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005U - 건축용 조립식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005U
KR19990028005U KR2019970040614U KR19970040614U KR19990028005U KR 19990028005 U KR19990028005 U KR 19990028005U KR 2019970040614 U KR2019970040614 U KR 2019970040614U KR 19970040614 U KR19970040614 U KR 19970040614U KR 19990028005 U KR19990028005 U KR 19990028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or
cover
outl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운
Original Assignee
신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운 filed Critical 신용운
Priority to KR2019970040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005U/ko
Publication of KR19990028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005U/ko

Links

Landscapes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외판과 내판으로 결합되어 있는 패널이 외부의 영향으로 쉽게 변형되거나, 상기 변형으로 인하여 패널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조립식 패널이 설치된 후,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가 별도로 설치되어 콘센트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전체적이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측에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결속요홈(22) 및 개구된 공간부(23)가 형성된 연결구(20)와 상기 연결구(2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내향만곡진 결속구(31)가 형성된 커버(30)를 구성한 후, 커버(30)와 함께 콘센트(40)가 연결구(20)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콘센트(40)의 전선(41)은 커버(30)의 이면에 형성된 연결구(20)의 공간부(23)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전체적인 외관이 양호해질 수 있는 것이며, 패널(10)의 외판(11)과 내판(12) 사이에는 하니컴 구조의 보강재(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패널(10)이 쉽게 변형되거나, 패널(10)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패널
본 고안은 일정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패널과 패널의 연결부위를 보기 좋게 함과 동시에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외판과 내판으로 구성되는 패널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패널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주택에는 일정공간을 구획하여 용도 및 기능에 맞도록 공간을 설계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거실, 침실, 주방, 욕실 및 화장실 등과 같이 일정 공간은 용도에 맞게 한정하는 벽면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구획된 벽면은 건물을 시공할 때 시공자 또는 건물주의 의도에 따라 설계된 디자인에 의해 만들어지게 되는데, 대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블록 등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주거환경의 변화, 즉 자녀의 출산, 결혼, 분가, 임대, 가족의 증가, 및 기타 실내장식 등과 같은 이유로 기존의 주거공간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블록의 시공 및 철거에 따른 작업환경의 약화, 과다한 경비 및 인력의 낭비등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근간에는 전문 기능인이 아닌 일반인이라도 목적하는 주거공간을 쉽게 변경 설계할 수 있도록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조립식 패널은 각종 건물, 각종 창고, 특수작업식, 일반조립식 건물, 주거공간의 구획, 특수용도 등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위생적이며,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고 경량이며, 강도가 강한 자립구조체로서 매우 호환성이 높은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식 패널은 통상적으로 외판과 내판이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경량화를 꾀하고 있으며, 필요시에는 상기 외판과 내판의 사이에 단열재 등을 충진시켜 방온의 효과를 갖게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에는 전환기, 개인용 컴퓨터, 전자 타자기, 독립된 조명기구, 복사기 에어콘, 전기 난방기구 등의 각종 전기기구가 설치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기구는 실내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시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전기기구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기기구에 별도의 연장선을 추가로 설치하여 임의의 장소에 고정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해야 해야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각종 전기기구에 별도의 연장선을 설치하여 원거리의 콘센트에 연결하는 경우, 바닥면에 연장선과 콘센트의 전선 등의 복잡하게 널려지게 되고, 상기 연장선이나 콘센트의 전선은 그 유동을 방지하게 위하여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바닥이나 벽면 등에 부착 고정되므로 이들의 걸리적거림이나 바닥면이나 벽면의 미관이 불량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기구의 설치위치가 다시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미 설치된 연장선이나 배선의 테이프를 제거하고 다시 배선작업을 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선의 문제점과 함께 패널을 이루고 있는 내판과 외판 사이의 공간부로 인하여 패널의 강성이 약해짐에 따라 형상이 쉽게 변형되면서 패널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패널과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구의 전면으로는 커버를 설치하므로서, 패널과 패널의 연결부위를 보기좋게 함과 동시에 콘센트의 배선은 상기 연결구의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콘센트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내판과 외판의 사이에 보강재를 일체로 설치하여 패널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므로서, 외부의 영향으로 패널이 쉽게 변형되거나, 변형으로 인해 패널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의 일측 및 타측에는 결속요홈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측선단에 내향만곡된 결속구가 형성된 커버를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판과 내판의 사이에 하니컴 구조의 보강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패널을 구성하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구의 양측 삽입홈에 패널을 각각 끼워 설치한 후, 그 전면으로 커버를 설치하되, 상기 커버와 함께 콘센트가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콘센트의 전선은 상기 연결구의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콘센트의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패널과 패널이 접면되는 부위의 외관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에 설치된 보강재에 의해 패널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켜 패널이 쉽게 변형되거나, 패널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11 : 외판
12 : 내판13 : 보강재
20 : 연결구21 : 삽입홈
22 : 결속요홈23 : 공간부
30 : 커버31 : 결속구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평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널(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에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전면 양측에는 결속요홈(2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되도록 한 연결구(20)와; 상기 연결구(2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내향만곡된 결속구(31)가 형성된 커버(30)와; 외판(11)과 내판(12) 사이에 하니컴 구조의 보강재(13)가 일체로 형성된 패널(10)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는 커버(30)에 형성된 체결공이며, (40)은 콘센트이고, (41)은 전선이며, (42)는 나사공이고, (50)은 마감부자재이며, (51)은 마감부자재의 레일이고, (60)은 나사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패널(10)과 패널(10)을 연결시키는 연결구(20)의 전면이 개구되어 공간부(23)를 이루도록 한 후, 상기 연결구(20)의 전면에는 커버(30)가 덮여질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커버(30)의 일부분에 콘센트(40)를 설치하고, 상기 콘센트(40)의 전선(41)은 연결구(20)의 개구된 공간부(23)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패널(10)과 패널(10)의 연결을 깔끔하게 처리하고, 콘센트(40)의 전선(4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보기좋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20)의 양측면에는 삽입홈(21)이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어, 일측 패널(10)의 단부와 타측 패널(10)의 단부가 상기 연결구(20)의 삽입홈(21)에 각각 끼워지면서 패널(10)과 패널(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패널(10)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레일(51)이 형성된 마감부자재(5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의 전면은 개구되어 공간부(23)를 이루고 있으며, 양측으로는 결속요홈(22)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어, 커버(30)의 양단에 형성된 결속구(31)가 상기 결속요홈(22)에 끼워지면서 연결구(20)의 전면에 형성된 공간부(23)를 커버(30)가 가려줌에 따라 패널(10)과 패널(10)의 연결부위가 깔끔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종 전기기구 등의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40)를 설치할 경우, 상기 연결구(20)의 전면에 덮여지는 커버(30)를 양분한 후, 양분된 커버(30)에는 각각 체결공(32)을 형성하고, 콘센트(40)에는 나사공(4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커버(30)의 체결공(32)과 콘센트(40)의 나사공(42)을 일치시킨 뒤 나사(6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커버(30)와 커버(30) 사이에 콘센트(40)의 몸체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콘센트(40)의 숫자가 많을 경우, 커버(30)를 여러개로 등분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분리된 커버(30) 사이에 콘센트(40)가 설치된 다음, 상기 콘센트(40)에 연결된 전선(41)은 연결구(20)의 공간부(23) 및 패널(10)의 하단에 설치된 마감부자재(50)에 위치됨에 따라 콘센트(40)가 설치된 후, 콘센트(40)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41)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구 양측면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패널(10)을 구성하고 하고 있는 내판(12)과 외판(11)의 사이에 보강재(13)가 형성되도록 하여 패널(10)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하니컴 구조로 형성된 보강재(13)가 패널(10)의 내판(12)과 외판(11)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영향으로 패널(10)이 쉽게 변형되거나, 변형으로 인하여 패널(10)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하니컴 구조의 보강재(13)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허니컴 구조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패널(100)의 강도를 더욱 크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구의 전면에 개구된 공간부를 두고, 상기 개구된 부위는 커버에 의해 덮여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패널과 패널의 연결부위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커버에 콘센트가 함께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콘센트의 전선은 커버 이면에 위치한 연결구의 공간부 및 하단의 마감부자재에 위치되도록 하여 콘센트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내판과 외판 사이에 일체로된 하니컴 구조의 보강재를 설치하여 패널이 쉽게 변형되거나, 패널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패널(10)과 패널(1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에 삽입홈(21)을 각각 형성하고, 전면의 일측 및 타측에는 결속요홈(22)을 형성하며, 전면은 개구되어 공간부(23)가 형성되도록 한 연결구(20)와; 상기 연결구(20)의 전면 결속요홈(22)에 끼워져 삽입홈(21)을 가려줄 수 있도록 양단에 결속구(31)가 형성되고, 상하단에 콘센트(40) 설치용 체결공(32)이 형성되는 커버(30)에 가려줄 수 있도록 양단에 내향만곡진 결속구(31)가 형성된 커버(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패널(10)을 구성하고 있는 외판(11)과 내판(12) 사이에 하니컴 구조의 보강재(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19970040614U 1997-12-24 1997-12-24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99900280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14U KR19990028005U (ko) 1997-12-24 1997-12-24 건축용 조립식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14U KR19990028005U (ko) 1997-12-24 1997-12-24 건축용 조립식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05U true KR19990028005U (ko) 1999-07-15

Family

ID=6969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614U KR19990028005U (ko) 1997-12-24 1997-12-24 건축용 조립식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00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17B1 (ko) * 2008-08-21 2009-05-26 김팔만 패널 벽체의 자동소화 장치
KR101120540B1 (ko) * 2011-04-26 2012-03-09 방민규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
KR101508961B1 (ko) * 2013-09-23 2015-04-07 한건호 조립식 난방시스템
KR20190118038A (ko) * 2018-04-09 2019-10-17 정회욱 실내 벽체에 대한 마감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실내 벽체 마감시스템
US10662646B2 (en) 2016-05-26 2020-05-26 Chung Jong Lee Prefabricated wall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17B1 (ko) * 2008-08-21 2009-05-26 김팔만 패널 벽체의 자동소화 장치
KR101120540B1 (ko) * 2011-04-26 2012-03-09 방민규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
KR101508961B1 (ko) * 2013-09-23 2015-04-07 한건호 조립식 난방시스템
US10662646B2 (en) 2016-05-26 2020-05-26 Chung Jong Lee Prefabricated wall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190118038A (ko) * 2018-04-09 2019-10-17 정회욱 실내 벽체에 대한 마감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실내 벽체 마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5974A (en) Modular housing system
US8534016B2 (en) Corner wall conduit
US20060130422A1 (en) Modular buildings
US20100242389A1 (en) Corner wall conduit
US4010579A (en) Three dimensional pre-fabricated structural elements for building habitation units
US7320200B1 (en) Multiplex housing with central and peripheral dwelling units
US6395979B1 (en) Door bell junction box
KR100842115B1 (ko)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9990028005U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DE102007057003A1 (de) Vorwandsystem für die Gebäude-Systemtechnik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9990036133U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보강재
KR0137748Y1 (ko) 철판 칸막이용 건축 판넬
KR200213249Y1 (ko) 트렁킹 닥트
KR19990019928U (ko) 조립건물용 패널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JP3018280U (ja) 間仕切の配線スペース形成取付構造
JP4201453B2 (ja) 設備ユニットの間仕切壁構造
JPH0341032Y2 (ko)
KR200195021Y1 (ko) 배기덕트 슬리브와 배기덕트 슬리브의 설치구조
JP2512689Y2 (ja) 建築物の防火構造
KR950008936Y1 (ko) 건물용 칸막이 연결구
JP3966980B2 (ja) パネル連結式の壁の構造
KR930000479Y1 (ko) 마루용 조립패널 유니트
KR940005905Y1 (ko) 조립식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