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466B1 -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466B1
KR100744466B1 KR1020070043777A KR20070043777A KR100744466B1 KR 100744466 B1 KR100744466 B1 KR 100744466B1 KR 1020070043777 A KR1020070043777 A KR 1020070043777A KR 20070043777 A KR20070043777 A KR 20070043777A KR 100744466 B1 KR100744466 B1 KR 10074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plate
box case
support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7004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로 전방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 상하측 정면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는 내측으로 안착요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안착요부 내측면에는 내측요철부가 형성되고, 상하로는 다수개의 전선공이 수직선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단자함 케이스와;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개방부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돌부가 억지끼움되는 끼움공을 갖고 상기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밀폐판과; 중심부에 통합전선이 위치되는 단면이 정사각 형상의 관체로 중심에는 전선공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면과 좌우측면에는 상기 내측요철부에 대응되게 동일형상의 체결요부가 내측으로 수직형성되는 다수개의 전선관과;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안착요부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판체로, 안착요부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구획하는 한 개의 수평판이 형성되고, 전후방측으로 안착요부를 구획시키는 두 개의 수직판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과 수직판에는 상기 전선관의 체결요부에 각각 삽입되는 체결돌부가 각각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선관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틀과;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전선관이 삽입지지된 지지판틀의 전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선관의 체결요부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다수개의 전선관을 상기 지지판틀에 고정지지시키는 고정판과; 긴 판체로 전방측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후방면에 고정결합되고, 후방측은 수평배근으로 수직돌출되어 수평배근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요부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바가 형성된 배근고정대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 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높이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자함 케이스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배선이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단자함 케이스, 밀폐판, 전선관, 지지판틀, 배근고정대

Description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Unity cable protection duct for filling-up in wallsurface of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함 케이스 11 : 개방부
12 : 체결돌부 13 : 안착요부
14,15 : 내측요철부 16 : 전선공
20 : 밀폐판 21 : 끼움공
30 : 전선관 31 : 전선공
32 : 체결요부 33 : 통합전선
40 : 지지판틀 41 : 수평판
42,43 : 수직판 44 : 체결돌부
50 : 고정판 51 : 끼움돌부
60 : 배근고정대 61 : 고정바
62 : 끼움요부 70 : 수평배근
80 : 콘크리트
본 발명은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높이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자함 케이스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배선이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종래에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 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는 그 면적이 1.3×0.7(㎡) 정도로 매우 크므로 이로 인해 공용면적이 작아져 실질적인 주거공간이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좁은 공간에서의 조적 및 현장관리가 어렵고, 불필요한 건축비가 증가하였으며, 전화 세대 단자함에서 EPS실까지 배관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바닥배관이 화장실 바닥을 통과하므로 하자 발생의 소지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종 전선을 수용한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보강이 필요하며, 입선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며, 자재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4각 파이프 형상을 가진 덕트의 하부 일측에는 전면방향으로 내부공간이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그 양측면에 조인트홀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덕트의 벽면 매입시 그 위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와 동일방향으로 지지편을 부착하며, 상단부에는 다른 덕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테두리가 타부위의 내부테두리와 동일하게 테두리축소부를 형성하여 건물의 일 벽면에 매입되게 수직으 로 세워 건물 전체에서 상기 덕트 내부공간이 통하도록 시공하되, 상기 돌출부가 벽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시키며, 상기 덕트의 내부공간에는 약전전용선인 전화선, 통신선, TV 케이블을 통합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가 2002년 3월 18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20--0262291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통합전선용 보호덕트는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되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인출되는 돌출부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야 되었고, 덕트 내부 배선시 배선의 색상이 동일할 때 구분이 되지 않아 동일 색상을 모두 통전시켜야 되는 배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선이 서로 근접되어 간섭되거나 누전이 일어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높이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자함 케이스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배선이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로 전방에 개방된 개 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 상하측 정면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는 내측으로 안착요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안착요부 내측면에는 내측요철부가 형성되고, 상하로는 다수개의 전선공이 수직선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단자함 케이스와;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개방부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돌부가 억지끼움되는 끼움공을 갖고 상기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밀폐판과;
중심부에 통합전선이 위치되는 단면이 정사각 형상의 관체로 중심에는 전선공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면과 좌우측면에는 상기 내측요철부에 대응되게 동일형상의 체결요부가 내측으로 수직형성되는 다수개의 전선관과;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안착요부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판체로, 안착요부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구획하는 한 개의 수평판이 형성되고, 전후방측으로 안착요부를 구획시키는 두 개의 수직판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과 수직판에는 상기 전선관의 체결요부에 각각 삽입되는 체결돌부가 각각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선관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틀과;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전선관이 삽입지지된 지지판틀의 전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선관의 체결요부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다수개의 전선관을 상기 지지판틀에 고정지지시키는 고정판과;
긴 판체로 전방측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후방면에 고정결합되고, 후방측은 수평배근으로 수직돌출되어 수평배근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요부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바가 형성된 배근고정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통합전선(33)이 모여 단자함을 이루는 케이스인 단자함 케이스(10)와, 단자함 케이스(10) 내부로 벽체형성을 위해서 투입되는 콘크리트(8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판(20)과, 통합전선(33)이 유입되는 전선관(30)과, 다수개의 전선관(30)을 지지고정시키는 지지판틀(40)과, 지지판틀(40)에 전선관(30)을 고정시키는 고정판(50)과, 단자함 케이스(10)를 수평배근(70)에 고정결합시키는 배근고정대(6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 케이스(10)는 통합전선(33)이 모여 단자함을 이루는 직육면체의 케이스로, 전방에는 개방된 개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1) 상하측 정면 에는 체결돌부(12)가 형성되며, 상하단에는 내측으로 안착요부(13)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안착요부(13) 내측면에는 내측요철부(14,15)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로는 다수개의 전선공(16)이 수직선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밀폐판(20)은 단자함 케이스(10) 내부로 벽체형성을 위해서 투입되는 콘크리트(8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단자함 케이스(10)의 개방부(11)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돌부(12)가 억지끼움되는 끼움공(21)을 갖고 상기 개방부(11)를 밀폐시킨다.
상기 전선관(30)은 중심부에 통합전선(33)이 위치되는 단면이 정사각 형상의 관체로, 중심에는 통합전선(33)이 유입되는 전선공(3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면과 좌우측면에는 상기 내측요철부(14,15)에 대응되게 동일형상의 체결요부(32)가 내측으로 수직형성된다.
상기 지지판틀(40)은 다수개의 전선관(30)을 지지고정시키면서 상기 단자함 케이스(10)의 안착요부(13)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판체로, 안착요부(13)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구획하는 한 개의 수평판(41)이 형성되고, 전후방측으로 안착요부(13)를 구획시키는 두 개의 수직판(42,43)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41)과 수직판(42,43)에는 상기 전선관(30)의 체결요부(32)에 각각 삽입되는 체결돌부(44)가 각각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전선관(30)을 고정지지한다.
상기 고정판(50)은 지지판틀(40)에 전선관(30)을 고정시키는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전선관(30)이 삽입지지된 지지판틀(40)의 전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선관(30)의 체결요부(32)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부(51)가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다수개의 전선관(30)을 상기 지지판틀(40)에 고정지지시킨다.
상기 배근고정대(60)는 단자함 케이스(10)를 수평배근(70)에 고정결합시키는 수직의 긴 판체로, 전방측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10)의 후방면에 고정결합되고, 후방측은 수평배근(70)으로 수직돌출되어 수평배근(70)에 억지끼움되는 끼움요부(62)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바(6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 개 전선관(30)과 지지판틀(40)에 의해서 세대간의 소음이 차단되고, 고정판(50)에 의해서 전선관(30)과 지지판틀(40)의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며, 필요에 따라 전선관(30)과 지지판틀(40)의 길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곳에 단자함 케이스(10)를 적당한 높이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틀(40)에 의해서 여섯 개의 전선관(30)이 결합되어 통합전선의 분할배선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선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 개의 전선관(30)이 지지판틀(40)의 수직판(41)과 수평판(42,43)에 의해서 분리되기 때문에 절연특성이 보다 향상되어 통합전선(33) 상호간의 간섭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높이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자함 케이스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배선이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직육면체로 전방에 개방된 개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1) 상하측 정면에는 체결돌부(12)가 형성되며, 상하단에는 내측으로 안착요부(13)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안착요부(13) 내측면에는 내측요철부(14)(15)가 형성되고, 상하로는 다수개의 전선공(16)이 수직선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단자함 케이스(10)와;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단자함 케이스(10)의 개방부(11)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돌부(12)가 억지끼움되는 끼움공(21)을 갖고 상기 개방부(11)를 밀폐시키는 밀폐판(20)과;
    중심부에 통합전선(33)이 위치되는 단면이 정사각 형상의 관체로 중심에는 전선공(3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면과 좌우측면에는 상기 내측요철부(14)(15)에 대응되게 동일형상의 체결요부(32)가 내측으로 수직형성되는 다수개의 전선관(30)과;
    상기 단자함 케이스(10)의 안착요부(13)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판체로, 안착요부(13)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구획하는 한 개의 수평판(41)이 형성되고, 전후방측으로 안착요부(13)를 구획시키는 두 개의 수직판(42)(43)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41)과 수직판(42)(43)에는 상기 전선관(30)의 체결요부(32)에 각각 삽입되는 체결돌부(44)가 각각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선관(30)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틀(40)과;
    신축재질의 탄성판체로 상기 전선관(30)이 삽입지지된 지지판틀(40)의 전후 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선관(30)의 체결요부(32)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부(51)가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다수개의 전선관(30)을 상기 지지판틀(40)에 고정지지시키는 고정판(50)과;
    긴 판체로 전방측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10)의 후방면에 고정결합되고, 후방측은 수평배근(70)으로 수직돌출되어 수평배근(7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요부(62)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바(61)가 형성된 배근고정대(60);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20070043777A 2007-05-04 2007-05-04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74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777A KR100744466B1 (ko) 2007-05-04 2007-05-04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777A KR100744466B1 (ko) 2007-05-04 2007-05-04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466B1 true KR100744466B1 (ko) 2007-08-01

Family

ID=3860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777A KR100744466B1 (ko) 2007-05-04 2007-05-04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63B1 (ko) * 2008-07-21 2009-03-26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보호관
CN104348117A (zh) * 2014-11-16 2015-02-11 重庆瑞普电缆有限公司 拉线装置
CN104810762A (zh) * 2015-03-26 2015-07-29 安徽智瑞电气有限公司 一种防电缆扭转的电缆槽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63B1 (ko) * 2008-07-21 2009-03-26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보호관
CN104348117A (zh) * 2014-11-16 2015-02-11 重庆瑞普电缆有限公司 拉线装置
CN104810762A (zh) * 2015-03-26 2015-07-29 安徽智瑞电气有限公司 一种防电缆扭转的电缆槽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20110137912A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118778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677655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선박스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68760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3541B1 (ko) 벽면에 매설되는 건축물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04027604A (ja) 室内用配線システム
KR10062978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8102B1 (ko) 벽면매입형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KR100827603B1 (ko)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648078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 및 통신케이블 보호 케이스구조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WO2019218177A1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