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239A -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239A
KR20110041239A KR1020090098320A KR20090098320A KR20110041239A KR 20110041239 A KR20110041239 A KR 20110041239A KR 1020090098320 A KR1020090098320 A KR 1020090098320A KR 20090098320 A KR20090098320 A KR 20090098320A KR 20110041239 A KR20110041239 A KR 2011004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ule
side terminal
terminal
insulating cas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근 홍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09009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239A/ko
Publication of KR2011004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절연케이싱과; 상기 절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된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케이싱의 양측에 각각 수용되며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되는 입력측 단자모듈 및 출력측 단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며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변류기, 단자, 단자 조립체

Description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ZCT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입력측 단자모듈과 출력측 단자모듈을 영상변류기와 함께 절연케이싱 내부에 수용한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 전기설비에는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를 선택적으로 분기 설치하여 배전 계통과 각종 분기 선로의 단락 또는 지락사고로 인한 과대전류가 사용부하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거나 단속함으로써 부하의 사용에 따른 인체의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각각의 선로에서 발생되는 누전상태를 알지 못함에 따라 지락사고에 의한 인체의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고,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부하와 연결되는 단상이나 3상 또는 중성선이 포함된 배선용 차단기의 출력선로에 각상으로 흐르는 전류균형의 붕괴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를 설치한다.
도 1은 종래 영상변류기 조립체(10)의 입력단자(13)와 출력단자(14)에 케이블(15)을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영상변류기 조립체(10)는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구비된 영상변류기(11)와, 영상변류기(11)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입력단자(13) 및 출력단자(14)를 포함한다. 케이블(15)의 접속단(16)은 입력단자(13)와 출력단자(14)와 겹쳐지게 배치되고 나사(17)에 의해 상호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영상변류기 조립체(10)는 접속단(16)과 단자(13,14)가 나사(17)에 의해 고정되므로 외력이 작용하면 나사(17)를 중심으로 케이블(15)이 좌우로 회동되는 경우가 있었다. 케이블(15)이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이웃하는 케이블(15)과의 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케이블(15) 사이에 고압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영상변류기 조립체(10)는 입력단자(13)와 출력단자(14)가 영상변류기(1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케이블(15)과의 조립을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배전반 내에서 영상변류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여 배전반 내에서 영상변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변류기와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 및 출력측 단자모듈 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켜 영상변류기의 절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는 절연케이싱과; 상기 절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된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케이싱의 양측에 각각 수용되며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되는 입력측 단자모듈 및 출력측 단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케이블 단자 모듈은, 상기 절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의 가운데영역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하부영역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가압단자와; 상기 수용박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영상변류기까지 연장형성된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박스의 상부영역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케이블수용공간에 케이블이 수용될 경우 상기 상부가압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가압단자와 상기 접촉단자가 상기 케이블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단자모듈은 상기 절연케이싱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이웃하는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단자모듈 사이에는 상기 절연케이싱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케이블을 절연시키는 절연판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단자모듈은 상기 절연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는 영상변류기와 입력측 단자모듈 및 출력측 단자모듈이 모두 절연케이싱 내부에 수용되므로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싱이 입력측 단자모듈과 출력측 단자모듈을 모두 감싸고 있으므로 절연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과 출력측 단자모듈 사이에 절연판이 구비되어 케이블 사이의 유동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의 구 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의 개략도이고, 도4는 도2의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는 절연케이싱(110)과, 절연케이싱(110) 내에 수용된 영상변류기(120)와, 절연케이싱(110)의 양측에 각각 수용된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130) 및 출력측 단자모듈(160)과,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판(140)을 포함한다.
절연케이싱(110)은 절연부재로 구비되어 영상변류기(120)와 입력측 단자모듈(130) 및 출력측 단자모듈(160)을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의해 영상변류기(120)와 단자모듈(130,160) 사이의 절연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절연케이싱(110)은 영상변류기(120), 단자모듈(130,160)과 일체로 구비된다. 절연케이싱(110)은 영상변류기(120)의 형상과 크기, 단자모듈(130,160)의 개수와 형태 등에 적합하도록 성형된다. 이를 위해 절연케이싱(11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소재로 구비되며 사출 등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절연케이싱(110)의 상면에는 가압나사(139)가 삽입되는 제1나사수용공(111)이 관통형성된다. 제1나사수용공(111)은 후술할 수용박스(131)의 제2나사수용공(133)의 위치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가압나사(139)가 승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작업자는 제1나사수용공(111)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작업공구를 삽입하여 제1나사수용공(111) 내부에 수용된 가압나사(139)를 회전시켜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케이싱(110)의 상면에는 영상변류기 출력단(121)이 수용되는 출력단 수용공(115)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절연케이싱(110)의 양측단에는 복수의 절연판(140)이 결합되는 절연판 결합슬릿(117)이 구비된다. 절연판 결합슬릿(117)은 절연케이싱(110)의 판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절연판(140)이 걸림결합된다. 이를 위해 절연판 결합슬릿(117)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판(140)의 단부형상에 대응하는"T"자 형태로 구비된다.
영상변류기(120)는 절연케이싱(110)의 내부에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 사이에 구비된다. 영상변류기(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을 상호 연결하는 접촉단자(137)가 관통되도록 배치되고, 접촉단자(137)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영상변류기(120) 내부에 존재하는 환형 철심(미도시)를 통해 누전 상태를 검출하여 영상변류기 출력단(121)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영상변류기(12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은 절연케이싱(110) 내부에 영상변류기(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은 각각 내부에 케이블(150)을 수용한다.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은 구성이 동일하므로 입력측 단자모듈(13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 한다.
입력측 단자모듈(130)은 절연케이싱(110)의 일단부 영역에 수용된다. 입력측 단자모듈(130)은 절연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박스(131)와, 수용박스(131)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가압단자(135)와, 수용박스(131)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을 상호 연결하는 접촉단자(137)와, 상부가압단자(135)를 아랫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나사(139)를 포함한다.
수용박스(131)는 절연부재로 구비되며 절연케이싱(110) 내에 수용된다. 수용박스(131)는 내부에 케이블(1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개방된 수용박스(131)의 일측면은 절연케이싱(110) 외측으로 노출되게 절연케이싱(110)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수용박스(131 ) 내부로 케이블(150)을 삽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
수용박스(131)의 상면에는 제2나사수용공(133)이 관통형성된다. 제2나사수용공(133)은 제1나사수용공(111)을 통해 삽입된 가압나사(139)를 수용박스(131) 내부로 삽입시킨다. 제2나사수용공(133)의 판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압나사(139)가 수용박스(131)를 기준으로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다.
상부가압단자(135)는 수용박스(131)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수용박스(131)를 상하의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구획된 수용박스(131)의 상부영역은 가압나사(139)가 수용되고, 하부영역은 케이블(150)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부가압단자(135)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재질로 구비되어 수용박스(131)에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상부가압단자(135)는 가압나사(139)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케이블(150)을 구속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150)이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입력측 단자모듈(130)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접촉단자(137)는 수용박스(131)의 하단면에 구비되어 케이블(15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접촉단자(137)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영상변류기(120)를 관통하여 출력측 단자모듈(160)까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입력측 단자모듈(130)을 통해 유입된 전류를 영상변류기(120)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나사(139)는 제1나사수용공(111)과 제2나사수용공(133)을 통해 삽입되어 상부가압단자(135)를 가압한다. 가압나사(139)는 수용박스(131) 내부에 케이블(150)이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부가압단자(135)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수용박스(131) 내부에 케이블(150)이 삽입되면 상부가압단자(135)와 접촉되며 가압한다. 가압나사(139)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승할 경우 상부가압단자(135)로부터 이격되고, 하강할 경우 상부가압단자(135)와 접촉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는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이 각각 세 개씩 구비된다.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절연케이싱(110) 내에 수용된다.
절연판(14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에 접속된 케이블(150)의 유동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한다. 절연판(140)은 절연케이싱(110)의 절연판 결합슬릿(117)에 결합되며 절연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절연판(140)의 길이는 케이블(150)의 굵기와 단자모듈(130,160)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절연판(140)은 절연케이싱(1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의 케이블(150) 결합과정을 도2 내지 도5를 참조로 설명한다.
작업자는 절연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드러난 입력측 단자모듈(130)의 수용박스(131) 내부로 케이블(150)을 삽입한다. 케이블(150)을 삽입한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나사(139)를 회전시켜 상부가압단자(135) 측으로 하강시킨다. 가압나사(139)의 하강에 의해 상부가압단자(135)는 케이블(150) 상부를 가압한다. 케이블(150)은 가압나사(139)의 가압에 의해 상부가압단자(135)와 접촉단자(137) 사이에 구속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150)로부터 공급된 전류는 접촉단자(137)를 통해 영상변류기(120)와 출력측 단자모듈(160)로 전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는 영상변류기와 입력측 단자모듈 및 출력측 단자모듈이 모두 절연케이싱 내부에 수용되므로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싱이 입력측 단자모듈과 출력측 단자모듈을 모두 감싸고 있으므로 절연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측 단자모듈과 출력측 단자모듈 사이에 절연판이 구비되어 케이블 사이의 유동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 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a)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는 절연케이싱(110) 내에 입력측 단자모듈(130)과 출력측 단자모듈(160)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 경우 절연성능과 사용의 안정성은 높일 수 있으나 절연케이싱(110)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100a)는 입력측 단자모듈(130a)과 출력측 단자모듈(160a)이 절연케이싱(110a)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절연케이싱(110a)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케이싱(110a)에는 수용홈(119)을 형성하고, 입력측 단자모듈(130a)의 수용박스 외측에는 수용홈(119)에 수용되는 수용돌기(132)를 형성하여 조립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방식은 일예일 뿐이며 절연케이싱(110a)과 단자모듈(130a,130b)의 조립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 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영상변류기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의 조립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110 : 절연케이싱
111 : 제1나사수용공 115 : 출력단 수용공
117 : 절연판 결합슬릿 120 : 영상변류기
121 : 영상변류기 출력단 130 : 입력측 단자모듈
131 : 수용박스 133 : 제2나사수용공
135 : 상부가압단자 137 : 접촉단자
139 : 가압나사 140 : 절연판
150 : 케이블 160 : 출력측 단자모듈

Claims (5)

  1. 절연케이싱과;
    상기 절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된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케이싱의 양측에 각각 수용되며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되는 입력측 단자모듈 및 출력측 단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케이블 단자 모듈은,
    상기 절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의 가운데영역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하부영역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가압단자와;
    상기 수용박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영상변류기까지 연장형성된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박스의 상부영역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케이블수용공간에 케이블이 수용될 경우 상기 상부가압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가압단자와 상기 접촉단자가 상기 케이블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단자모듈은 상기 절연케이싱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이웃하는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단자모듈 사이에는 상기 절연케이싱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케이블을 절연시키는 절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단자모듈과 상기 출력측 단자모듈은 상기 절연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KR1020090098320A 2009-10-15 2009-10-15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KR20110041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20A KR20110041239A (ko) 2009-10-15 2009-10-15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20A KR20110041239A (ko) 2009-10-15 2009-10-15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39A true KR20110041239A (ko) 2011-04-21

Family

ID=4404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320A KR20110041239A (ko) 2009-10-15 2009-10-15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2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65B1 (ko) * 2019-06-03 2020-07-20 주식회사 테스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65B1 (ko) * 2019-06-03 2020-07-20 주식회사 테스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692B2 (en) Connecting element for the connection of switching devices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JP6209277B2 (ja) バスバーキット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KR10099685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EP4082081B1 (en) Four pole outgoing plugging assembly
EP3731356B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KR20140071110A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110041239A (ko)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EP1346387B1 (en) Supporting base for a circuit breaker
CN108511999B (zh) 一种英标插头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CN218769346U (zh) 漏电保护组件
JP2006166622A (ja) 避雷器付分電盤
CN218996633U (zh) 断路器底座及配电设备
JP2007318875A (ja) 住宅用分電盤
CN221552580U (zh) 漏电保护组件及配电箱
CN218602350U (zh) 断路器
CN210403622U (zh) 断路器
KR101582610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용 메일 커넥터
KR101551907B1 (ko)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CN216528682U (zh) 一种电隔离机构及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