法
RU2695101C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анодного заземления
CN106785511A (zh) 一种输电线路杆塔水平接地复合降阻槽及施工方法
KR200422395Y1 (ko) 탄소 접지봉
CN204375987U (zh) 大型设备小阻值接地网
CN209056626U (zh) 组合式塔杆专用接地装置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CN109066115A (zh) 组合式塔杆专用接地装置
CN203423264U (zh) 10kV配电网架空线路杆塔的接地装置
KR200451817Y1 (ko)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Foumani et al. Improvement of grounding system in wind farms regarding the permissible potentials
CN206041291U (zh) 电厂微波站联合接地网
KR100361201B1 (ko) 접지극을 구비한 내·외장형 콘크리트 전주
CN111641096B (zh) 一种导电高分子材料接地网施工工艺
CN102926406B (zh) 限制接地体周围土壤电场强度并阻隔土壤放电通道的方法
CN105322442B (zh) 一种地埋放电装置及应用该装置的备用地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