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438U - 다목적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다목적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438U
KR20000002438U KR2019980012284U KR19980012284U KR20000002438U KR 20000002438 U KR20000002438 U KR 20000002438U KR 2019980012284 U KR2019980012284 U KR 2019980012284U KR 19980012284 U KR19980012284 U KR 19980012284U KR 20000002438 U KR20000002438 U KR 20000002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main body
wall
wiring du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6626Y1 (ko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2019980012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6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62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을 배선 할때 사용하는 다목적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덮개판(8)과 본체(5)를 간단하게 착탈 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으며 접속기구(11)만을 개별적으로 쉽게 착탈할 수 있는 조립식 구성임으로 그 설치와 보수 및 증설 감설이 용이하며 각종 접속기구(11)등을 집중관리 할 수 있으며, 또한 격판(1)에 의해 전선(12)들간의 전기적 간섭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배선 덕트
본 고안은 전선을 사무실이나 가정의 마루 또는 방등 실내에 배선 할때 사용하는 다목적 배선 닥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전선을 배선하기 위해서는 벽내부에 관체를 매설하고 그 관체의 하단에 콘센트등 각종 접속기구등을 설치한 다음 천정 내부의 전선을 그 관체를 통하여 그 접속기구에 연결 사용 하였으며 이는 비단 전기 뿐아니라 전화선, TV 안테나선, 인타폰선, 또는 전열선이나 특수 목적의 각종 전선등을 배선 할때에도 동일 방법에 의하였다. 또 더구나 그와 같은 각종 전선은 벽체 내부에 각기 별도로 관체를 매설 사용 하였으며, 이와 같은 그 관체는 건물 건축시 또는 벽체 시공시에 매설 하는 것임으로 일단 매설하면 그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내의 가구나 사무기기의 배치위치 또는 그 위치변경 그리고 전선의 증설이나 규격등 종류 변경을 하고자 할때에는 이것이 거의 불가능 하거나 아니면 벽체를 부수고 그 내부에 별도의 관체 매입공사를 하여야 하는 등 대단히 번잡할뿐 아니라 오늘날과 같이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한 회로 또는 전선 등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나 기구들이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그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체 내부에 매설된 관체와는 관계없이 천정내부의 각종 전선을 함께 배선 할 수 있도록 하나의 관체 즉 덕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건물 벽체 외부에 노출 고정하고 각종 기기와의 접속기구도 그 조립식 관체가 직접 집중적으로 갖도록 함으로서 그 접속기구와 관체 내부의 전선의 증설이나 교체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격판 2. 연결판 3. 내돌조 4. 벽판 4'. 벽판
5. 본체 5'. 개방부 5". 뒷개방부 6. 절곡부 7. 외돌조
8. 덮개판 9. 절단판 10. 결착공 11. 접속기구 12. 전선
13. 통공 14. 건물벽체 15. 건물천정 16. 건물바닥면
17. 피스못 18. 고정수단
후면에 복수의 격판(1)을 입설한 연결판(2)으로 양측선단에 내측으로 돌조(3)를 각기 돌설한 벽판(4)(4')의 내측 중간부를 연설하여 본체(5)를 구성하고 이와는 별체로 양측선단을 일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6)를 형성한 다음 그 선단에 외측으로 돌조(7)를 각각 돌설한 덮개판(8)을 구성하여 이돌조(7)를 벽판(4)(4') 양측선단의 내측 돌조(3)내부로 삽입시켜 양 벽판(4)(4')의 탄성으로 덮개판(8)을 본체(5)의 양 개방부(5')(5")에 결합 탄설하며, 또한 앞 개방부(5')를 덮는 덮개판(8)의 일부를 일정길이로 다수 절단한 각 절단판(9)에 각각 일정한 크기의 결착공(10)을 천공한 다음 이에 각종 접속기구(11)를 결착 하여서된 실내 전선의 조립식 배선관 즉 다목적 배선 덕트이다.
미설명부호 12는 전선·13은 통공·14는 건물벽체·15는 건물천정·16은 건물바닥면·17은 피스못·18은 본고안의 상·하단을 천정(15)이나 바닥면(16)에 고정 할때 사용되는 고정수단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 고안은 주로 건물천정(15)과 바닥면(16)사이에 입설하여 사용 하는것 으로서 고정수단(18)을 건물천정(5)과 바닥면(16)에 고정하고 그사이에 입설 하거나 또는 본체(5)의 뒷 개방부(5")에 결합되는 하나의 덮개판(8)을 건물 벽체(14)에 수직으로 고정한 다음 이에 본체(5)와 그 본체(5)의 앞 개방부(5")에 결합되는 또다른 하나의 덮개판(8) 또는 절단판(9)을 차례로 결합 시켜서 사용하는바 물론 이때 본 고안의 상단은 천정(15)에 접속 시키는데 이 경우 고정수단(18)을 사용하지 아니 할 수 있으며 제 1 도, 제 3 도 그리고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5)의 앞 개방부(5")에는 접속기구(11)를 결착한 절단판(9)을 필요한 갯수 만큼만 결합 탄설하고, 그외 부분은 일정길이의 덮개판(8)을 끼우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하단은 바닥면(16)에 접속시켜도 되고 덕트 전체가 벽체(14)에 고정된 후측 덮개판(8)을 고정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설치 사용되는 본원 고안에 배선을 할때에는 양 덮개판(8)과 본체(5)를 약간의 힘을 가하여 분리하면 덮개판(8)과 본체(15)는 양 돌조(3)(7)가 서로 물린 상태에서 양 벽판(4)(4')의 탄성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는 것임으로 쉽게 분리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하여 분리후 본체(5)의 연결판(2) 후측의 각 격판(1) 사이에 전선(12)의 종류별(전기선·전화선·안테나선 등등)로 삽입 배선한 다음 그 본체 벽체에 고정된 덮개판(8)에 대고 다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술한 바와같은 이유로 쉽게 결합 탄설되며 만일 본고안의 배선관을 벽체(14)에 고정하지 아니하고 공간부에 독립적으로 천정(15)과 바닥면(16)사이에 설치 할때에는 후측 덮개판(8)을 본체(5)에 대고 약간의 힘을 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후측 덮개판(8)과 본체(5)를 결합한 다음에는 적당한 위치에 천공된 통공(13)을 통하여 전선(12) 하단을 각각 인출시키던가 아니면 탭(Tap)을 형성하여 각각 인출시켜 그 선단을 각 절단판(9)에 결착된 콘센트등 각종 접속기구(11)에 연결한 다음 그 각 절단판(9)과 나머지 길이의 덮개판(8)을 본체(5)에 같은 요령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덕트 내에 배선된 전선(12)의 상단은 건물천정(15) 내부에서 각 전원선과 연결하여 주면 되며 필요에 따라 특정 접속기구(11) 즉 특정 절단판(9)만을 본체(5)에서 분리 하고자 할때에는 그와 고정된 절단판(9)만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당기면 그것이 본체에 탄설결합 되어 있는 것임으로 쉽게 이탈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판(8)과 본체(5)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고 또 각 접속기구(11)만을 개별적으로 쉽게 착탈 할 수 있는 조립식 구성 임으로 그 설치와 보수 또는 증설과 감설 등이 대단히 간편할 뿐 아니라 각종 접속기구(11)등을 집중관리할 수 있음으로 대단히 편리하며 또는 전선을 배선하기 위하여 건축시에 별도로 벽체 내부에 수 많은 배선관을 매설 할 필요도 없는 것이어서 노출 배선 쪽으로 지향하고 있는 현재의 건축 추세에도 부합되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그 설치 위치도 쉽게 바꿀수 있는 것임으로 종래와 같은 실내의 전기 기구 위치변경의 불가능 문제를 해결 할수 있으며 각 격판(1)에 의해 전선(12)이 분리 수장 되므로 그 전선(12)들 간의 상호 전기적 간섭을 없앨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후면에 복수의 격판(1)을 입설한 연결판(2)으로 양측선단에 내측으로 돌조(3)를 각기 돌설한 벽판(4)(4')의내측 중간부를 연설하여 본체(5)를 구성하고 이와는 별체로 양측선단을 일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6)를 형성한 다음 그 선단에 외측으로 돌조(7)를 각각 돌설한 덮개판(8)을 구성하여 이 돌조(7)를 벽판(4)(4') 양측선단의 내측 돌조(3)내부로 삽입시켜 양 벽판(4)(4')의 탄성으로 덮개판(8)을 본체(5)의 양 개방부(5')(5")에 결합 탄설하여서된 다목적 배선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앞 개방부(5')를 덮는 덮개판(8)의 일부를 일정 길이로 다수절단하여 각 절단판(9)에 각각 일정크기의 결착공(10)을 천공한 다음 이에 각종 접속기구(11)결착하여서된 다목적 배선 덕트
KR2019980012284U 1998-07-07 1998-07-07 다목적배선덕트 KR200236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84U KR200236626Y1 (ko) 1998-07-07 1998-07-07 다목적배선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84U KR200236626Y1 (ko) 1998-07-07 1998-07-07 다목적배선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38U true KR20000002438U (ko) 2000-02-07
KR200236626Y1 KR200236626Y1 (ko) 2001-10-25

Family

ID=6950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284U KR200236626Y1 (ko) 1998-07-07 1998-07-07 다목적배선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6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32B1 (ko) * 2004-10-05 2006-12-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가요성 배선덕트의 배선기구 고정구 결합구조
KR20190005387A (ko) * 2017-07-06 2019-01-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36B1 (ko) * 2008-07-11 2010-09-2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커버 결합 구조 및 보조 결합 장치
KR200446663Y1 (ko) * 2009-06-01 2009-11-17 황호용 이단 케이블수납몰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32B1 (ko) * 2004-10-05 2006-12-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가요성 배선덕트의 배선기구 고정구 결합구조
KR20190005387A (ko) * 2017-07-06 2019-01-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626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07612A1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395979B1 (en) Door bell junction box
US6483031B2 (en) Mounting bracket and extra-low voltage control device for installation with an electrical outlet box
KR20000002438U (ko) 다목적 배선 덕트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CN211351615U (zh) 一种室内布线系统
JP2563775B2 (ja) 先行配管方法
US20210125743A1 (en) Electrical systems for structures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KR10217473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KR19990028005U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WO2002056438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and box for concrete ceiling
KR20180002889U (ko) 콘센트 일체형 전선용 배관 커버체
KR100493177B1 (ko) 전기배선박스 연설용 접속구
KR20015959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JPH09154212A (ja) 情報回線の配線構造及び情報回線用ケーブル
KR200179979Y1 (ko) 전력 분배기
JP3005069B2 (ja) 屋内配線方法
JP4344709B2 (ja) パイプ接続用ボックス
JP3643857B2 (ja) 仕上用部材
KR200210128Y1 (ko) 콘센트카바 일체형 다중 배선 덕트
JPH05207625A (ja) マンション用ハーネス配線システム
JPH0731012A (ja) 屋内電気配線システム
JP2000032635A (ja) プレハブ住宅用ユニットケーブルの配線構造
JPH1132417A (ja) 電気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