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050U - 매립형 배전박스 - Google Patents

매립형 배전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050U
KR19990031050U KR2019970043756U KR19970043756U KR19990031050U KR 19990031050 U KR19990031050 U KR 19990031050U KR 2019970043756 U KR2019970043756 U KR 2019970043756U KR 19970043756 U KR19970043756 U KR 19970043756U KR 19990031050 U KR19990031050 U KR 199900310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se body
wall
distribution box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0111Y1 (ko
Inventor
최순오
Original Assignee
최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오 filed Critical 최순오
Priority to KR2019970043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11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배전박스를 벽체 내부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배전박스를 이루는 베이스 본체가 비뚤어진 상태로 매설되더라도 이 베이스 본체에 배전기구를 바르게 부착할 수 있게 한 매립형 배전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 : 벽체 내로 매립 고정되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 개구된 내부로 옥내 배선 및 배전기구를 수용하는 수납실이 마련되며, 내측벽에 걸림홈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와;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걸림홈에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그립퍼를 형성하고, 중앙에 환상의 기구삽입창을 보유하며, 원주부에 호형의 가이드홀이 다수 천공된 베이스 커버와; 배면에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딩 회동가능하게 계합되는 가이드포스트를 형성하며, 전면에 통상의 배전기구를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보스를 형성하고 있는 캡으로 구성된다.
효과 : 캡의 위치를 바로 잡기 위한 별도 부품이 필요없게 되며, 또한 상기 캡의 가이드포스트와 슬라이딩 회동가능하게 계합되는 베이스 커버의 가이드홀에 클릭운동을 하게 하는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캡의 유동을 배제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해지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배전박스
본 고안은 건물의 옥내 배전을 위하여 벽체에 매설되는 매립형 배전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박스를 벽체 내부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배전박스를 이루는 베이스 본체가 비뚤어진 상태로 매설되더라도 이 베이스 본체에 배전기구를 바르게 부착할 수 있게 한 매립형 배전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매립형 배전박스는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매설되어서 콘센트, 전화기 소켓, 전원 스위치 등의 옥내 배전기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상기 옥내 배전기구의 벽면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부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립형 배전박스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사각함체상의 베이스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베이스 본체는 전면에 배전기구가 삽입 장착되는 개구를 보유하고 있고, 또 측면 상에는 전선 케이블 등을 연장시키는 튜브 등이 접속될 수 있도록 강제로 개방되는 연결공이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매립형 배전박스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벽체에 매설할 때, 상기 베이스본체의 위치가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서 바르게 배치되지 않고 비뚤어진 자세로 매설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 경우에, 상기 베이스본체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캡의 각도도 비뚤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상부캡에 나사체결되는 배전기구도 비뚤어지게 되어 결국은 배전기구 명판의 부착 상태가 바르게 되지 못하여 실내 미관을 불량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성 1-109226호, 배전기구용 매립박스와 같이 박스 본체의 전면으로 부착되는 캡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로 해결될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면에 기구 삽입창(2)을 보유하고, 벽재 내로 매립 고정하는 박스 본체(1)와, 상기 박스 본체(1)의 정면에 멈치나사(9)에 의해 고착되고, 기구부착용의 창을 보유하는 판상의 캡(5)으로 되는 배전기구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캡(5)에 상기 멈치나사(9)를 삽통하는 복수의 원호상 구멍(7)을 천공하고, 상기 원호상 구멍(7)은 동일 또는 동심원의 원주상을 연장하여서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매립박스는 캡(5)를 소망의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 원호상 구멍(7)을 통해 멈치나사(9)로 캡(5)를 고정함으로써 캡(5)에 결합되는 콘센트 명판을 바른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매립박스는 캡(5)를 멈치나사(9)로 완전히 고정하기 전에는 다소의 유동이 있으므로 캡(5)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다수의 멈치나사(9)에 의해 의존하여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번거로워 작업 현장 등에서 능률적인 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부품수가 적고 조립 수공이 간편 용이하여 시공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공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된 매립형 배전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부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정면도
도 4 는 종래의 배전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베이스 본체 13-수납실
15-걸림홈 21-베이스 커버
23-기구삽입창 24-가이드홀
24a-요철 26-그립퍼
31-캡 33-팽출창
35-나사보스 37-가이드포스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 내로 매립 고정되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 개구된 내부로 옥내 배선 및 배전기구를 수용하는 수납실이 마련되며, 내측벽에 걸림홈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와;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걸림홈에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그립퍼를 형성하고, 중앙에 환상의 기구삽입창을 보유하며, 원주부에 호형의 가이드홀이 다수 천공된 베이스 커버와; 배면에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딩 회동가능하게 계합되는 가이드포스트를 형성하며, 전면에 통상의 배전기구를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보스를 형성하고 있는 캡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이동시에 클릭운동되게 하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 전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캡의 상하 이동시 나사보스의 뒷부분이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베이스본체가 콘크리트타설시에 비틀어지게 시공된 경우에도, 캡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포스트가 베이스 커버에 호형으로 천공된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캡을 회동시켜 바르게 위치시킴으로써 캡에 체결되는 배전기구를 바르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포스트와 계합되는 상기 가이드홀에는 캡의 회동시에 클릭운동을 하게 하는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조절된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배전기구가 부착된 캡이 정위치를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부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정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체에 매립 고정되며 전방 개구된 사각함형의 베이스 본체(11)와, 상기 베이스 본체(11)와 결합되는 판상의 베이스 커버(21)와, 상기 베이스 커버(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미도시된 배전기구와 체결되는 대략 원판상의 캡(31)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본체(11)에는 개구된 내부로 옥내 배선 및 배전기구가 수용되는 수납실(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측면으로 전선케이블 등을 연장시키는 튜브 등이 접속될 수 있도록 강제로 개방되는 연결공(18)과,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선 부설용 배관과 체결되는 커넥터(17)를 구비하고, 내벽에 다수의 걸림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 커버(21)는 상기 수납실(13)로 배전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환상의 기구삽입창(23)을 형성하고, 몸체에는 원중심으로부터 동일 원주거리에 호형의 가이드홀(24)이 다수 천공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걸림홈(15)에 계합되는 그립퍼(26)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걸림홈(15)에 계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그립퍼(26)는 상기 걸림홈(15)보다 상하 길이폭이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면부호 19는 캡(31)과 결합된 베이스 커버(21)가 베이스 본체(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때 캡(31)의 배면으로 돌출된 나사보스(35)의 뒷부분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오목홈이다.
또한, 상기 캡(31)은 배면에 상기 베이스 커버(21)의 가이드홀(24)에 슬라이딩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포스트(37), 전면에는 배전기구를 내입하는 팽출창(33)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팽출창(33)의 내향으로 배전기구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체결공(35a)을 나사보스(35)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21)에 마련된 가이드홀(24)에는 상하면으로 요철(24a)을 형성하되, 이 요철(24a)은 상기 베이스 커버(21)에 구비된 다수의 가이드홀(24)에 모두 형성하거나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홀(24)과 가이드포스트(37)의 결합에 의해 베이스 커버(21)에 결합된 캡(31)이 외력에 의해 쉽게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홀딩력을 결정하며, 요구되는 홀딩력의 크기 정도에 따라 그 형성되는 위치 및 수량, 그리고 요철(24a)의 돌출된 정도를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캡(31)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포스트(37)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호상 방향으로 결절홈(371)을 형성하면서 절개됨과 아울러 단부에 둔턱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홀(24)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베이스 본체(11)를 따로 혹은 베이스 커버(21)와 결합한 상태로 벽체용 거푸집 내측에 임시 고정되게 시공한 후,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벽체에 매설된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1)에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21)의 가이드홀(24)에 가이드포스트(37)가 삽입되게 캡(31)을 장착한다.
한편, 본 고안은 베이스 본체(11)와 베이스 커버(21) 및 캡(31)을 모두 결합한 상태에서 벽체용 거푸집 내측에 임시 고정한 후 콘크리트 타설로 벽체에 매설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벽체에 매설되는 매립형 배전박스에 통상의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전기구를 장착함에 있어서는 배전기구와 옥내 배선을 연결한 다음 배전기구 바디를 상기 캡(31)의 팽출창(33)과 상기 베이스 커버(21)의 기구삽입창(23)을 통해 베이스 본체(11)의 수납실(13)로 진입시킨 후 나사보스(35)의 나사체결공(35a)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배전기구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때 배전기구로 접속된 옥내 배선은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수납실(13)에 수용되어 정리된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벽체에 매설되기 전 임시 고정된 베이스 본체(11)가 콘크리트 타설시의 하중을 받아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 본체(11) 및 이에 결합된 베이스 커버(21)가 비뚤어지게 벽체(40)에 장착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비뚤어진 베이스 커버(21)에 장착된 상기 캡(31)에 인위적으로 소정의 회동력을 가하여 캡(31)이 바로 위치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캡(31)에 장착된 배전기구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에 바른 위치로 장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 본체(11)에 결합된 베이스 커버(21)와 상기 캡(31)이 가이드홀(24)과 가이드포스트(37)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것이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받더라도 상기 캡(31)이 베이스 커버(21)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포스트(37)가 호형의 가이드홀(24)의 요철(2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캡(31)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겸하고 있으므로 시공시 여타의 부품이 따로 필요치 않게 된다.
캡(31)의 회동각도는 호형의 가이드홀(24)과 가이드포스트(37)의 형성 위치로 제한되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대략 20도 정도가 회동되며, 이 정도의 회동각도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비뚤어지게 장착된 상태를 바른 위치로 보정하여 주기에 충분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배전박스가 인접설치한 경우, 캡(31)의 높이를 맞추어 정렬할 수 있다. 즉, 캡(31)과 결합된 베이스 커버(21)는 베이스 본체(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그립퍼(26)가 걸림홈(15)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홈(15)이 허용하는 범위만큼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이와같이 슬라이딩 이동시에 캡(31)의 배면으로 돌출된 나사보스(35)부분은 베이스 본체(11)에 형성된 오목홈(19)에 의해서 이동이 규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걸림홈(15)과 그립퍼(26)의 크기상, 상하방향으로 1내지 2㎝ 정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묘사되었으며, 이 정도의 이동거리로도 콘크리트 타설시에 장착 오차를 커버하기에 충분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벽체에 매설되는 베이스 본체와 결합된 베이스 커버에 캡이 슬라이딩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중심기준을 벗어나 비뚤어지게 장착되더라도 캡을 회동시켜 배전기구를 바른 위치로 교정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에 캡의 위치를 바로 잡기 위해 사용되던 멈치나사 등의 부품이 필요없게 되며, 또한 상기 캡의 가이드포스트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베이스 커버의 가이드홀에는 캡의 회동시에 클릭운동을 하게 하는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캡이 완전히 고정하기 전에 문제되었던 캡의 유동을 배제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로 장착되게 하는 시공이 매우 간편해짐은 물론이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 본체가 매립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본체에 결합되는 캡의 상하 높이를 다소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벽체에 여러개의 배전기구를 장착할 경우 열을 정돈할 수 있어 미관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벽체 내로 매립 고정되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 개구된 내부로 옥내 배선 및 배전기구를 수용하는 수납실(13)이 마련되며, 내측벽에 걸림홈(15)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11)와;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걸림홈(15)에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그립퍼(26)를 형성하고, 중앙에 환상의 기구삽입창(23)을 보유하며, 원주부에 호형의 가이드홀(24)이 다수 천공된 베이스 커버(21)와; 배면에 상기 가이드홀(24)에 슬라이딩 회동가능하게 계합되는 가이드포스트(37)를 형성하며, 전면에 통상의 배전기구를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보스(35)를 형성하고 있는 캡(3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전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24)는 상기 가이드포스트(37)의 이동시에 클릭운동되게 하는 요철(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전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1) 전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캡(31)의 상하 이동시 나사보스(35)의 뒷부분이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한 오목홈(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전박스.
KR2019970043756U 1997-12-30 1997-12-30 매립형배전박스 KR200210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56U KR200210111Y1 (ko) 1997-12-30 1997-12-30 매립형배전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56U KR200210111Y1 (ko) 1997-12-30 1997-12-30 매립형배전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50U true KR19990031050U (ko) 1999-07-26
KR200210111Y1 KR200210111Y1 (ko) 2001-03-02

Family

ID=5389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756U KR200210111Y1 (ko) 1997-12-30 1997-12-30 매립형배전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1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05Y1 (ko) * 2008-10-17 2011-01-18 (주)네오정보시스템 전기 기기의 벽면 체결 구조
CN108120860A (zh) * 2017-12-04 2018-06-05 天津天慧通科技有限公司 新型电表箱固定装置
KR20210001572U (ko) * 2019-12-30 2021-07-08 이복례 배선작업이 용이한 콘트리트 매설용 전선 배관박스
KR102664612B1 (ko) 2024-02-14 2024-05-10 조동민 이너 플레이트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실내 배전용 콘센트 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05Y1 (ko) * 2008-10-17 2011-01-18 (주)네오정보시스템 전기 기기의 벽면 체결 구조
CN108120860A (zh) * 2017-12-04 2018-06-05 天津天慧通科技有限公司 新型电表箱固定装置
KR20210001572U (ko) * 2019-12-30 2021-07-08 이복례 배선작업이 용이한 콘트리트 매설용 전선 배관박스
KR102664612B1 (ko) 2024-02-14 2024-05-10 조동민 이너 플레이트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실내 배전용 콘센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111Y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2506B1 (en) Electrical box with recessed faceplate
US5931325A (en) Adjustable mudring for conventional electrical outlet box
US8245862B2 (en) Electrical box with recessed faceplate
US20030137816A1 (en) Outlet box assembly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DK2637486T3 (en) ELECTRIC APPLIANCE WITH AN ELECTRONIC CABINET WITH A HOLDER AND CLIPPING DEVICE
KR19990031050U (ko) 매립형 배전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19858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JP4492510B2 (ja) 屋外用機器の防水構造
JP5384688B2 (ja) 機器収容ボックスの蓋体回動規制装置
US6783298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ntrol mechanism to an end of a support arm system
CN214100062U (zh) 防水插头固定装置
KR19990001631U (ko) 매립형 배전상자
JP5037267B2 (ja) 機器収容ボックス装置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EP3840148B1 (en) Electrical device
AU2019101661A4 (en) Electrical device
KR102647841B1 (ko)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KR200255397Y1 (ko) 전기 콘센트 설치용 회전박스
JP5078093B2 (ja) 照明器具
JP3988493B2 (ja) 床用配線器具の取付構造
KR100723918B1 (ko)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200257977Y1 (ko) 건축용 배선 박스구조
KR200237654Y1 (ko) 힌지 및 이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