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734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34B1
KR102174734B1 KR1020200031982A KR20200031982A KR102174734B1 KR 102174734 B1 KR102174734 B1 KR 102174734B1 KR 1020200031982 A KR1020200031982 A KR 1020200031982A KR 20200031982 A KR20200031982 A KR 20200031982A KR 102174734 B1 KR102174734 B1 KR 102174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eating
electric
cent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20003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전기선이 바닥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ELECTRIC DISTRIBUTING WIRES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전기선이 바닥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구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선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전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기구는 생활환경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건축물의 건설과정에서 전기의 배선구조가 이루어져 위치된 콘센트에 전선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전기기구는 건축물에 위치된 플러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기구의 사용위치에 따라 플러그에 연결하고자 하는 콘센트가 구비된 전선을 바닥에 길게 늘여서 사용하거나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 등을 통하여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전선이 고정되도록 사용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건축물에 구비된 콘센트는 건축물의 건설 과정에서 그 위치가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으로 이러한 콘센트와 각종 전기기구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기구의 전선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로 노출되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공간의 활용도를 낮추거나 공간의 미감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명 전선 쫄대라고 불리우는 장형의 플라스틱 몰딩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쫄대는 바닥면의 상부에 접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바닥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한 전기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을 바닥면 또는 벽체에 매립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들은 매설된 전선이 손상을 입는 경우에는 이를 손쉽게 유지 보수 하기가 어려웠으며, 유지 보수를 이루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원을 건축물에 이미 설치된 플러그로만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기기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기구의 전선을 다시 바닥에 늘여서 위치시키거나 쫄대 등을 통하여 재 고정해야 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73735(2010.07.28)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86376(2007.12.1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바닥면으로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외부 노출 없이 안전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된 전선이 복수개의 콘센트가 구비된 분배함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기기구의 위치를 변경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기기구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바닥면에 매설되는 전선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전선을 매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분리하며 매설할 수 있어 형성하고자 하는 전기 배선구조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사용중에 전기 배선 구조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내측 중앙에 형성된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에 연결되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안착홈의 상측 양단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으로 형성된 사각형 박스 형태의 바닥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게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안착부재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게 안착부재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기 안착부재의 내측 중앙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분리돌기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 상기 안착부재의 하부에 삽입되는 전선의 상부에 위치되게 안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리돌기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저면 중앙에 형성된 분리홈으로 이루어진 분리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삽입되게 체결공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마감판;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둘레면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콘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분배함; 및 상기 마감판의 중앙부에 나사 결합되고 단부는 분리판을 가압하도록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바닥면으로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외부 노출 없이 안전하게 매설될 수 있다.
둘째,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된 전선이 복수개의 콘센트가 구비된 분배함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기기구의 위치를 변경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기기구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바닥면에 매설되는 전선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전선을 매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분리하며 매설할 수 있어 형성하고자 하는 전기 배선구조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사용중에 전기 배선 구조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바닥면에 구성되는 바닥체(10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바닥체(100)는 단면이 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이루며, 내측 중앙에는 연결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체(100)에는 하측 방향으로 안착홈(10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착홈(101)은 연결홈(1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101)의 상측 양단부에는 단턱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부(103)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01)의 하부에는 끼움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01)에 삽입되는 고정프레임(2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고정프레임(200)에는 상기 안착홈(101)에 삽입되는 안착부재(201)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201)의 하부 중앙에는 끼움홈(10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02)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201)의 내측 중앙부에는 분리돌기(203)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돌기(203)의 양측에는 전선(910)이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선(910)은 분리돌기(203)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전선(910)을 분리하기 위하도록, 고정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분리판(3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분리판(300)은 분리돌기(203)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판(300)의 저면에 형성된 분리홈(301)은 분리돌기(203)의 상단에 삽입되어 전선(910)을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감판(4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고정프레임(200)에는 상기 체결공(104)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고정공(4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상면으로 밀착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감판(400)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0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돌기(402)는 안착부재(201)의 내부 양 측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판(400)은 고정볼트(500)에 의해서 바닥체(100)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볼트(500)는 마감판(400)에 형성된 고정공(401)에 삽입된 후 체결공(104)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판(400)의 양 단부는 바닥체(100)에 형성된 단턱부(103)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바닥체(100)의 상면과, 마감판(400)의 상면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마감판(400)의 중앙부에는 가압볼트(60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볼트(600)의 단부는 분리판(3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볼트(600)에 의해서 분리판(300)을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110)에 삽입되는 분배함(7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분배함(700)은 상기 연결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분배함(700)의 둘레면에는 전선(910)이 연결되는 접속단자(70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접속단자(702)에는 고정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된 전선(910)의 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배함(700)의 상면에는 콘센트(8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홈(7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배함(700)의 상면에 설치된 콘센트(800)에 전기기구(900)의 전선(901)에 구비된 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선(90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전기기구(90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전선의 배치를 용이하게 이루면서도, 전선이 바닥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으며, 각종 전기기구의 위치를 변경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바닥체 200 : 고정프레임
300 : 분리판 400 : 마감판
500 : 고정볼트 600 : 가압볼트
700 : 분배함

Claims (1)

  1. 내측 중앙에 형성된 연결홈(110)과, 상기 연결홈(110)에 연결되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101)과, 상기 안착홈(101)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02)과, 상기 안착홈(101)의 상측 양단부에 형성된 단턱부(103)와, 상기 단턱부(103)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04)으로 형성된 사각형 박스 형태의 바닥체(100);
    상기 안착홈(101)에 삽입되게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안착부재(201)와, 상기 끼움홈(102)에 삽입되게 안착부재(201)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돌기(202)와, 상기 안착부재(201)의 내측 중앙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분리돌기(203)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200);
    상기 안착부재(201)의 하부에 삽입되는 전선(910)의 상부에 위치되게 안착부재(20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리돌기(203)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저면 중앙에 형성된 분리홈(301)으로 이루어진 분리판(300);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체결공(104)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500)가 삽입되게 체결공(104)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고정공(401)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02)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마감판(400);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둘레면에는 전선(910)이 연결되는 접속단자(70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콘센트(8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701)이 형성된 분배함(700); 및
    상기 마감판(400)의 중앙부에 나사 결합되고 단부는 분리판(300)을 가압하도록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가압볼트(6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개배선 구조 시스템.
KR1020200031982A 2020-03-16 2020-03-16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KR102174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82A KR102174734B1 (ko) 2020-03-16 2020-03-16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82A KR102174734B1 (ko) 2020-03-16 2020-03-16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734B1 true KR102174734B1 (ko) 2020-11-05

Family

ID=7324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82A KR102174734B1 (ko) 2020-03-16 2020-03-16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7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7U (ko) * 1999-02-25 1999-07-05 박강덕 배선용와이어닥트구조
KR100786376B1 (ko) 2007-07-27 2007-12-21 (주)유원건축사사무소 전기배선 안전덮개 설치구조
KR100893084B1 (ko) * 2008-10-29 2009-04-14 (주)대진방재 배전용 전원케이블 트렌치
KR100973735B1 (ko) 2010-03-24 2010-08-04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KR20110008799U (ko) * 2010-03-10 2011-09-16 고광빈 걸레받침 콘센트 몰딩
KR101888646B1 (ko) * 2018-01-23 2018-08-14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 건축물의 바닥면 전기 배선 구조
KR101978189B1 (ko) * 2019-01-08 2019-05-14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7U (ko) * 1999-02-25 1999-07-05 박강덕 배선용와이어닥트구조
KR100786376B1 (ko) 2007-07-27 2007-12-21 (주)유원건축사사무소 전기배선 안전덮개 설치구조
KR100893084B1 (ko) * 2008-10-29 2009-04-14 (주)대진방재 배전용 전원케이블 트렌치
KR20110008799U (ko) * 2010-03-10 2011-09-16 고광빈 걸레받침 콘센트 몰딩
KR100973735B1 (ko) 2010-03-24 2010-08-04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KR101888646B1 (ko) * 2018-01-23 2018-08-14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 건축물의 바닥면 전기 배선 구조
KR101978189B1 (ko) * 2019-01-08 2019-05-14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647A (en) Low rise flooring structure
US9490616B1 (en) In-floor electrical fitting
EP0723101B1 (en) Splashproof enclosure for electronic faucet
US4627684A (en)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US4507900A (en) Electrical distribution for metal deck construction
KR10217473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KR200423507Y1 (ko)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US6875937B1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assembly
US5179252A (en) Structure of floor junction box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KR101888646B1 (ko) 공동 건축물의 바닥면 전기 배선 구조
CN110730853A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100859545B1 (ko) 건축물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JP2002078116A (ja) 埋め込み形分電盤ユニット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0842794B1 (ko)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전기선 매설구조
US5430251A (en) Installation system
KR102587312B1 (ko) 배선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EP1962399A1 (en) Distribution box for raised floors
CN112218992A (zh) 集成有弱电与强电电线的踢脚线系统及具有该系统的墙板
KR20015959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00002438U (ko) 다목적 배선 덕트
JPH05200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