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783B1 - 세대 통합형 단자함 - Google Patents

세대 통합형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783B1
KR101187783B1 KR1020100084784A KR20100084784A KR101187783B1 KR 101187783 B1 KR101187783 B1 KR 101187783B1 KR 1020100084784 A KR1020100084784 A KR 1020100084784A KR 20100084784 A KR20100084784 A KR 20100084784A KR 101187783 B1 KR101187783 B1 KR 10118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line
communication
electric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877A (ko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남영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영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7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 통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내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을 단자함에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단자함 내부 배선 간 상호 간섭을 최대한 낮춰 전기 누전 및 자기장에 의한 통신선로 이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단자함 내부 결로 방지와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여 부식과 전기 누전 등에 의한 전기적 안정성 저하와 선로 이상을 방지하기 위한 세대 통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17)과 하면(18) 그리고 양 측면(19) 및 뒷면(20)이 막혀져 있으며 상부가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을 형성하고 하부는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21); 상기 케이스 본체(21) 내 물방울 맺힘을 줄여주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22)와 홈(23)으로 이루어지는 물방울 맺힘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대 통합형 단자함{Integrated distribution frame}
본 발명은 세대 통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내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을 단자함에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단자함 내부 배선 간 상호 간섭을 최대한 낮춰 전기 누전 및 자기장에 의한 통신선로 이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단자함 내부 결로 방지와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여 부식과 전기 누전 등에 의한 전기적 안정성 저하와 선로 이상을 방지하기 위한 세대 통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주거용 건물을 시공할 때는 일반적으로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을 함께 배선한다.
과거 주거용 건물 시공에서는 전기전용선로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근래에는 매체 활용에서 다양화와 고속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주거용 건물 시공에 있어서도 통신 및 멀티미디어 전용선으로 분류되는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통합 정보통신 및 네트워킹 그리고 멀티미디어 전용선로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다세대 집합 건물에서는 각각의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게 되었다.
통신 EPS실 및 피트는 기준 면적이 대략 1.3×0.7(㎡) 정도로 매우 크므로 공용면적이 줄어들어 주거를 위한 전용공간이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공간이 좁기 때문에 조적 시공과 현장관리가 어렵고 불필요한 건축에 따라 시공비용이 증가하였다. 구조적으로도 세대 단자함에서 EPS실까지 배관시공이 어려워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바닥배관이 화장실 바닥을 통과하므로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과 피트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 각종 전선을 넣은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 보강이 필요하며, 입선 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며, 자재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과 피트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 각종 전선을 넣은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 보강이 필요하며, 입선 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며, 자재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벽체를 따라 덕트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또 다른 형식의 통합전선용 보호 덕트가 알려져 있으나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인출되는 돌출부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야 하였고, 덕트 내부 배선시 배선의 색상이 동일할 때 구분이 되지 않아 동일 색상을 모두 통전시켜야 되는 배선 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선이 서로 근접되어 간섭되거나 누전이 일어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세대 또는 대규모 아파트 등의 공동 집합 건물의 전선, 광케이블, 전화선, 초고속 통신선 등을 집약, 분배하는 분배함인 세대 통합 단자함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통합 단자함은, 단자함의 하우징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각종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인입, 인출부가 록 아웃 구조로 이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의 내부공간에는 TV 분배기, 통신분배기, TV 증폭기, 데이터 허브 등과 같은 각종 통신기기 및 이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장착되어 있다.
기능별 모듈이 장착되는 단자함은 전원 콘센트, 전화국선 분배기, DC 어댑터, 스위칭 허브, TV 분배기 등 모듈 타입의 장비들로 구성되어 추가 증설시 장비의 분리 및 재배치가 자유로운 장점을 갖으며, 단자함의 전면에는 각 모듈별로 다수의 단자함 커버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건물 세대의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을 통합하여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단자함은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점검과 보수가 가능한 단자함을 설치하고 있으나 단자함이 겉으로 드러나 보여 설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 배선이 서로 근접되어 간섭이 발생되고 누전이 일어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기 자기장이 통신선로에 영향을 미쳐 기기 작동 에러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자함 내부 뒷면 벽면을 따라 온도 차이에 의해 다량의 물방울이 맺혀 다습한 상태가 되어 각종 배선에 침투되어 전기적 간섭과 누전 발생 가능성을 높히고 이로 인해 쇼트 및 단락 단선 등 전기적 안정성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단자함 내부 배선 간 상호 간섭을 낮춰 전기 누전 및 자기장에 의한 통신선로 이상을 사전에 예방하고 방지할 수 있는 세대 통합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함 내부의 결로를 방지하고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여 각종 배선의 부식과 누전 발생 가능성을 낮춰 단선과 쇼트 등의 문제를 줄여 전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세대 통합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 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분할패널을 포함하는 세대 통합 단자함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그리고 양 측면 및 뒷면이 막혀져 있으며 상부가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는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 물방울 맺힘을 줄여주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지는 물방울 맺힘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방울 맺힘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홈을 상호 교번적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형으로 형성하여 뒷면 표면에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고, 벽체와 마주 대하는 뒷면 표면에는 벽체측으로부터 수분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돌기와 홈의 외부에 방수커버를 씌워 수분 침투를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자함 내부 배선 간 상호 간섭을 최대한 낮춰 전기 누전 및 자기장에 의한 통신선로 이상을 예방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함 내부 결로를 방지하고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여 각종 배선의 부식과 누전 가능성을 낮춰 단선과 쇼트 등을 방지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세대 통합 단자함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물방울 맺힘 방지부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공간 분할 패널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공간분할패널, (b)는 수직격벽.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 커버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 커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설치 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시공 상태 상세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물방울 맺힘 방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공간 분할 패널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공간분할패널, (b)는 수직격벽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 커버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 커버의 정면도이다.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설치 상태 설명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시공 상태 상세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전체 구성 예는 도 1 내지 도 4와 같다.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케이스(10),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 되는 커버(1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면에는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분할패널(1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부분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17)과 하면(18) 그리고 양 측면(19) 및 뒷면(20)이 막혀져 있으며 상부가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을 형성하고 하부는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21)가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21)는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ABS수지, 또는 금속 및 비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일체형 사출 제작이 가능하고,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경우 프레스 및 절곡 가공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21) 내 물방울 맺힘을 줄여주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22)와 홈(23)으로 이루어지는 물방울 맺힘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21)에 구성되는 물방울 맺힘 방지수단은 도 2와 같이,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에 형성되는 돌기(22)와 홈(23)을 상호 교번적으로 연속또는 불연속형으로 형성하여 뒷면(30) 표면에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고, 벽체(32)와 마주 대하는 뒷면(20) 표면에는 벽체(32)측으로부터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돌기(22)와 홈(23)의 외부를 방수커버(33)로 씌워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21)의 뒷면(30)에 형성하는 돌기(22)와 홈(23)은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 배출을 빠르게 촉진하여 표면 물방울 맺힘에 의한 습도 증가를 막고, 또한 벽체(32)와 돌기(22)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고 방수커버(33)를 통해 결로 현상을 줄여준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을 각각 분리하여 케이스 본체(21) 외부에서 내부로 유도하는 전기전용선 유도덕트(70) 및 통신전용선 유도덕트(80)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21)의 양 측면(19) 내벽을 따라 레일(24)이 양 측면(19) 내벽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레일(24)을 따라 수평방향에서 결합 되어 케이스 본체(21) 내부를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분할하는 공간분할패널(16)이 구성된다. 공간분할패널(16)은 ABS수지, 금속 및 비금속 패널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부 절연과 자기 전도 등 전기적 현상을 차폐하기 유리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간분할패널(16)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되어 전기전용선 배치공간(14)을 분할하여 별도의 통신전용선로 유도공간(25)을 형성하는 수직격판(26)이 구성된다. 상기 수직격판(26)은 ABS수지, 금속 및 비금속 패널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부 절연과 자기 전도 등 전기적 현상을 차폐하기 유리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격판(26)을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에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21)의 상면(17) 내벽과 공간분할패널(16)에 구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 본체(21)의 상면(19)과 하면(18)에는 도 1과 같이,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과홀(27)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직접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선로를 케이스 본체(21)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전용선 유도덕트(70) 및 통신전용선 유도덕트(80)는, 각각 케이스 본체(21)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을 구분하여 케이스 본체(21) 내부와 상통되도록 덕트 하우징(71)(81)을 구성하고, 덕트 하우징(71)(81)의 바닥면은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을 케이스 본체(21) 내부로 통과시키고 전기적 절연을 위한 다수의 통과홀(72)(82)을 구비하는 고무판(73)(83)으로 구성함으로서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간섭과 전기적 절연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21)의 양 측면(19) 내벽에는 도 2와 같이, 각종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정렬하여 배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착탈 가능한 지지브라켓(28)이 설치되고 그 지지브라켓(28)은 리브(29)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 본체(21)의 전면부에 형성된 고정홈(30)에 절곡편(31)을 통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28)은 양 측면(19)의 내벽을 따라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다른 기기나 배선에 간섭을 주지 않고 가장자리 공간을 이용하여 선로를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공간분할패널(16)은, 도 3과 같이, 상면 위에 수직격판(26)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레일(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을 경유하여 통과하는 통신전용선(13)을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유도하기 위한 통과구멍(35)을 가지며,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묶는 클립(미도시)이 체결되는 클립홈(37) 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립홈(37)은 수직격판(26)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는 공간분할패널이고, (b)는 수직격판을 나타낸다.
또한, 수직격판 고정수단은, 수직격판(26)의 하부를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공간분할패널(16)의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레일(34)과, 수직격판(26)의 상부를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21)의 상면 내벽에 가이드레일(38)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11)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41)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41)는 분할프레임(42)을 중심으로 결합 되는 동시에 각각 상하부는 수평프레임(43)이 결합 되어 상하부를 마감처리 하도록 구성되며, 양 측면은 수직프레임(44)이 상하부 수평프레임(43)의 양단과 연결대(45)를 통하여 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41) 그리고 수직프레임(44)에는 외부로 돌설된 돌출단(46)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43) 그리고 분할프레임(42) 및 연결대(45)들에는 상기 돌출단(43)이 끼워지는 끼움홈(47)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43)과 수직프레임(44)의 테두리는 직각 절곡형 연결대(45)에 의해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세대 또는 집합 건물 등의 현관 벽면 중 신발장이 위치하는 벽체를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세대 통합 단자함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케이스(10),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 되는 커버(11)가 있다.
케이스(10)의 내면에는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분할패널(16)에 의해 각 공간을 지나는 배선선로나 각 공간에 설치되는 기기들 간의 상호 간섭을 줄여준다.
케이스 본체(21)의 상부에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을 각각 분리하여 케이스 본체(21) 외부에서 내부로 유도하는 전기전용선 유도덕트(70) 및 통신전용선 유도덕트(80)를 설치하고 바닥은 절연성이 우수한 고무판(73)(83)으로 제작하여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을 통과홀(72)(82)로 통과시키면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고 전기적 절연 성능이 우수한 단자함을 제작할 수 있다.
단자함의 각 배치공간(14)(15)의 내부공간에는 TV 분배기, 통신분배기, TV 증폭기, 데이터 허브, 홈 네트워크 선로 등과 같은 각종 통신기기 및 이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장착되거나 전원 콘센트, 전화국선 분배기, DC 어댑터, 스위칭 허브, TV 분배기 등 각종 모듈 타입의 장비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을 독립적으로 갖도록 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상부가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이고 하부가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표시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1)는 뒷면(20)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을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에 일체형으로 다수의 돌기(22)와 홈(23)을 형성하여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과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스 본체(21) 내부에 설치되거나 배선되는 전장부품이나 배선선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전기 누전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보호하는 동시에 방수커버(33)를 통해 벽체(32)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물의 침투를 막아 케이스 본체(21) 내부 전장부품이나 배선선로를 보호한다.
케이스 본체(21)는, 옥내 설치 상태에서 주변 온도 변화가 없으면 표면 물방울 맺힘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주변 온도 분위기가 바뀌면 자연적으로 물방울이 표면에 맺힌다.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은 평면이 아니고 돌기(22)와 홈(23)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촉면적이 평면 접촉에 비해 적어지고 자연 통풍 건조가 가능하여 물방울 맺힘과 금속부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은 홈(23)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자연 낙하 된다.
배치공간을 구분하는 공간분할패널(16)은 케이스 본체(21)의 양 측면(19) 내벽을 따라 레일(24)이 양 측면(19) 내벽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레일(24)을 따라 수평방향에서 결합 되어 케이스 본체(21) 내부를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분할하도록 되어 있어 쉽고 간단하게 공간을 나눌 수 있도록 한다.
공간분활패널(16)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수직격판(26)은 공간분할패널(16)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되어 전기전용선 배치공간(14)을 분할하여 새로운 통신전용선로 유도공간(25)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전기전용선 배치공간(14)을 지나가는 통신전용선(13)은 전기전용선 배치공간(14)에서 형성되는 전기적 자기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도록 배선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21)의 상면(19)과 하면(18)에는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과홀(27)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직접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선로를 케이스 본체(21)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1)의 양 측면(19) 내벽에는 각종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정렬하여 배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착탈 가능한 지지브라켓(28)이 설치되고 그 지지브라켓(28)은 리브(29)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 본체(21)의 전면부에 형성된 고정홈(30)에 절곡편(31)을 통해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28)을 통해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상호 간섭 없이 빈 공간을 활용하여 배선이 가능하다.
공간분할패널(16)은, 도 3과 같이, 상면 위에 수직격판(26)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레일(34)이 형성되어 있고,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을 경유하여 통과하는 통신전용선(13)을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유도하기 위한 통과구멍(35)이 있어 이곳을 통해 통신전용선(13)이 지나가도록 한다.
그리고 공간분할패널(16)은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기 및 통신전용선(12)(13)을 묶는 클립이 체결되는 클립홈(37)들을 구비함으로서 복잡한 선로를 정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립홈(37)은 수직격판(26)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선로 정리시 동일한 기능을 한다.
커버(11)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41)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41)는 분할프레임(42)을 중심으로 결합 되는 동시에 각각 상하부는 수평프레임(43)이 결합 되어 상하부를 마감처리 하도록 구성되며, 양 측면은 수직프레임(44)이 상하부 수평프레임(43)의 양단과 연결대(45)를 통하여 결합 되도록 되어 있어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41) 그리고 수직프레임(44)에는 외부로 돌설된 돌출단(46)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43) 그리고 분할프레임(42) 및 연결대(45) 들에는 상기 돌출단(43)이 끼워지는 끼움홈(47)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평프레임(43)과 수직프레임(44)의 테두리는 직각 절곡형 연결대(45)에 의해 결합 되고 분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11)의 전체 사이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수평프레임(43)과 수직프레임(44)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41)를 직접 케이스 본체(21) 전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설치 여건과 주변 시설물과의 간섭 여부 등 현장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하여 선택될 수 있다.
매립형 세대 통합 단자함은 벽체(32)에 케이스 본체(32)가 매립되는 설치 형식이다. 이에 비해 노출형 설치 형식은 벽체(32)에 케이스 본체(21)가 완전히 매몰되는 것이 아니고 전면측으로 어느 정도 돌출된 상태의 설치 형식이다.
세대 통합 단자함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설치 형식은 건물 특성과 설계에 따라야 하므로 세대 통합 단자함은 가능하면 벽체 매입형 또는 벽체 노출형의 두 가지 설치 형식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대 통합 단자함의 바람직한 설치 예로서, 신발장(60)의 뒷 부분에 세대 통합 단자함을 설치한 예이다.
신발장(60)의 뒷 부분 벽체(32)에 세대 통합 단자함을 설치하면 신발장(60)에 의해 전면이 가려지고 또한 신발장(60)에 의해 가려지는 벽체 공간 면적을 활용하여 설치되므로 별도의 설치 공간 없이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에는 천정(63)의 내부에 설치된 배선덕트(61)를 따라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이 세대 공통 단자함의 케이스(10)로 인입되고 케이스(10)는 신발장의 뒷쪽 벽체(32)에 매입된 상태의 설치 예가 나타나 있다.
설치할 때는 세대 통합 단자함의 내부 점검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서 신발장(60)의 뒷쪽 부분을 통해 세대 통합 단자함의 커버(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대 공통 단자함의 커버(11)를 신발장(60)과 조합형으로 설치한 구체적 예로서, 세대 공통 단자함의 케이스(10)는 벽체(32) 내부에 매입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부측 커버(11)는 신발장(60)의 뒷판(64)의 전면에 놓이도록 커버(11)를 신발장(60)의 뒷판(64) 표면에 설치한 예이다. 그리고 신발장(60)의 뒷판(64)과 케이스 본체(21) 전면부가 접촉하는 면에는 패킹(65)을 설치하여 밀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 되었다.
도 7과 같은 세대 공통 단자함의 설치 형태는 신발장(60)의 뒷판(64)의 외부측에서 커버(11)를 결합한 상태이므로 세대 공통 단자함의 내부 점검이나 유지 보수를 위해 커버(11)를 열 경우 쉽게 커버(11)를 분리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케이스 11:커버
12:전기전용선 13:통신전용선
14:전기전용선로배치공간 15:통신전용선로배치공간
16:공간분할패널 17:상면
18:하면 19:측면
20:뒷면 21:케이스본체
22:돌기 23:홈
24:레일 25:통신전용선로유도공간
26:수직격판 27:통과홀
28:지지브라켓 29:리브
30:고정홈 31:절곡편
32:벽체 33:방수커버
34:슬라이드레일 35:통과구멍
38:가이드레일 40:상부커버
41:하부커버 60:신발장
64:신발장뒷판

Claims (2)

  1.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10),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 되는 커버(1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면에는 전기전용선(12)과 통신전용선(13)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과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분할패널(16)을 포함하는 세대 통합 단자함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17)과 하면(18) 그리고 양 측면(19) 및 뒷면(20)이 막혀져 있으며 상부가 전기전용선로 배치공간(14)을 형성하고 하부는 통신전용선로 배치공간(15)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21);
    상기 케이스 본체(21) 내 물방울 맺힘을 줄여주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22)와 홈(23)으로 이루어지는 물방울 맺힘 방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본체(21)의 뒷면(20)에 형성되는 돌기(22)와 홈(23)을 상호 교번적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형으로 형성하여 뒷면(30) 표면에 물방울 맺힘을 억제하고, 벽체(32)와 마주 대하는 뒷면(20) 표면에는 벽체(32)측으로부터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돌기(22)와 홈(23)의 외부에 방수커버(33)를 씌워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합 단자함.
  2. 삭제
KR1020100084784A 2010-08-31 2010-08-31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18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784A KR101187783B1 (ko) 2010-08-31 2010-08-31 세대 통합형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784A KR101187783B1 (ko) 2010-08-31 2010-08-31 세대 통합형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77A KR20120020877A (ko) 2012-03-08
KR101187783B1 true KR101187783B1 (ko) 2012-10-05

Family

ID=4612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784A KR101187783B1 (ko) 2010-08-31 2010-08-31 세대 통합형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7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649B1 (ko) 2017-01-17 2017-06-22 (주)조은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2156205B1 (ko) 2020-07-06 2020-09-1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KR102202245B1 (ko) * 2020-06-23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102202241B1 (ko) * 2020-02-17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102207742B1 (ko) 2020-09-28 2021-01-26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570B1 (ko) * 2020-05-12 2022-01-11 주식회사 탐진 통신 및 전기 배선용 단자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45Y1 (ko) 2000-07-25 2000-12-15 주식회사금광통신 단자함의 케이스
KR200257969Y1 (ko) 2001-09-10 2001-12-24 주식회사 금광통신 단자함
KR101010309B1 (ko) 2008-06-10 2011-01-27 (주)금광이앤티 단자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45Y1 (ko) 2000-07-25 2000-12-15 주식회사금광통신 단자함의 케이스
KR200257969Y1 (ko) 2001-09-10 2001-12-24 주식회사 금광통신 단자함
KR101010309B1 (ko) 2008-06-10 2011-01-27 (주)금광이앤티 단자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649B1 (ko) 2017-01-17 2017-06-22 (주)조은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2202241B1 (ko) * 2020-02-17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102202245B1 (ko) * 2020-06-23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102156205B1 (ko) 2020-07-06 2020-09-1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KR102207742B1 (ko) 2020-09-28 2021-01-26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77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18778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2650346B1 (ko) 스마트 월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KR101777405B1 (ko) 공동주택 통신선 보호박스
KR102035541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고정장치
KR100719882B1 (ko)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1606555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648911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101930368B1 (ko) 입상 케이블 트레이용 슬리브의 무볼트 조인트 커넥터 장치
KR200384158Y1 (ko) 통합형 단자함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WO2019218177A1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KR101710648B1 (ko)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1455294B1 (ko) 원격검침 계량기함
KR101364755B1 (ko) 다수의 분리 섹터가 형성된 가입자 통합단자함
KR100985855B1 (ko)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