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977Y1 -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977Y1
KR200257977Y1 KR2020010027948U KR20010027948U KR200257977Y1 KR 200257977 Y1 KR200257977 Y1 KR 200257977Y1 KR 2020010027948 U KR2020010027948 U KR 2020010027948U KR 20010027948 U KR20010027948 U KR 20010027948U KR 200257977 Y1 KR200257977 Y1 KR 200257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x
case
fixing bolt
light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준
Original Assignee
윤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준 filed Critical 윤명준
Priority to KR2020010027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97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볼트(16)가 케이스(13)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3) 내부의 전선들과 고정볼트(16)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케이스(13) 외면 일측에, 암나사부(15a)가 형성된 조명장치고정부(15)가 형성된 건축용 배선 박스고정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조명장치고정부(15)가 케이스(13) 외부에 구비되어 있어, 조명장치(11)를 배선박스(12)에 결합시키고 조명장치(1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볼트(16)가 배선박스(12) 외측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고정볼트(16)의 회전시 고정볼트(16)와 전선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wiring box structure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배선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 박스 내의 전선의 손상을 방지한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시공시 실내에 조명 시설등을 설치하기 위해 벽체 또는 천장에 배선박스를 매입설치하게 된다.
도1은 이러한 종래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써, 이는내부에 전선이 위치되도록 수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3)와, 케이스 둘레에 구비되고 내부의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분배구(4)와, 케이스(3) 내측에 구비되고 암나사부(5a)가 형성된 결합편고정부(5)와, 중앙의 체결구멍(7a) 및 체결구멍(7a)양측의 장공(7b)이 형성되어 나사(8)에 의해 케이스(3)에 고정지지되는 결합편(7)과, 결합편(7)의 체결구멍(7a)에 체결되고 하단에 조명장치(1)가 결합되는 고정볼트(9)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는, 배선박스(2)를 천장에 매입하고, 결합편(7)에 고정볼트(9)를 체결한 상태에서 결합편(7)을 케이스(3)의 결합편고정부(5)에 결합시키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볼트(9)에 조명장치(1)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게 되는 데, 조명장치(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볼트(9)를 회전시켜서 그 높이를 상승시킬시 볼트머리(9a)가 회전되면서 케이스(3) 내의 전선 피복을 손상시키게 되어 합선 또는 감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박스 내의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는, 천정에 매입설치되는 케이스 둘레에 다수의 분배구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면 대응부위에 결합편고정부가 형성된 배선박스와, 상기 배선박스에 고정지지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체결되고 조명장치가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가 케이스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전선들과 고정볼트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케이스 외면 일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조명장치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명장치고정부가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있어, 조명장치를 배선박스에 결합시키고 조명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볼트가 배선박스 외측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고정볼트의 회전시 고정볼트와 전선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선이 손상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3은 도2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명장치 12 ; 배선박스
13 ; 케이스 14 ; 분배구
15 ; 조명장치고정부 16 ; 고정볼트
16a ; 볼트머리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는 본 고안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그 사용상태 단면도로써, 이는 내부에 전선이 위치되도록 수납공간(13a)을 가지는 케이스(13)가 구비된다. 이 케이스(13)는 팔각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개방부위를 제외한 전체가 천장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그 형상은 팔각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사각, 육각,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3) 둘레에는 내부의 수납공간(13a)과 연결되도록 관통홀을 가지는 분배구(14)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의 배선이 분배구(14)를 통해 케이스(13)의 수납공간(13a) 측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케이스(13) 외측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암나사부(15a)를 가지는 조명장치고정부(15)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고정볼트(16)가 케이스(13) 외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3) 내부의 전선들과 고정볼트(16)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케이스(13) 외면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에 연결된 전선을 분배구(14)를 통해 배선박스(12)의 수납공간(13a)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천장 콘크리트에 배선박스(12)를 매입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볼트(16)를 조명장치(11)의 관통구멍(11a)에 끼워서 조명장치(11)가 고정볼트(16)의 볼트머리(16a)에 지지되도록 한 후 고정볼트(16)를 조명장치고정부(15)의 암나사부(15a)에 체결시킨다.
한편 조명장치(11)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고정볼트(16)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고정볼트(16)가 회전되면서 상승되면 볼트머리(16a)에 지지된 조명장치(11)가 이와 함께 상승되고, 고정볼트(16)를 역회전시켜서 하강시키면 조명장치(11)의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여기서 고정볼트(16)가 결합될 조명장치고정부(15)는 케이스(13) 외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6)를 회전시켜서 이를 상승시켜도 고정볼트(16)와 전선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명장치(1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볼트(16)를 회전시켜도 전선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전선 피복 손상에 따른 합선, 또는 감전 사고 위험이 전혀 없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에 의하면, 조명장치고정부(15)가 케이스(13) 외부에 구비되어 있어, 조명장치(11)를 배선박스(12)에 결합시키고 조명장치(1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볼트(16)가 배선박스(12) 외측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고정볼트(16)의 회전시 고정볼트(16)와 전선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선이 손상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천정에 매입설치되는 케이스 둘레에 다수의 분배구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면 대응부위에 결합편고정부가 형성된 배선박스와, 상기 배선박스에 고정지지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체결되고 조명장치가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16)가 케이스(13)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3) 내부의 전선들과 고정볼트(16)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케이스(13) 외면 일측에, 암나사부(15a)가 형성된 조명장치고정부(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선 박스고정구조.
KR2020010027948U 2001-09-11 2001-09-11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KR200257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948U KR200257977Y1 (ko) 2001-09-11 2001-09-11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948U KR200257977Y1 (ko) 2001-09-11 2001-09-11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977Y1 true KR20025797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948U KR200257977Y1 (ko) 2001-09-11 2001-09-11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9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82B1 (ko) 2005-09-26 2007-05-21 오태수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200470646Y1 (ko) * 2012-05-29 2014-01-03 김근수 조적 벽체용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82B1 (ko) 2005-09-26 2007-05-21 오태수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200470646Y1 (ko) * 2012-05-29 2014-01-03 김근수 조적 벽체용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9292A (en) Reinforced junction box assembly
US9664347B1 (en)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US20090175040A1 (en)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KR200257977Y1 (ko)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KR100607100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방호구조
US4706831A (en) Electrical box with laterally open polygonal bore
KR200171340Y1 (ko) 전주의 조류접근 방지용 바람개비
KR19990049132A (ko) 점퍼 스페이서
WO2007023211A1 (en) Fastening piece for fastening a lighting device or part of it to light mounting holes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or a building
JPH0630516A (ja)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0405952Y1 (ko)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KR200216697Y1 (ko)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
KR100884937B1 (ko) 배선 덕트 결합 조정 접속장치
US11901718B1 (en) Mono-point ceiling suspended device connector with integral plumbing and orientation alignment mechanism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KR100362267B1 (ko) 조명등용 브라켓트
KR20030096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부재
KR200375107Y1 (ko) 옥내 천장 배선용 접속함의 커버
KR200296518Y1 (ko) 박스
KR19990031050U (ko) 매립형 배전박스
JPS6338485Y2 (ko)
KR200258011Y1 (ko) 단자용 함체
KR200327643Y1 (ko) 전구소켓
KR200196215Y1 (ko) 전신주 상부의 조류집 짓기 방지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