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82B1 -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 Google Patents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82B1
KR100719882B1 KR1020050089194A KR20050089194A KR100719882B1 KR 100719882 B1 KR100719882 B1 KR 100719882B1 KR 1020050089194 A KR1020050089194 A KR 1020050089194A KR 20050089194 A KR20050089194 A KR 20050089194A KR 100719882 B1 KR100719882 B1 KR 10071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distribution
distribution box
cable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950A (ko
Inventor
오태수
Original Assignee
오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수 filed Critical 오태수
Priority to KR102005008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8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면서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을 인입 또는 인출하는 배전 박스의 역할을 하는 개선된 케이블 배전박스의 구조를 개시한다.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이 있는 곳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바닥층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들이 상기 개구부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과하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를 가짐에 의해, 종래의 슬리브 박스와 풀 박스의 개별적 시공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작업의 정확성, 미관성, 작업 편리성, 경제성, 및 공기 단축의 효과가 얻어진다.
집합건물, 슬리브 박스, 풀박스, 작업 간편성, 케이블 배전박스, 약전선

Description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내의 케이블 트레이 통과용 내부공간을 만드는데 필요한 슬리브 박스의 형상이 바닥층 형성용 거푸집 상의 일부에 나타나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바닥층 형성용 거푸집 상의 일부에 설치되는 도 3중 케이블 배전박스의 외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케이블 배전박스가 케이블 보호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전에 철근 구조물에 매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파이어 스톱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실예를 보여주는 리얼 픽쳐 도면
도 8은 도 3 및 도 6에 따른 약전용 케이블 배선관계의 일예를 보여주는 케 이블 와이어링 도면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필요하게 되는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배전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및 케이블 배전박스를 통한 케이블의 설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축물들은 건축기술의 발달에 기인함은 물론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나날이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파트먼트 등과 같은 대표적인 집합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각 세대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기선 뿐만 아니라, 통신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약전선들 예컨대 전화선, ADSL 이나 VDSL 등과 같은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선, MATV선, 및 홈 오토메이션 선 등이 배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합건물에는 EPS(Electrical Pipe Shaft) 실 및 TPS(Telecommunication Pipe Shaft) 실의 설치가 법규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초고속정보통신 1등급 공동주택 건축물은 건물의 간선계를 단면적 0.24 평방미터(깊이 30cm) 이상의 TPS 또는 5.4평방미터 이상의 동별 통신장비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법적인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통신 관로 전용의 수직 간선계 구성이 불가피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EPS 실이나 TPS 실은 집합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도 1에서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이 용하여 각 세대별 케이블 배전이 흔히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예를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RC구조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SRC구조의 철골철근 콘트리트 구조의 집합 건축물에서, 각층의 바닥층을 통과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와, 벽체에 매입된 풀박스(pull box)를 이용한 케이블 배전의 예가 보여진다.
도 1에서, 벽체 슬라브(3)에 가까이 있는 바닥층(1)의 일부에는 케이블 트레이(20)를 통과시키기 위해 대체로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슬리브(sleeve: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1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층(1)의 시공시에 철근 구조물과 함께 매입되는 슬리브 박스에 의해 형성된다. 도 2는 도 1내의 케이블 트레이(20) 통과용 내부공간을 만드는데 필요한 슬리브 박스의 형상이 바닥층 형성용 거푸집 상의 일부에 나타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도 2의 슬리브 박스는 슬리브 형성용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바닥 층의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면 해체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는 사이드 레일들(21,22)과, 상기 사이드 레일들(21,22)을 서로 평행하게 고정하는 가로대(23)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층의 세대별에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들(L1,L2,L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바닥층(1)의 두께 T1과, 상기 벽체 슬라브(3)의 두께 T2는 인장 및 압축강도가 충분하도록 설계된 철근 콘크리트 두께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벽체 슬라브(3)에 형성되고 일면이 노출되는 풀박스(30)는 강철이나 PVC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스의 측면 일부에는 케이블 보호용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인입/인출 홀(31,33)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케이블 트레이(20)를 이용하여 각 층별 각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 배선을 행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케이블 보호/통과용 배관들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풀박스(30)를 상기 벽체 슬라브(3)에 미리 매입시켜야 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슬리브 박스를 미리 제작하여 바닥층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에 매입을 하여야 한다. 또한, 바닥층의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면 나무 또는 합판, 스티로폼 등의 일회용 재질로 제작되어진 상기 슬리브 박스를 제거하여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슬리브(10)를 도 1에서와 같이 형성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10)는 결국 슬리브 박스라는 거푸집의 해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시공 측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20)의 수직 설치를 위해 방해가 되는 울퉁불퉁한 시공 면은 나중에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별도의 콘크리트 까내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10)의 형성작업이 끝나고, 상기 풀박스(30)의 매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가 각 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경우에 일정 간격의 지지점을 벽체 슬라브(3)에 박아 로드(Rod)로 고정시킨 다음 C-형강(25)과 연결 부속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즉, 케이블 트레이(20)를 벽체 슬라브(3)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25)을 앵커링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 또한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20)의 벽면 설치가 끝나면 수직 간선계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고, 동일 층에 있는 각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들(C1,C2)은 상기 수직 간선계 케이블들에서 분기되어 풀박스(30)내의 인입홀들(31,33)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케이블들은 배선 정렬성을 위해 케이블 타이(CT)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사이드 레일들(21,22)이나 가로대(23)에 묶여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전을 행하는 분야에서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 통과용 슬리브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슬리브 박스를 제작한 다음 해체를 하여야 하고, 케이블 트레이 지지를 위한 고정 브라켓의 앵커링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및 케이블 배전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공기 단축에 제한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어왔고, 공사비용이나 인건비 측면에서도 비싸고 시공 완료시에 외관이 아름답지 못하였다.
한편, EPS 등과 같은 통신 실이나 피트의 설치가 공용면적을 작게 하기 때문에 주거공간을 좁히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없이 타의 방법으로 케이블 배전을 행하는 매입용 보호 덕트의 선행기술들이 일부 알려져 있으나, 이는 집합건물의 법적 기준을 넘어선 기술임에 틀림없다.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여 케이블 배선을 행하는 방법은 케이블의 배선 및 증설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타의 기술들에 비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집합건물의 케이블 배전으로서 여전히 우세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공업자들에게 선 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는 케이블 배전분야에서, 케이블 배전을 위한 제반 작업이 용이하고 공사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공기의 단축을 행할 수 있는 개선된 기술이 절실히 요망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면서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을 인입 또는 인출하는 풀 박스의 역할을 하는 케이블 배전 박스 구조 및 케이블 배전박스를 통한 케이블의 설치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슬리브 박스 제작 및 해체 작업을 제거할 수 있는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적 배관의 안정적 박스 구조를 구현하고, 케이블 트레이가 통과되도록 하면서 아울러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바닥층 콘크리트 타설시에, 전기선이나 통신선이 통과되어질 보호배관과 함께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닥층을 형성할 철근 구조물에 함께 매입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및 케이블 배전박스를 통한 케이블의 설치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및 케이블 배전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공기가 단축되도록 하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시공 완료 시에 외관이 상대적으로 수려하게 되도록 할 수 있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및 케이블 배전박스를 통한 케이블의 설치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적 양상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이 있는 곳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바닥층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들이 상기 개구부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과하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적 양상에 따라, 집합건물의 외부와 집합건물의 각 세대별 사이에서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인입하여 동일 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이 있는 곳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바닥층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는 격벽을 통해 분리적으로 박스부가 형성되며, 상 기 박스부와는 수직으로 케이블 분배용 홀들이 상기 박스부의 내벽에 형성된 더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기 박스부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과하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를 가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적 구조들에 따르면, 슬리브 박스와 풀 박스의 개별적 시공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작업의 정확성, 미관성, 작업 편리성, 경제성, 및 공기 단축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서 나타나 있다.
먼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예가 보여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20)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L1-L3)중 선택된 케이블들(C1-C3)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1)이 있는 곳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를 상기 바닥층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100)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이 상기 개구부(100)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102)과,
삭제
상기 바디 프레임(102)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을 통과하는 케이블들(C1-C3)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106)를 가진다.
상기 바디 프레임(102)은 도면에서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도 4에서는 커버가 조립된 형상이 보여진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102)의 내부 형상은 도 7을 참조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7에서는 상기 바디 프레임(102)이 콘크리트에 매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사각 파이프 형상의 외부는 콘크리트에 의해 에워싸여 있고 내부 형상 및 상부의 형상이 나타나 있다.
상기 연장 컨넥터부(106)는 도 3에서는 바닥층(1)에 매입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보여지지 않으며, 상기 도 4에서 6개가 돌출된 형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연장 컨넥터부(106)의 외경에 끼워지는 상기 케이블 보호관은 케이블을 내부로 수용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관으로서, 이는 도 5에서 케이블 배전박스의 좌측과 우측에 보여지는 철근 구조물 사이에서 배열된 주름관 형태로 보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배전박스는 상기 바닥층(1)의 콘크리트 시공 시에 상기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된 채로 함께 매입 설치되는데, 이는 도 5를 참조시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 배전박스가 케이블 보호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전에 철근 구조물에 매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보호관과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으로 구현된다.
이미 설명된 도 4는 바닥층 형성용 거푸집 상의 일부에 설치되는 도 3중 케이블 배전박스의 외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는 강철판으로 모두 제작되거나, 사안에 따라 PVC 재질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커버 체결용 홀(104)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상부 커버가 바디 프레임(102)의 상부에 체결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는 상부 커버가 해체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은 홀 소우(hole saw)등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되며, 형성된 홀에 상기 연장 컨넥터부가 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관막이 링이 상기 형성된 홀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는 사다리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구성된 유니트 또는 유니트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등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로서, 통풍채널형, 바닥 밀폐형, 통풍 트러프용, 기타 유사한 구조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도 3에서 보여지는 케이블 배전박스는 바닥층(1)의 형성 시에 케이블 트레이(20)의 통과를 위한 슬리브 박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시에 케이블 트레이(20)를 지지하면서 케이블의 배전시 종래의 풀박스의 역할을 또한 행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슬리브 박스의 제작이나 해체가 필요 없고, 벽체에 풀 박스를 매입하던 기존의 풀박스 매입 작업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는 상부와 하부 커버의 탈 부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부 커버는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개구부(100)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 슬리브가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 커버는 바닥층의 거푸집 해체 후에 배선 공사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실예를 보여주는 리얼 픽쳐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에서 보여지는 벽체 매입된 풀박스가 제거됨을 알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의 통과를 위한 슬리브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케이블 배전 박스의 바디 프레임 자체가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 박스와 풀 박스의 개별적 시공에 따른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이 말끔히 해결되어 작업의 정확성, 미관성, 작업 편리성, 경제성, 및 공기 단축의 이점이 확실히 얻어진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케이블 배전의 파이어 스톱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집합건물의 외부와 집합건물의 각 세대별 사이에서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L1-L3)을 케이블 트레이(20)를 통해 인입하여 동일 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가 더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디 프레임(102,103)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1)이 있는 곳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를 상기 바닥층(1)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0)와는 격벽(130)을 통해 분리적으로 박스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부(120)와는 수직으로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이 상기 박스부(120)의 내벽에 형성된 더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디 프레임(102 및 103)과;
상기 바디 프레임(102,103)의 상기 박스부(120)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31-33)을 통과하는 케이블들(C1-C3)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106:도 3에 표시)를 가진다.
도면에서 상기 더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디 프레임(102,103)은 파이어 스톱 기능을 원활히 제공한다. 즉,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설치 후에 케이블 배전이 끝나면 층간 방화/방재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석면 등과 같은 파이어 스톱재로 막혀진다. 한편, 세대별 케이블 배전은 상기 개구부(110)와는 격벽(130)에 의해 분리된 박스부(120)에서 이루어지므로, 법적 설치기준에 더욱 부합되는 배전박스의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바디 프레임(102)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통과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103)은 상기 박스부(120)의 형성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층간 방화를 위해 상기 박스부(120)에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나사 조립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의 체결로써 부착되는 커버들은 케이블의 증설, 점검, 유지보수, 하자보수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쉽게 분해 및 조립될 수 있는 이점을 층간 방화기능과 함께 제공한다.
중요하게도, 상기 바디 프레임(102)의 상기 개구부(110)가 형성된 근방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사이드 레일을 보울트 등과 나사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07)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바디 프레임(102)에는 상기 고정부(107)가 형성됨에 의해 벽체 앵커링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는 사이즈 및 용도에 따라 1500mm, 1800mm, 2000mm등의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를 설치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107)의 형성에 의해 층간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인 약 2500mm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벽체에 앵커링 작업이 없이 케이블 트레이(20)를 넓은 간격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그에 따른 경제적 절감이 달성된다. 즉, 도 6에서는 케이블 트레이(20)의 지지 금구를 박스 내부에 자체적으로 형성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후 또는 조적작업 후에 벽체에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금구 앵커링 작업을 행하였던 종래의 작업이 생략된다. 고정부(107)인 로드가 콘크리트 내부에 직접 매입됨으로써 시공성과 견고성이 뛰어나 케이블 트레이(2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보장된다. 또한, 이와 같이 공사를 행하면, 케이블 트레이(20)의 설치 후에도 벽체부분의 마감이 미려하고, 공기가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도 8은 도 3 및 도 6에 따른 약전용 케이블 배선관계의 일예를 보여주는 케이블 와이어링 도면이다. 도 8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2층과 3층에서 보여지는 케이블 배선관계를 보인 것이다. 또한, 케이블들은 약전선 라인 예를 들어, 전화라인(TEL), 홈 오토메이션 라인(HNCA), ADSL,VDSL 통신망 라인. 케이블 TV 라인(CATV)들이 보여진다. 본 발명의 케이블 배전 박스는 도면에서 2층과 3층에 각기 하나씩 설치되는데 이는 참조부호 100a,100b로서 나타나 있다. 중계기(420)는 케이블 TV의 신호의 감쇄를 보상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피터이다. 공유기(410)는 하나의 고속 통신망 라인에 복수의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장비이다. 참조부호 201a,202a,301a,302a는 각기 세대별로 설치된 약전 단자함에 대응된다. 사이즈 T1 은 TPS 실의 너비에 대응되는 공간이며 케이블 트레이가 원활히 입상되고, 케이블 배전 및 증설, 그리고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한 사이즈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약전선의 와이어링에 의해, 각 세대에서는 전화통화, 고속 통신, 및 텔레비전 시청 등의 행위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전박스는 각 층마다 설치되어 건축물의 신축 시 층간으로 입상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통과시키면서 지지하고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전력 또는 통신라인을 수용하는 다기능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작업의 편리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고 공기단축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전력설비에 대한 배전 방법과 약전설비에 대한 배전 방법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한 경우에 하나의 배전 박스에는 전기 분전반 및 약전용 단자함의 관로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약전 단자함의 풀박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통신용 케이블이 상기 풀박스를 통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배전박스로 인출되도록 하고, 인출된 통신용 케이블을 세대의 통신용 단자함 또는 디바이스, 단말장치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 박스와 풀 박스의 개별적 시공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작업의 정확성, 미관성, 작업 편리성, 경제성, 및 공기 단축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2)

  1.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이 있는 곳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바닥층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들이 상기 개구부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과하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는 상기 바닥층의 콘크리트 시공시에 상기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된 채로 함께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4. 삭제
  5. 집합건물의 외부와 집합건물의 각 세대별 사이에서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인입하여 동일 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이 있는 곳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바닥층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는 격벽을 통해 분리적으로 박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부와는 수직으로 케이블 분배용 홀들이 상기 박스부의 내벽에 형성된 더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기 박스부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과하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전화통화, 텔레비전 시청, 고속인터넷 통신, 또는 홈 오토메이션 통신 중의 선택된 하나를 행하는데 필요한 케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세대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케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근방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는 상기 바닥층의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된 채로 철근 구조물에 함께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10.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과는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들이 상기 개구부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과하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배전박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세대들의 바닥층을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를 상기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된 채로 철근 구조물에 함께 매입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배전박스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들을 통해 인입하여 상기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운영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89194A 2005-09-26 2005-09-26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71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94A KR100719882B1 (ko) 2005-09-26 2005-09-26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94A KR100719882B1 (ko) 2005-09-26 2005-09-26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583U Division KR200403539Y1 (ko) 2005-09-26 2005-09-26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950A KR20050099950A (ko) 2005-10-17
KR100719882B1 true KR100719882B1 (ko) 2007-05-21

Family

ID=3727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194A KR100719882B1 (ko) 2005-09-26 2005-09-26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8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2B1 (ko) * 2009-03-03 2009-09-28 주식회사 베스텍 분전반
KR100985855B1 (ko) 2010-06-21 2010-10-08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1066638B1 (ko) 2011-06-17 2011-09-21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KR200469555Y1 (ko) 2013-08-20 2013-10-18 박재원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KR101396033B1 (ko) * 2013-01-08 2014-05-16 박재원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16B1 (ko) * 2014-12-18 2016-10-27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965031B1 (ko) 2016-05-04 2019-04-02 박인철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방화용 폼 패드
KR102214567B1 (ko) * 2020-04-09 2021-02-09 이동건 건물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579A (ko) * 1997-10-01 1999-05-06 조인권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0257977Y1 (ko) 2001-09-11 2001-12-24 윤명준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KR200351231Y1 (ko) 2003-12-30 2004-05-31 아이월드 주식회사 콘크리트 실링박스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579A (ko) * 1997-10-01 1999-05-06 조인권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0257977Y1 (ko) 2001-09-11 2001-12-24 윤명준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KR200351231Y1 (ko) 2003-12-30 2004-05-31 아이월드 주식회사 콘크리트 실링박스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2B1 (ko) * 2009-03-03 2009-09-28 주식회사 베스텍 분전반
KR100985855B1 (ko) 2010-06-21 2010-10-08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1066638B1 (ko) 2011-06-17 2011-09-21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KR101396033B1 (ko) * 2013-01-08 2014-05-16 박재원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KR200469555Y1 (ko) 2013-08-20 2013-10-18 박재원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950A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882B1 (ko)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409274B1 (ko)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118778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200403539Y1 (ko)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930368B1 (ko) 입상 케이블 트레이용 슬리브의 무볼트 조인트 커넥터 장치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0235025Y1 (ko) 공동주택 방송용 스피커 부위 세대간 소음차단 장치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KR100827603B1 (ko)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JP4682016B2 (ja) 建屋内外部通信伝送路及び総合信号伝送システム
KR10062978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985855B1 (ko)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0732939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70664B1 (ko)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100889363B1 (ko)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보호관
SK280424B6 (sk) Zariadenie s najmenej dvomi inštalačnými blokmi
JP3004711B2 (ja) 光通信路及びその布設工法
JPS6160965A (ja) 二重床構造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4849997B2 (ja) 壁下部の短配管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