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06B1 - 부스덕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부스덕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06B1
KR101965606B1 KR1020180038247A KR20180038247A KR101965606B1 KR 101965606 B1 KR101965606 B1 KR 101965606B1 KR 1020180038247 A KR1020180038247 A KR 1020180038247A KR 20180038247 A KR20180038247 A KR 20180038247A KR 101965606 B1 KR101965606 B1 KR 10196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connection
booth duct
du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경
맹주용
김민성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산전
Priority to KR102018003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내부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는 부스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과,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마련되어 상기 상부 결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 및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를 외측에서 가압도록 마련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스덕트 어셈블리{ A BUS DUCT ASSEMBLY }
본 발명은 부스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내부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는 부스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 블의 대체품으로 부스덕트(bus duc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가 한국 공개특허 10-2008-0023504에서 나타난다.
원래, 전력 배선 방식에 있어서는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에서는 점차적으로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덕트는 대용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려워서 절연체를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 덕트 안에 내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의 전기공급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덕트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부스덕트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및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시설물에 적용되고 있다.
부스덕트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정 크기의 덕트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어셈블리(unit)로 제조된 후 설치 하고자 하는 시설 및 배전 설계에 맞추어 연결 시공된다.
이때 단위 어셈블리로 제조된 부스덕트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접속부가 구비된다. 즉, 각각의 부스덕트 어셈블리는 접속부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부스덕트 어셈블리의 경우, 하우징과 내부 부스바를 조립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를 많이 필요로 하여 구성 부품이 많아져서 구조가 복잡하고 원가가 상승하는 한편,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내부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는 부스덕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마련되어 상기 상부 결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 및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를 외측에서 가압도록 마련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결합부의 외면과 상기 하부 결합부의 외면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며 경사면을 가압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결합부는 아래를 항하여 개방되는 상부홈과, 상부 홈 옆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부 돌출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상부 경사부와, 그 외면에 마련되는 상부 외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부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 간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가 되는 하부 돌출부와, 상부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부 홈과, 하부 홈의 옆에 마련되며 상부 경사부와 밀착될 수 있는 하부 경사부와, 하부 결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 결합시 상부 외면부와 함께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는 하부 외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돌출부와 하부 홈은 상호 이격되며, 그 이격된 공간 내부에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온도 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연결하는 라인이 배치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결합부의 경사면 및 하부 결합부의 경사면에 상기 리세스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수렴되도록 마련되고, 상부 결합부의 경사면 및 하부 결합부의 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리세스부에 가해지는 힘의 반력은 분산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 및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를 외측에서 가압도록 마련되는 결합블록이 있어서, 조립이 간편해지고,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둘째, 상부 결합부의 외면과 하부 결합부의 외면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며 경사면을 가압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의 결합을 위한 힘이 집중되어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의 분리나 이탈이 방지된다.
셋째, 상부 결합부는 상부 부스덕트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홈과, 상기 제1홈과 인접하게 마련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의 측면을 감싸서 덮는 측면 커버부를 포함함으로써,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 간의 결합 틈새가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넷째, 제1돌출부와 제2홈 사이의 공간 또는 제1홈과 제3돌출부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해당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부스덕트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 간의 유격 발생이 방지되어 두 결합부 간의 결합이 안정적이 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덕트 어셈블리와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 부스덕트 하우징을 분리한 정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부스덕트 하우징에 결합 블록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부스덕트 하우징에 결합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서 연결 어셈블리가 부스덕트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에서, 접속부와 절연 스페이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b)는 본 발명에서, 접속부와 절연스페이서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서 연결 어셈블리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연결 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부스덕트 어셈블리와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결합볼트, 디스크부, 결합너트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부 일부 분해 사시도 및 하부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서, 부스덕트 어셈블리와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체의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어셈블리(100)는 소정 방향으로 길게 배열되며, 그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부스덕트 어셈블리(100)가 각각 연결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부스덕트 어셈블리(100)의 사이에는 연결 어셈블리(2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결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각각의 부스덕트 어셈블리(100)에 마련되는 부스바(미도시) 및 부스바에 연결된 접속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우선 부스덕트 어셈블리(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 덕트 어셈블리(100)의 외관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 덕트 하우징(120)이 주된 역할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 덕트 하우징(120)은 상하로 배치되어 결합되고, 그 결합은 상부 덕트 하우징(110)의 측벽(112) 하단부에 마련되는 상부 결합부(115) 및 하부 덕트 하우징(120)의 측벽(122) 상단부에 마련되는 하부 결합부(125)가 맞물림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은 상호 이격되는 두 개의 측벽(112)과 각 측벽(112)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술한 연결 하우징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날개부(111)를 포함한다.
그리고, 두 개의 측벽(112)의 중단에서 두 개의 측벽(112)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면(113)이 좌우로 연장되게 마련되고, 상부 지지면(113)의 가운데에는 온도 센서(미도시) 또는 온도 센서를 연결하는 라인(미도시)가 결합되는 삽입홈(114)이 마련된다.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상부 결합부(115)는 측벽(1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부 결합부(115)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상부 결합부(115)는 안쪽 또는 내측에 형성되는 상부홈(115a)과, 상부홈(115a)보다 바깥쪽에 마련되며 아래로 돌출되거나 연장되는 상부 돌출부(115b)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 돌출부(115b)의 외측에는 상부 돌출부(115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며, 후술할 하부 경사면(125c)에 면접되는 상부 경사면(115c)를 포함한다.
한편, 상부 결합부(115)의 상부에는 평면 및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상부 외면부(115d)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부홈(115a)보다 안쪽에는 상부 내면부(115e)가 마련된다.
하부 결합부(125)는 상부 결합부(115)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부 결합부(115)와 결합되어 맞물리는 구조이다.
하부 결합부(125)는 안쪽 또는 내측에 형성되어 상부홈(115a)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부 돌출부(125a)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을 상하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가 결합되는데, 하부 돌출부(125a)가 자연스럽게 상부 홈(115a)에 삽입되어 맞물려서 결합이 자연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 돌출부(125a)는 경사면이 있는 산 형태로 되어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부홈(115a)는 경사면이 있는 골 형태로 되어 있어서 입구에서 안쪽으로(상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다만, 이러한 돌출부와 홈의 관계는 역전될 수 있다. 즉, 돌출부가 상부 결합부(115)에 형성될 수 있고, 홈이 하부 결합부(125)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돌출부(125a)의 외측에는 하부홈(125b)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홈(125b)에는 실링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고, 실링부재(1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돌출부(115b)가 진입함으로써, 하부홈(125b)과 함께 실링부재(140)를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홈(115a)은 하부 돌출부(125a)와 면접되고 맞물릴 수 있지마나, 하부홈(125b)과 상부 돌출부(115b)는 그 사이에 실링부재(140)가 들어가야 하므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하부 홈(125b)와 내주면과 상부 돌출부(115b)의 외주면은 이격되어야 한다.
한편, 하부홈(125b)의 외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125c)가 마련되고, 이 하부 경사면(125c)는 상부 경사면(115c)와 면접되어 밀착된다. 상부 경사면(115c)의 길이와 하부 경사면(125c)의 길이는 대응되게(거의 동일하게 또는 동일하게)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결합부(125)의 외측면과 하부면에는 하부 외면부(125d)가 경사면과 수직면과 수평면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가 맞물려서 결합되면, 상부 외면부(115d)와 하부 외면부(125d)가 연속되는 면 형태로 된다.
상부 외면부(115d)와 하부 외면부(125d)가 연속되는 면 상태가 되는 경우, 추후에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를 감싸는 결합블록(130, 도3조)의 리세스부(131)의 내면이 상부 외면부(115d)와 하부 외면부(125d)와 밀착하여 이들과 맞물리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3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고, 이를 위해서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블록(130)이 결합된 상태(좌측) 및 결합되기 전의 상태(우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결합블록(130)이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의 날개부(111) 및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날개부(12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볼트(135)가 결합 블록(130)의 체결공(132)을 관통하여 측벽(112, 122) 내면에 마련되는 체결 너트(13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리세스부(131) 내면이 상부 결합부(115)에 형성되는 상부 외면부(115d) 및 하부 결합부(125)에 형성되는 하부 외면부(125d)에 밀착된다.
두꺼운 흑색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리세스부(131)는 하향 경사부(115d) 및 상향 경사부(125d)를 가압하고 가압하는 방향은 가운데서 수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에 반력에 의하여 리세스부(131)를 향하는 힘은 분산될 수 있어서, 리세스부(131)에 가해지는 반력에 의한 하중은 분산되어 결합 블록(130)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결합블록(130)이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의 날개부(111) 및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날개부(12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완전하게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결합블록(130)의 상단테두리와 하단 테두리에는 걸림홈(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홈(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111, 121)의 단부에는 걸림단차(116, 126)가 형성된다.
한편,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 사이에는 실링부재(140)가 마련되는데, 실링 부재(140)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스트랩이나 튜브로 구현되어,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도4에서는 실링부재(140)가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5)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마련되는 지지판(113, 123) 사이에는 복수개(바람직하게는 4개)의 부스바(B)가 적층되는 상태로 배열되고, 각 부스바의 표면에는 피복이나 기타 절연재가 마련되어 상호 통전이 방지되는 절연 상태가 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7는 부스덕트 어셈블리(100)와 연결 어셈블리(20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부스덕트 하우징(110,120)의 사이의 공간에는 연결 하우징(210, 220)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스덕트 하우징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 이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서 양 측면에서 결합 블록(130)이 결합된다.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측벽(112, 122)은 안쪽으로 들어간 공간을 형성하며, 각 측벽(112, 122)의 상단과 하단에는 날개부(111, 121)가 형성되고, 날개부(111, 121)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측벽(112, 122)이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 결합 블록(130)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결합블록(130)이 삽입되는 경우, 그 결합이 공고해질 수 있으면서 또한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 간의 결합도 공고해질 수 있도록 상부 결합부(115)와 하부 결합부(120)가 각 하우징(110, 120)의 측벽(112, 122)에 형성되어 물린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다.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의 지지면(113)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지지면(123) 사이에는 복수의 부스바(B)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적층되어 배열된다. 복수의 부스바(B)는 부스덕트 하우징(110, 12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연장된다.
각 부스덕트 어셈블리(100) 사이에는 연결 어셈블리(200)가 마련된다.
연결 어셈블리(200)는 연결 하우징(210, 220)이 연결 어셈블리(200)의 상부와 하부를 구성하면서,그 내부에는 부스바(B)에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부(C) 및 각 접속부(C) 사이에 배열되는 절연 스페이서(230)를 수용한다.
그리고, 연결 하우징(210. 220)과 복수의 접속부(C), 복수의 절연 스페이서(230)는 결합 볼트(24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고, 결합 볼트(240)의 하단에는 결합 너트(도9참조, 260)가 배치되어 결합 볼트(240)를 연결 하우징(210, 22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결합볼트(240)는 두 개가 마련되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는데, 그 수량은 두 개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한 개도 가능하고 두 개를 초과한 복수개가 될 수도 있다.
연결 하우징(210, 220)은 'ㄱ'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 및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결합판(211, 221)과, 결합판(211, 221)에서 연장되어 절연 스페이서(230) 및 접속부(C)를 상하로 덮는 연장판(212, 222)을 포함한다.
결합판(211, 221)의 수평부(211a, 221a)는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날개부(111,1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고, 결합판(211, 221)의 수직부(211b, 221b)는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결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결합판(211, 221)중 상부에 있는 결합판은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110)과 밀착되어 접지면 역할을 수행하고 하부에 있는 결합판(211, 221)은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120)과 밀착되어 전원부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그 역할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연결 하우징(210, 220)은 하나의 부스덕트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제1연결 하우징(210)과, 다른 부스덕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연결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연결 하우징(210)은 제2연결 하우징(220)을 덮어서 외측(상측 또는 하측)에 노출되며, 이에 의하여 제2연결 하우징(210)은 제1연결 하우징(220)에 의하여 외측(상측 또는 하측)에서의 노출이 방지된다.
제1연결 하우징(210)이 제2연결 하우징(220)을 덮는 경우에는 제1연결 하우징(210)의 연장판(212)이 제2연결 하우징(220)의 연장판(222)을 상부 영역(절연 스페이서(230) 및 접속부(C)가 적층되어 있는 모듈의 상부)과 하부 영역(절연 스페이서(230) 및 접속부(C)가 적층되어 있는 모듈의 하부)에서 덮어서 적층되는 형태로 된다.
따라서 상부에 있는 제1연결 하우징(210)은 상부에 있는 제2연결하우징(220)과 밀착되어 통전되고, 하부에 있는 제1연결하우징(210)은 하부에 있는 제2연결 하우징(220)과 밀착되어 통전될 수 있다.
제1연결 하우징(210)의 연장판(212) 외면에는 디스크부(2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부(213)가 마련된다. 여기서 디스크부(250)는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여 결합볼트(240) 및 결합너트(260)가 결합되어 그 체결력이 증가하는 경우, 연장판(212, 222)을 상하 방향으로 눌러서 연결 어셈블리(200)의 결합상태가 좀더 개선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기능한다.
이를 위해서 레일부(213)의 양측은 개방되어 있어서, 개방된 양측으로 디스크부(25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하우징(210, 220)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은 상하 방향은 막혀있고,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양측면에서 보면, 각 부스바(B)에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접속부(C) 사이에는 절연스페이서(230)가 마련된다.
따라서 각 상(phase)를 담당하는 각각의 부스바(B)는 서로 간에 절연된다. 예컨대 제1 부스덕트 어셈블리(100)에서 연장된 특정상(예, R상)을 담당하는 접속부는 제2부스덕트 어셈블리(100)에서 연장된 특정상(예, R상)을 담당하는 접속부와 밀착되어 접속되고 통전될 뿐, 다른 상을 담당하는 접속부와는 절연상태가 된다.
도8는 부스바(B)와 접속부(C), 그리고 절연 스페이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a)는 접속부(C)와 절연스페이서(23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8(b)는 접속부(C)와 절연 스페이서(230)가 밀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접속부(C)는 부스바(B)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접속부는 상호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벌어져서 배치된다.
한편, 각각의 접속부(C)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 스페이서(230)의 후방 또는 전방은 접속부(C)가 진입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 벽(232)이 없는 상태가 되고, 그 나머지 영역에는 접속부(C)가 절연 스페이서(2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테두리 벽(2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테두리 벽(232)이 마련되기 때문에 접속부(C)가 절연 스페이서(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테두리 벽(232)에 걸려서 그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각 절연 스페이서(230) 및 각 접속부(C)의 단부에는 'U'자 형의 개구부(231, C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31, C1)를 통해서 결합볼트(240)가 삽입되고, 결합볼트(240)가 결합 너트(260)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절연 스페이서 (230)및 접속부(C)를 가압하여 절연 스페이서(230) 및 접속부(C)의 밀착상태가 공고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다.
절연 스페이서(23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접속부(C)가 각각 분리되어 절연상태가 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동일한 상(phase)를 담당하는 접속부끼리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에서 다른 상(phase)를 담당하는 접속부 끼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가 된다.
도9에서 좌측의 있는 접속부(C)와, 우측에 있는 접속부(C)는 절연 스페이서 사이(230)에 배치되어 면접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서 위에서 첫번째와 두번째 절연 스페이서(230) 사이에는 R상을 담당하는 접속부(C) 두 개가 면접하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두번째와 세번째 절연 스페이서(230) 사이에는 S상을 담당하는 두 개의 접속부(C)가 각각 면접하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세번째와 네번째 절연 스페이서(230) 사이에는 T상을 담당하는 접속부(C)가 각각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동일한 상을 담당하는 접속부(C) 끼리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상을 담당하는 접속부 끼리는 절연 스페이서(230)에 의하여 절연되어 분리된다.
따라서, 도1 및 도5 내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스덕트 어셈블리(100) 및 연결 어셈블리(200)의 연결상태를 보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부스덕트 어셈블리(100) 사이에 연결 어셈블리(200)가 배치되어 복수의 부스덕트 어셈블리(100) 및 연결 어셈블리(200)의 결합체가 길게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10은 연결 하우징(210, 220)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연결 하우징(210, 220)은 외부 연결 하우징(210)과, 내부 연결 하우징(220)을 포함하며, 외부 연결 하우징(210)은 상하 방향으로 두개가 마련되고, 내부 연결하우징(220)도 상하 방향으로 두개가 마련된다.
도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있는 외부 연결 하우징(210)과 상부에 있는 내부 연결 하우징(220)은 서로 일부가 중첩되어 있고, 도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있는 외부 연결 하우징(210)과 하부에 있는 내부 연결 하우징(220)도 서로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되어 절연 스페이서(230)와 접속부(C)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외부 연결 하우징(210)에는 부스 덕트 하우징(110, 120)에 결합되며 접지부가 되는 결합부(211)와, 결합부(21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12)가 마련되어 있고, 내부 연결 하우징(220)에도 부스 덕트 하우징(110, 120)에 결합되는 결합부(221)와, 결합부(22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22)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211, 221)는 다시 수평 결합부(211a, 221a)와, 수직 결합부(211b, 221b)로 구분되며, 수평 결합부(211a, 221a)는 부스덕트 하우징의 날개부(111, 121)에 밀착되고, 수직 결합부(211b , 221b)는 부스덕트 하우징의 전단면 또는 후단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연장부(212, 222)는 수직 결합부(211b , 221b)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데, 연장부(212, 222)는 수직 결합부(211b , 221b)에서 경사면 형태로 마련되는 경사 연장부(212a, 222a) 및 경사 연장부(212a, 222a)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212b, 222b)를 포함한다.
외측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의 자유단부에는 위로(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212c)가 형성되는데, 이 절곡부(212c)의 역할은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내측 연결 하우징(220)의 수평 연장부(222b)가 외측 연결 하우징(210)의 내면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외부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d)와 내부 연결 하우징(220)의 수평 연장부(222d)가 서로 밀착되어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의 일면에는 돌기 형태의 걸림턱(212d)이 형성되고, 내부 연결 하우징(220)의 수평 연장부(222b)의 자유단부에는 걸림턱(212d)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경사단부(222c)가 형성된다.
외부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디스크부(2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부(213)가 마련되며, 레일부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레일부(213) 사이에는 디스크부(250)가 삽입되는 디스크 삽입공간(214)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213)는 수평 연장부(212b)의 표면에서 외측방향(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디스크 부재(250)가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체결 너트(260)가 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체결 너트(260)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2지지부에 단부에 걸려서 상기 체결 너트(26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9에서 나타난 디스크부(250)는 그 측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보다는 절곡되어 곡면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내면은 리세스지게 형성되고, 외면은 약간 우산의 외면과 같이 중앙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에서 테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부(250)가 이런 형상을 가짐으로써, 후술할 결합 볼트가 결합되어 조여지는 경우, 디스크(250)가 수평 연장부(212b) 표면에 닿고, 이를 결합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제공할 수 있어서, 연결 어셈블리(200)의 전체적인 결합 상태가 공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9 및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디스크부(250)가 상부의 외측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의 레일부(213)에 삽입되고, 또한, 하부에 위치한 디스크부(250)가 하부의 외측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의 레일부(2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볼트(2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면, 결합볼트(240)가 상부에 있는 디스크부(250), 상부에 있는 외부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 상부에 있는 내부 연결 하우징(220)의 수평 연장부(222b), 복수의 절연 스페이서(230), 복수의 접속부(C), 하부에 있는 내부 연결 하우징(220)의 수평 연장부(222b), 하부에 있는 외부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b)와, 하부에 위치한 디스크부(250)를 관통하고, 궁극적으로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있는 디스크부(260) 아래의 결합 너트(260)에 결합된다.
한편, 도9 및 도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 볼트(240)의 구성을 보면 이중 헤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아래로 로드부(244)와, 로드부(244) 하단의 나사산부(245)를 포함한다.
이중 헤드의 경우, 최상단의 제1헤드(241)와, 제1헤드(241)와 이격되어 그 아래에 배치되는 제2헤드(242)를 포함하고, 제1헤드(241)와 제2헤드(242) 사이에는 좁은 넥(neck)부(243)가 마련되어 있다.
넥부(243)의 외경은 제1헤드(241) 및 제2헤드(242)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1헤드(241)의 외경은 제2헤드(242)보다 좁게 형성되며, 제1헤드(241)의 높이는 제2헤드(242)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2과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볼트(240)가 연결 어셈블리(2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태에서 결합 볼트(240)가 결합 너트(260)와 결합되면,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헤드(241)에 과잉토크를 주어서 제1헤드(241)를 절단한다. 이상태에서 상부에는 넥부(243) 일부와 제2헤드(242)가 남는다. 제1헤드(241)는 조립 작업을 위해서 제공되는 임시적인 헤드이고, 상부의 디스크부(250)에 걸려서 상부의 디스크부(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는 제2헤드(242)이다. 도9 및 도11 및 도12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270은 제1헤드(241)에 과잉토크를 주어 절단하라는 안내문이 표시된 안내부이다.
도14과 같이 결합 볼트(240)가 완전하게 결합 너트(260)하고 결합하여 조여지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디스크부(250)가 수평 연장부(212b, 222b) 표면에 밀착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수평 연장부(212b, 222b)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력은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절연 스페이서(230)와 각 접속부(C) 간의 밀착 상태를 높이고, 이에 의하여 동일한 상을 갖는 부스바(B)들간의 면접 및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외부 연결 하우징(210)의 수평 연장부(212)의 내면에는 내부 연결 하우징(220)의 수평 연장부(222)의 외면이 밀착되고, 걸림턱부(212d)에는 경사 단부(222c)가 끼워져서 그 위치가 고정되고 ,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부스덕트 어셈블리 110: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
115: 상부 결합부 120: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
125: 하부 결합부 130: 결합 블록
200: 연결 어셈블리 210: 외부 연결 하우징
220: 내부 연결 하우징 230: 절연 스페이서
240: 결합 볼트 250: 디스크부
260: 결합 너트

Claims (7)

  1. 부스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부스덕트 어셈블리는;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을 포함하는 부스덕트 하우징과,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마련되어 상기 상부 결합부와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과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이 결합하도록 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 및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를 외측에서 가압도록 마련되는 결합블록과,
    부스덕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부스바와;
    각각의 부스바에서 연장되는 접속부와;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연결 어셈블리는;
    부스덕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연결 하우징과,
    상기 연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부스덕트의 부스바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접속부를 연결 하우징 내부에서 각각 이격시키며 절연시키는 절연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하우징 및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절연스페이서를 관통하면서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와;
    상기 결합 볼트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연결 하우징 상면 또는 하면에 마련되어 연결 하우징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고 그 하면 또는 상면에 곡면 형태의 외주면을 가지는 디스크부와;
    상기 결합 볼트와 결합되어 결합 볼트가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하우징은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연결 하우징 및 상기 외부 연결 하우징와 면접되게 배치되는 내부 연결 하우징으로 구분되어, 두 개로 마련되어 상기 절연스페이서 및 상기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외부 연결 하우징은 부스덕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내부 연결 하우징은 모두 부스덕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연결 하우징의 연장부 외면에는 상기 디스크부가 삽입되어 디스크 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외부 연결 하우징의 연장부는; 그 자유단부에 마련되어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그 내면에 상기 내부 연결 하우징의 자유단부가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내부 연결 하우징의 연장부는; 상기 외부 연결 하우징의 걸림턱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단부를 포함하고,
    레일부는 연장부의 표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디스크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결합 너트가 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결합 너트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2지지부에 단부에 걸려서 상기 결합 너트의 회전이 제한되고,
    접속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 스페이서의 후방 또는 전방은 접속부가 진입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 벽이 없는 상태가 되고, 그 나머지 영역은 접속부가 절연 스페이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된 테두리 벽이 형성되며,
    절연 스페이서와 접속부의 단부에는 각각 U자 형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를 통해서 결합볼트가 삽입되고, 결합볼트가 결합 너트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절연스페이서 및 접속부를 가압하여 이들을 밀착시키며,
    상기 결합볼트는 이중 헤드를 갖도록 형성되되, 이중 헤드는
    상기 결합볼트의 최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와 이격되며 제1헤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 사이에 마련되는 넥(neck)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의 외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의 외면에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결합부의 외면에 있는 경사면 및 상기 하부 결합부의 외면에 있는 경사면에 대응되며 이들을 가압하는 리세스부가 형성며,
    상기 상부 결합부는 아래를 항하여 개방되는 상부홈과, 상부 홈 옆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부 돌출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상부 경사부와, 그 외면에 마련되는 상부 외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부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 간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가 되는 하부 돌출부와, 상부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부 홈과, 하부 홈의 옆에 마련되며 상부 경사부와 밀착될 수 있는 하부 경사부와, 하부 결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 결합시 상부 외면부와 함께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는 하부 외면부를 포함하며,
    상부 돌출부와 하부 홈은 상호 이격되며, 그 이격된 공간 내부에 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부 부스덕트 하우징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온도 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연결하는 라인이 배치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8247A 2018-04-02 2018-04-02 부스덕트 어셈블리 KR10196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247A KR101965606B1 (ko) 2018-04-02 2018-04-02 부스덕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247A KR101965606B1 (ko) 2018-04-02 2018-04-02 부스덕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06B1 true KR101965606B1 (ko) 2019-04-04

Family

ID=6610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247A KR101965606B1 (ko) 2018-04-02 2018-04-02 부스덕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74B1 (ko) * 2020-03-02 2020-12-09 임민우 부스덕트 어셈블리
CN117387796A (zh) * 2023-11-06 2024-01-12 山东平安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密集母线温度采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55B1 (ko) * 2006-11-27 2008-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100986678B1 (ko) * 2009-11-30 2010-10-08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20160000724U (ko) * 2016-01-20 2016-03-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체결상태 확인이 용이한 부스덕트 조인트 키트 및 그 접속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55B1 (ko) * 2006-11-27 2008-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100986678B1 (ko) * 2009-11-30 2010-10-08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20160000724U (ko) * 2016-01-20 2016-03-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체결상태 확인이 용이한 부스덕트 조인트 키트 및 그 접속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74B1 (ko) * 2020-03-02 2020-12-09 임민우 부스덕트 어셈블리
CN117387796A (zh) * 2023-11-06 2024-01-12 山东平安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密集母线温度采集装置
CN117387796B (zh) * 2023-11-06 2024-03-26 山东平安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密集母线温度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4143A (en) Bus duct joint employing lightly-loaded multiple-point electrical connector
US3104276A (en) Through-bolt joint for bus duct
US3365537A (en) Waterproof thru-bolt joint for joining adjacent sections of an electric power busway
US4678253A (en) Bus duct having improved bus bar clamping structure
US3004097A (en) Busway system
US3183298A (en) Bus bar connecting means
US8163998B2 (en)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KR101965606B1 (ko) 부스덕트 어셈블리
CA2906634A1 (en) Joint assembly for a busduct
KR102195372B1 (ko)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US4728752A (en) 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bus ducts having unequal numbers of runs
KR101962953B1 (ko) 공기절연을 활용한 부스덕트
KR100958487B1 (ko) 컴팩트화가 가능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JP2012124160A (ja) 母線路構成部品を結合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3717840A (en) Electrical circuit connection
US4093970A (en) Main lug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US3818417A (en) Phase collector assembly for multiple run busway
US3489846A (en) Busway joint cover with expansion accommodating means
US3458768A (en) Electric meter-mounting and fuse-holder assembly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US3009011A (en) Distribution system
KR102463628B1 (ko) 부스덕트
KR100912577B1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20180111522A (ko) 부스덕트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