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074B1 -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 Google Patents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074B1
KR100805074B1 KR1020070092962A KR20070092962A KR100805074B1 KR 100805074 B1 KR100805074 B1 KR 100805074B1 KR 1020070092962 A KR1020070092962 A KR 1020070092962A KR 20070092962 A KR20070092962 A KR 20070092962A KR 100805074 B1 KR100805074 B1 KR 10080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buried
integrated wir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수
Original Assignee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9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에 관계없이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공동주택의 층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서로 대칭되게 매설되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1 체결공을 갖는 연결프레임이 돌출형성되고,하부 외주면에 제2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체결공을 갖는 제1 힌지구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을 통해 배선된 통합전선을 실내공간으로 측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전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실내공간으로 돌출되게 매설되며, 양측 상하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연결공을 갖는 제2 힌지구가 돌출형성되며, 상하부에 각각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과 연결관 사이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제2 체결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1 설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2 설치공이 형성된 한 쌍의 주름관 및
상기 연결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와 제2 힌지구 사이에 연결되며, 내측에 제1 힌지핀이 연결되는 가이드홈과 제2 힌지핀이 연결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합전선, 덕트, 주름관, 가이드프레임

Description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Duct for protected multi-electric line of apartmenthouse to being buried inwall}
본 발명은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에 관계없이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종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는 그 면적이 1.3×0.7(㎡) 정도로 매우 크므로 이로 인해 공용면적이 작아져 실질적인 주거공간이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불필요한 건축 및 전화세대단자함에서 EPS실까지 배관시공이 어려워 높은 공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종 전선을 수용한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보강이 필요하며, 입선 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를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공지 기술로 다양한 전선들을 함께 수용하기 위한 통합 보호덕트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통합보호덕트는 시공시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는 시공사의 설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시공사의 설계 기준에 따라 통합보호덕트의 규격을 다시 설계하여 제작시공해야 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통합 보호덕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에 관계없이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합전선의 배선위치를 실내공간에서 자유롭게 위치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합전선을 배선시공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으로 통합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면에 연속반복되게 적층하여 매립설치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있어서,
상기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공동주택의 층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서로 대칭되게 매설되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1 체결공을 갖는 연결프레임이 돌출형성되고,하부 외주면에 제2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체결공을 갖는 제1 힌지구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을 통해 배선된 통합전선을 실내공간으로 측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전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실내공간으로 돌출되게 매설되며, 양측 상하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연결공을 갖는 제2 힌지구가 돌출형성되며, 상하부에 각각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과 연결관 사이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제2 체결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1 설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2 설치공이 형성된 한 쌍의 주름관 및
상기 연결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와 제2 힌지구 사이에 연결되며, 내측에 제1 힌지핀이 연결되는 가이드홈과 제2 힌지핀이 연결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에 관계없이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합전선의 배선위치를 실내공간에서 자유롭게 위치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합전선을 배선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중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중 주름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중 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100)는 공동주택의 층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서로 대칭되게 매설되는 한 쌍의 보호관(110)과, 통합전선(L)을 실내공간(F)으로 배선하기 위한 연결관(120), 상기 보호관(110)과 연결관(120)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관(130) 및 가이드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관(110)은 공동주택의 층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서로 대칭되게 매설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보호관(110)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보호관(110)이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10)은 그 상부 외주면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1 체결공(111)을 갖는 연결프레임(112)이 돌출형성되고,하부 외주면에 제2 체결공(1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제1 힌지핀(114)이 결합되는 힌지체결공(115)을 갖는 제1 힌지구(116)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보호관(110)을 통해 배선된 통합전선(L)을 실내공간(F)으로 측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전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실내공간(F)으로 돌 출되게 매설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20)은 그 양측 상하부에 제2 힌지핀(123)이 결합되는 힌지연결공(125)을 갖는 제2 힌지구(127)가 돌출형성되며, 상하부에 각각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공(12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20)은 한 쌍의 보호관(1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주름관(130)은 연결관(120)의 위치를 가변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110)과 연결관(120) 사이에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름관(130)은 상기 연결관(120)의 위치를 가변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110)과 연결되는 측에 상기 제2체결공(113)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1 설치공(1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공(129)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2 설치공(13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상기 연결관(12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116)와 제2 힌지구(127)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에는 제1 힌지핀(114)이 연결되는 가이드홈(141)과 제2 힌지핀(123)이 연결되는 설치공(143)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에 관계없이 연결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시공관계 및 동작관계를 알아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통합전선 보호덕트(100)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한 쌍의 보호관(110)들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보호관(110)들은 연결프레임(112)에 형성된 제1 체결공(111)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보호관(110) 단부에는 각각 주름관(130)이 대칭되게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보호관(110)의 단부에 주름관(130)의 단부가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10)의 제2 체결공(113)은 주름관(130)의 제1 설치공(131)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10)과 주름관(130)은 서로 연통된 상태로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주름관(130)은 단부에 연결관(120)을 연결설치한 후, 연결관의 인출공(121)을 실내공간(F) 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주름관(130)의 단부는 연결관(120)에 삽입되어 주름관(130)의 제2 설치공(133)은 연결관(120)의 결합공(129)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관(110),연결관(120) 및 주름관(130)은 통합전선(L)을 배선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관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20)은 주름관(130)에 의해 그 설치위치를 사용자의 의도 에 맞도록 위치를 가변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10)의 제1 힌지구(116)와 연결관(120)의 제2 힌지구(127) 사이에는 연결관(12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프레임(140)이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제1 힌지구(116)의 힌지체결공(115)에는 가이드홈(141)에 삽입연결된 제1 힌지핀(114)이 결합되며, 상기 제2 힌지구(127)의 힌지연결공(125)에는 상기 설치공(143)에 삽입연결된 제2 힌지핀(123)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통합전선(L)을 실내공간(F)을 배선하기 위한 연결관(120)의 위치관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매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중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중 주름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중 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보호관 120 : 연결관
130 : 주름관 140 : 가이드프레임
F : 실내공간 L : 통합전선

Claims (1)

  1. 벽면으로 통합전선(L)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면에 연속반복되게 적층하여 매립설치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있어서,
    상기 통합전선 보호덕트(100)는
    공동주택의 층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서로 대칭되게 매설되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1 체결공(111)을 갖는 연결프레임(112)이 돌출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 제2 체결공(1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제1 힌지핀(114)이 결합되는 힌지체결공(115)을 갖는 제1 힌지구(116)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보호관(110);
    상기 보호관(110)을 통해 배선된 통합전선(L)을 실내공간(F)으로 측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전면에 형성된 인출공(121)을 실내공간(F)으로 돌출되게 매설되며, 양측 상하부에 제2 힌지핀(123)이 결합되는 힌지연결공(125)을 갖는 제2 힌지구(127)가 돌출형성되며, 상하부에 각각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공(129)이 형성된 연결관(120),
    상기 연결관(120)의 위치를 가변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110)과 연결되는 측에 상기 제2체결공(113)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1 설치공(1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공(129)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제2 설치공(133)이 형성된 한 쌍의 주름관(130) 및
    상기 연결관(12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116)와 제2 힌지구(127) 사이에 연결되며, 제1 힌지핀(114)이 연결되는 가이드홈(141)과 제2 힌지핀(123)이 연결되는 설치공(143)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070092962A 2007-09-13 2007-09-13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62A KR100805074B1 (ko) 2007-09-13 2007-09-13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62A KR100805074B1 (ko) 2007-09-13 2007-09-13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074B1 true KR100805074B1 (ko) 2008-02-20

Family

ID=3938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962A KR100805074B1 (ko) 2007-09-13 2007-09-13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0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514B1 (ko) 2011-03-15 2011-09-16 (주)신명이앤씨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178966B1 (ko) * 2020-04-22 2020-11-13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514B1 (ko) 2011-03-15 2011-09-16 (주)신명이앤씨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178966B1 (ko) * 2020-04-22 2020-11-13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288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35541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고정장치
KR100658661B1 (ko)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1640351B1 (ko)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3541B1 (ko) 벽면에 매설되는 건축물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068760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20649B1 (ko)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KR100834777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35540B1 (ko) 공동주택과 실내건축물의 전기 배관장치
KR100651075B1 (ko)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5917256B2 (ja) ダクト装置
KR10086527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