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35B1 -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35B1
KR100973735B1 KR1020100026156A KR20100026156A KR100973735B1 KR 100973735 B1 KR100973735 B1 KR 100973735B1 KR 1020100026156 A KR1020100026156 A KR 1020100026156A KR 20100026156 A KR20100026156 A KR 20100026156A KR 100973735 B1 KR100973735 B1 KR 10097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ed
wiring
bolt ro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씨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씨
Priority to KR102010002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 사이에 연결박스를 설치하고, 배관의 옆에 이송관을 설치하여 배관 내부로 새로운 전선을 쉽게 연결하고 보수할 수 있게 구성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며, 벽체나 바닥에 매설되어 개방구가 커버에 의해 노출되는 연결박스(3)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2)가 형성되며, 절개부(12)의 양쪽 단부 내측면에 각각 고무커버(13)가 맞닿게 고정되고, 관체(11) 내부에 전기 배선(1)이 수납되는 배관(10); 관체(2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고, 절개부(22)가 배관(10)의 절개부(12)의 외측단에 서로 고정되어 배관(10)의 내부와 서로 통하게 되며, 관체(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되고,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의 절개부(22)가 확대되어 개방구(23)가 형성되는 이송관(20); 볼트봉(31)이 이송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볼트봉(31)의 양단에 캡(32)과 고정캡(33)이 설치되어 이송관(20)의 단부에 고정되며, 볼트봉(31)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하도록 이동체(34)가 고정되고, 이동체(34)는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연결부(35)가 형성되고, 연결부(35)의 단부에 배선가이드(36)가 고정되며, 연결부(35)에 의하여 고무커버(13)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가이드(36)가 배관(10)을 따라 이동하고,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배관(10)으로 삽입될 배선(1)의 단부가 고정되는 이송장치(30); 볼트봉(31)의 단부가 고정되어 구동되고, 내부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전원부와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박스(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 A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in an apartment house }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 사이에 연결박스를 설치하고, 배관의 옆에 이송관을 설치하여 배관 내부로 새로운 전선을 쉽게 연결하고 보수할 수 있게 구성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로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 배전은 전선을 가전제품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와 연결하기 위해서 벽체 내에 매립된 전선관을 통해 콘센트 설치부로 배선시킨다. 이와 같은 배선은 건물 신축시 벽체 내에 전선관을 매립한 후 인테리어 전에 실시되는 전기공사 단계에서 전선관 내에 전선을 삽입하여 각 콘센트 설치부까지 배선시켜야 한다.
이 경우, 전선관 내에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전선을 벽체의 일측에서 전선관 내에 삽입하여 벽체의 타측에서 인출시키는데, 건물의 벽체에 매립된 전선관은 콘센트 설치부의 위치에 따라 매설된 전선관들 사이에 곡면부를 구비한 연결관들이 연결되므로 내부에 굴곡면이 이루어져 있어서 전선인출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선관의 경우에도 새로운 전선을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전기 배선을 위하여 매설한 배선관에 새로운 전선을 삽입하려면 벽을 허물고 전기 배관을 꺼낸 다음에 새로운 전선을 포함한 전기 배관을 매설하여 벽을 새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벽체나 바닥면에 매설된 배선관에 있는 전선은 보수하기 힘들고, 일단 매설되면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항상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새로운 배선을 배선관에 설치할 때 벽체나 바닥을 부수는 공사를 하지 않고, 간편하게 새로운 배선을 넣거나 문제가 있는 배선을 빼내어 보수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동체에 배관에 넣고자 하는 배선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배선이 배관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배선가이드를 구비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나 바닥에 매설되어 개방구가 커버에 의해 노출되는 연결박스(3)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2)가 형성되며, 절개부(12)의 양쪽 단부 내측면에 각각 고무커버(13)가 맞닿게 고정되고, 관체(11) 내부에 전기 배선(1)이 수납되는 배관(10); 관체(2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고, 절개부(22)가 배관(10)의 절개부(12)의 외측단에 서로 고정되어 배관(10)의 내부와 서로 통하게 되며, 관체(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되고,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의 절개부(22)가 확대되어 개방구(23)가 형성되는 이송관(20); 볼트봉(31)이 이송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볼트봉(31)의 양단에 캡(32)과 고정캡(33)이 설치되어 이송관(20)의 단부에 고정되며, 볼트봉(31)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하도록 이동체(34)가 고정되고, 이동체(34)는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연결부(35)가 형성되고, 연결부(35)의 단부에 배선가이드(36)가 고정되며, 연결부(35)에 의하여 고무커버(13)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가이드(36)가 배관(10)을 따라 이동하고,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배관(10)으로 삽입될 배선(1)의 단부가 고정되는 이송장치(30); 볼트봉(31)의 단부가 고정되어 구동되고, 내부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전원부와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박스(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배선을 배관에 넣거나 기존 배선을 보수할 때 쉽게 배관 내로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어 간편하게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관작업시 벽체나 바닥 콘크리트를 깨뜨려 배관 작업후 다시 벽체나 바닥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수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터를 동작시키면 자동으로 이동체에 고정된 배선이 자동으로 배관 내로 들어가게 되므로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의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의 이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배관(10)과 이송관(20)이 서로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송관(20)의 내부에서 이동체(34)가 움직이도록 설치된 이송장치(30)가 구비되며, 이송장치(30)는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되어 배선(1)을 배관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배관(10)은 벽체나 바닥(2)에 매설되어 개방구가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노출되는 연결박스(3)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박스(3)는 필요한 간격마다 형성할 수 있고, 일측 연결박스(3)의 내부에서 타측 연결박스(3)까지 배선(1)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전기 배관(10)이 곡선 형태를 이루어 설치되어야 하는 곳은 그 중간에 연결박스(3)를 두어 직선 형태로 바꾸어 설치한다.
배관(10)은 관체(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2)가 형성되고, 절개부(12)의 양쪽 단부 내측면에 각각 고무커버(13)가 맞닿게 고정되고, 관체(11) 내부에 전기 배선(1)이 수납된다. 수납된 배선은 고무커버(13)에 의하여 막혀져 있으므로 절개부(12)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지만 후술할 이송장치(30)의 연결부(35)가 고무커버(13) 사이를 벌리면서 추가될 배선을 밀어넣게 된다.
이송관(20)은 배관(10)에 고정되되, 이송관(20)의 관체(2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고, 이송관(20)의 절개부(22)가 배관(10)의 절개부(12)의 외측단에 서로 고정되어 배관(10)의 내부와 서로 통하게 된다.
이송관(20) 관체(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배관(10)의 양단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되고,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의 절개부(22)가 확대되어 개방구(23)가 형성된다. 이 개방구(23)를 통해 추가될 배선이나 제거할 배선의 단부를 배선가이드(36)에 안착시키면서 이동체(34)의 고정장치에 고정시키고, 구동부(40)를 구동한다.
이송장치(30)는 볼트봉(31)을 따라 이동체(34)가 전후 이동하는 구조로, 볼트봉(31)은 이송관(2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캡(32)과 고정캡(3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볼트봉(31)은 이송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볼트봉(31)의 양단에 고정된캡(32)과 고정캡(33)중에서 캡(32)이 구동부(4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볼트봉(31)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체(34)는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연결부(35)가 형성되고, 연결부(35)의 단부에 배선가이드(36)가 고정된다. 연결부(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판체 형상으로 고무커버(13)를 벌리면서 배관(10)의 관체(11) 내측으로 배선가이드(36)가 들어간다.
연결부(35)에 의하여 고무커버(13)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가이드(36)가 배관(10)을 따라 이동하고,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배관(10)으로 삽입될 배선(1)의 단부가 고정된다. 원형몸체(34-1)의 중앙에 홀(34-2)이 형성되고, 홀(34-2)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봉(31)과 맞물리며, 볼트봉(31)이 회전하면 배선가이드(36)가 배관(10)에 들어가 회전하지 못하는 이동체(34)는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을 묶을 수 있도록 구성한 고정장치(37)를 구성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형태의 고정장치(38)를 구성하여 배선을 잡아줄 수 있다.
구동부(4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미도시)와 전원부(미도시)와 스위치(미도시)가 하우징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상세 도시를 생략하였다. 구동부(40)의 모터 회전축이 볼트봉(31)의 단부와 연결 고정되어 구동되고, 구동부(40)는 연결박스(3)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1 : 배선 2 : 바닥
3 : 연결박스 10 : 배관
11 : 관체 12 : 절개부
13 : 고무커버 20 : 이송관
21 : 관체 22 : 절개부
23 : 개방구 30 : 이송장치
31 : 볼트봉 32 : 캡
33 : 고정캡 34 : 이동체
34-1 : 원형몸체 34-2 : 홀
35 : 연결부 36 : 배선가이드
37, 38 : 고정장치 40 : 구동부

Claims (1)

  1. 벽체나 바닥에 매설되어 개방구가 커버에 의해 노출되는 연결박스(3)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2)가 형성되며, 절개부(12)의 양쪽 단부 내측면에 각각 고무커버(13)가 맞닿게 고정되고, 관체(11) 내부에 전기 배선(1)이 수납되는 배관(10);
    관체(2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고, 절개부(22)가 배관(10)의 절개부(12)의 외측단에 서로 고정되어 배관(10)의 내부와 서로 통하게 되며, 관체(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되고, 배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의 절개부(22)가 확대되어 개방구(23)가 형성되는 이송관(20);
    볼트봉(31)이 이송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볼트봉(31)의 양단에 캡(32)과 고정캡(33)이 설치되어 이송관(20)의 단부에 고정되며, 볼트봉(31)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하도록 이동체(34)가 고정되고, 이동체(34)는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연결부(35)가 형성되고, 연결부(35)의 단부에 배선가이드(36)가 고정되며, 연결부(35)에 의하여 고무커버(13)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가이드(36)가 배관(10)을 따라 이동하고, 원형몸체(34-1)의 일측에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배관(10)으로 삽입될 배선(1)의 단부가 고정되는 이송장치(30);
    볼트봉(31)의 단부가 고정되어 구동되고, 내부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전원부와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박스(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KR1020100026156A 2010-03-24 2010-03-24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KR10097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156A KR100973735B1 (ko) 2010-03-24 2010-03-24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156A KR100973735B1 (ko) 2010-03-24 2010-03-24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735B1 true KR100973735B1 (ko) 2010-08-04

Family

ID=4275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156A KR100973735B1 (ko) 2010-03-24 2010-03-24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7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646B1 (ko) 2018-01-23 2018-08-14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 건축물의 바닥면 전기 배선 구조
KR102000605B1 (ko) 2019-01-25 2019-07-16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배관 배선 장치
KR102104552B1 (ko) 2019-12-13 2020-04-28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 전선배선의 보호덕트 구조
KR102174734B1 (ko) 2020-03-16 2020-11-05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8A (ja) * 1992-10-02 1994-04-2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収納管の接続具
JPH07123558A (ja) * 1993-10-25 1995-05-12 Mirai Ind Co Ltd 懸吊車走行路を備えた配線・配管材用の管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懸吊車、並びに配線・配管装置
KR970009900A (ko) * 1996-04-25 1997-03-27 윤수호 인쇄밴드의 접착제 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200284479Y1 (ko) 2002-05-08 2002-08-03 이동윤 전선 보호용 파이프
KR20020084479A (ko) * 2001-05-02 2002-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이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8A (ja) * 1992-10-02 1994-04-2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収納管の接続具
JPH07123558A (ja) * 1993-10-25 1995-05-12 Mirai Ind Co Ltd 懸吊車走行路を備えた配線・配管材用の管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懸吊車、並びに配線・配管装置
KR970009900A (ko) * 1996-04-25 1997-03-27 윤수호 인쇄밴드의 접착제 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4479A (ko) * 2001-05-02 2002-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이퍼 이송장치
KR200284479Y1 (ko) 2002-05-08 2002-08-03 이동윤 전선 보호용 파이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646B1 (ko) 2018-01-23 2018-08-14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 건축물의 바닥면 전기 배선 구조
KR102000605B1 (ko) 2019-01-25 2019-07-16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배관 배선 장치
KR102104552B1 (ko) 2019-12-13 2020-04-28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 전선배선의 보호덕트 구조
KR102174734B1 (ko) 2020-03-16 2020-11-05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735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CN102642476A (zh) 电动车辆充电器
KR101143877B1 (ko)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673972B1 (ko)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경량 케이블트레이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1520287B1 (ko)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KR200394084Y1 (ko)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KR100968091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WO2006094592A1 (en) Junction box and/or switch and outlet box for electrical systems
KR200407232Y1 (ko) 중앙집중 진공청소용 흡입구 설치구조
KR101016216B1 (ko) 건축물 바닥의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1162963B1 (ko) 건축물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7613B1 (ko) 공동주택용 나선형 천장 전기단자함
KR10100404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KR200417699Y1 (ko) 전선 및 에어호스 권취구
JP2003324815A (ja) ケーブル挿通用鞘管
KR100675521B1 (ko) 건축물 바닥 매설용 전선보호 분기체
KR101110760B1 (ko)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JP5712356B2 (ja) 充電スタンド
KR20100037227A (ko) 급수설비 및 그 시공 방법
KR101593167B1 (ko)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박스
KR101151291B1 (ko)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KR20180002889U (ko) 콘센트 일체형 전선용 배관 커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