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41B1 -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41B1
KR102647841B1 KR1020230102019A KR20230102019A KR102647841B1 KR 102647841 B1 KR102647841 B1 KR 102647841B1 KR 1020230102019 A KR1020230102019 A KR 1020230102019A KR 20230102019 A KR20230102019 A KR 20230102019A KR 102647841 B1 KR102647841 B1 KR 10264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astening
hole
terminal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현 filed Critical 신종현
Priority to KR102023010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6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a screw 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앵커와 결합되는 콘센트 체결공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앵커가 콘센트 하우징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설치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접속단자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열되는 안전판, 상기 안전판의 상부에 배열되는 접지단자, 상기 안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플러스 삽입부가 형성된 캡 및 상기 캡의 상단을 커버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A RECESSED OUTLETS FOR EASY INSTALLATION}
개시된 내용은 앵커와 결합되는 콘센트 체결공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앵커가 콘센트 하우징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설치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또는 소켓)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에 부착된 플러그를 꽂음에 따라 전원을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그 설치 형태에 따라 노출형 또는 매립형 콘센트로 대별된다.
상기의 매립형 콘센트는 구조물의 벽면에 구비된 고정용 박스나 콘센트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벽면에 콘센트 하우징을 미리 매립하고, 벽면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선이 콘센트 하우징을 통해 인입되어 콘센트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종래의 벽면 매립형 컨센트의 경우, 벽면에 매설된 콘센트 하우징의 전면에 매립형 콘센트를 대응시킨 후 콘센트의 지지부재에 앵커를 결합하여 콘센트가 콘센트 하우징에 체결되도록 설치한다.
이 경우, 콘센트 설치자는 벽면에 매립된 콘센트 하우징의 전면을 콘센트로 커버한 후 콘센트 지지부재의 체결공에 앵커와 같은 나사 또는 볼트를 끼워 결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콘센트 하우징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앵커를 콘센트 하우징에 결합하는 과정은 설치자에게 많은 어려움을 줄 뿐 아니라 콘센트 설치에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벽면 매립형 콘센트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5671호(2008.4.29. 등록)에는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단자고정링에 삽입되는 원형봉체로 상기 음양극탄성단자의 탄성반원부와 밀착되는 외주연에는 일측에 내측단자를 갖고 외면에 요철부를 갖는 요철단자링이 각각 안착고정되는 단자홈을 갖는 링홈이 각각 형성되고, 정면 상하측으로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좌우측으로는 단자홈과 전선으로 각각 통전되는 통전공이 각각 형성되는 회동단자틀과, 원형판체로 상기 회동단자틀의 통전공 연장선상에 통전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의 연장선상에 볼트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단에서 돌출되어 선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고정바가 형성되고, 접속단자가 통전통공을 통해 상기 통전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단자홈 내측에서 상기 전선에 의해 통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동단자틀에 고정되는 부도체인 고정틀과, 원형통체로 상기 접속단자의 연장선상에 통전돌기가 삽입되어 접속단자와 통전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통공의 연장선상에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틀을 회동단자틀에 체결고정시키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바의 절곡부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선단면은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날개부가 형성되며, 걸림날개부 일측에는 삽입구멍의 위치를 측면에서 표시하는 구멍표시홈이 형성되고, 걸림날개부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플러그삽입관과, 상기 콘센트 본체의 개방부 선단에 위치되어 상기 플러그삽입관이 삽입되어 걸림날개부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삽입관고정공이 형성되고, 삽입관고정공 후방측에는 상기 고정바 선단과의 접촉시 변형을 방지하는 마찰변형방지링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 연장선상에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마감캡이 삽입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콘센트커버를 포함하는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1686호(2017.06.22. 등록)는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배전선이 인입되는 전선공이 형성된 하우징박스, 상기 배전선과 연결되어 전기제품의 코드가 끼워지며 상기 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드단자를 포함하는 콘센트유닛, 상기 콘센트유닛의 둘레에서 상기 코드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돌출부, 상기 하우징박스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콘센트유닛으로 상기 코드를 끼우기 위한 콘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유닛이 상기 코드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닛수용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본체, 상기 유닛수용부에 상기 콘센트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콘센트홀의 둘레에 걸쳐지는 다이얼부와, 상기 다이얼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유닛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한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유닛수용부에서 상기 콘센트유닛의 삽입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깊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매립형 콘센트의 경우에는 벽면에 매설된 콘센트 하우징의 전면에 매립형 콘센트를 대응시킨 후 콘센트의 지지부재에 앵커를 결합하여 콘센트가 콘센트 하우징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콘센트 설치시 콘센트 하우징 내부로 앵커를 체결하는데 시야 확보가 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콘센트 설치에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5671호(2008.4.29. 등록)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1686호(2017.06.22. 등록)
접속단자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열되는 안전판, 상기 안전판의 상부에 배열되는 접지단자, 상기 안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플러스 삽입부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체결부의 일면 일정 범위가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앵커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된 삽입통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앵커가 벽면 매립구에 설치된 콘센트 하우징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 하우징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콘센트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접속단자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열되는 안전판, 상기 안전판의 상부에 배열되는 접지단자, 상기 안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플러스 삽입부가 형성된 캡 및 상기 캡의 상단을 커버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일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로 굴곡지고, 앵커의 삽입 장착을 위해 체결공이 통공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부의 일면 일정 범위가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앵커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된 삽입통공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통공부는 상기 체결부 중 일단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에 통공된 제1체결공과 연통하는 제1삽입통공부 및 상기 체결부 중 타단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에 통공된 제2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삽입통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통공부 및 상기 제2삽입통공부는 통공된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통공부는, 상기 제1체결부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삽입통공부는 상기 일면과 연직방향에 있는 상기 제2체결부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과 연통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지단자는 길이 방향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은 전후방부와 양측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재,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저면에 천공되어,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투입구, 상기 접지단자의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통공된 단자노출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체결부와 상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노출되도록 통공된 대응체결공을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체결부는 일면 일정 범위가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개방된 삽입통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앵커가 콘센트 하우징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콘센트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 일단의 제1삽입통공부 및 체결부 타단의 제2삽입통공부의 통공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콘센트의 일단을 수직 방향으로 앵커에 삽입시킨 후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앵커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콘센트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는 앵커가 콘센트 하우징에 기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콘센트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정리된 상태에서 컨센트가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콘센트가 덮히지 않은 상태에서 앵커가 고정되어, 앵커의 삽입시 전선과 앵커와의 접촉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1삽입통공부가 앵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b)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2삽입통공부가 앵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의 설치상태를 나태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의 설치상태를 나태내는 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1)는 앵커(20)와 결합되는 콘센트 체결공(330)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앵커(20)가 콘센트하우징(10)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1)를 설치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안전판(20-0), 지지부재(300), 접지단자(400), 캡(500), 전면커버(600) 및 단자가이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내부에 접속단자(미도시)가 수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0)는 사각형태로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벽멱에 의하여 에워싸여지고,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격벽의 양측으로 수용부가 형성되어 접속단자(미도시)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각 수용부에 베이스(100)의 내측벽면과 상기 격벽을 연결하고,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구획돌기가 형성되어 수용홈을 형성한다.
상기 접속단자(미도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도성소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각 수용부에 수납되어 플러그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접속구와, 상기 본체의 중간 외측부에 연결되어 하부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수용부에 수납되어 전원선과 연결되는 전선접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판(2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에 배열되는 것으로, 전도성소재로 이루어진 접속단자(미도시)와 접지단자(400)를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전기적인 안전성을 담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판(200)은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기적 성질이 부도체인 소재를 사용하여 안전판(200)의 하부와 상부에 배열되는 접속단자(미도시)와 접지단자(400)가 완전히 분리되어 전기적인 접속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판(200)의 상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00)가 수납된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판(200)에 형성된 수용홈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단자(400)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안전판(200) 상면에 배치된 상태로 상단에 끼워지는 상기 캡(50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0)와 캡(500)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금속 부재로써, 양단이 돌출되도록 콘센트(1)에 설치되어 콘센트 하우징(10)에 콘센트(1)가 설치될 때 앵커(20)의 결합이 상기 지지부재(300)의 양단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00)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콘센트(1)를 구조물의 벽면과 같은 설치장소에 고정시키는 경우 설치 장소에 콘센트의 매설을 위한 콘센트 하우징(10)이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하우징(10)에는 전원선이 인출되어 있어 콘센트(1)에 전원선을 연결하여 콘센트(1)를 콘센트 하우징(10)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재(300)의 양단에 앵커(20)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콘센트 하우징(10)에 콘센트(1)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몸체(310), 체결부(320), 체결공(330) 및 삽입통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길이 방향의 판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양 단부에 일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로 굴곡지고, 앵커(20)의 삽입 장착을 위해 체결공(330)이 통공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양단에 굴곡진 단턱으로 내부에 앵커(20) 및 볼트의 삽입 및 고정을 위해 체결공(330)이 통공되어 구성된다.
도 4(a)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1삽입통공부가 앵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b)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2삽입통공부가 앵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삽입통공부(3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320)의 일면 일정 범위가 상기 체결공(330)과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앵커(20)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공(3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통공부(340)는 상기 체결공(330)과 연통되도록 통공되어, 체결부(320)의 일면 일측이 상기 체결공(330)으로 연통되도록 개방된 구성으로, 앵커(20) 및 볼트가 삽입통공부(340)를 통해 끼워져 체결공(33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콘센트의 경우, 벽면에 매립된 콘센트 하우징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해 콘센트 하우징에 콘센트를 배치시킨 후, 지지부재의 체결공에 앵커나 볼트를 끼워 콘센트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벽면 안쪽으로 매립된 상태의 콘센트 하우징에 앵커를 결합하는 작업의 경우,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콘센트가 커버된 상태에서 앵커가 체결되어야 함으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앵커를 결합시키는 작업은 수행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으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 설치 방법은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콘센트를 덮은 상태에서 앵커를 끼워 고정하는 과정에서 콘센트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선들과 삽입되는 앵커와의 접촉에 의해 전선이 손상되거나 앵커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1)의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센트(1)가 콘센트 하우징(10) 전면에 배치되기 전에 미리 앵커(20)를 콘센트 하우징(10)에 체결하고, 앵커(20)가 체결된 콘센트 하우징(10) 전면에 콘센트(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300)의 일측에 삽입통공부(340)가 배치되고, 상기 삽입통공부(340)를 통해 앵커(20)가 끼워져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통공부(340)는 콘센트 하우징(10)에 기 설치된 앵커(20)가 용이하게 체결공(33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콘센트(1)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설치 시간이 현저히 저감되는 효과를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삽입통공부(340)는 지지부재(300)의 양단에 배치되는 각각의 삽입통공부(340)가 통공된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통공부(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320) 중 일단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321)에 통공된 제1체결공(331)과 연통하는 제1삽입통공부(341) 및 상기 체결부(320) 중 타단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322)에 통공된 제2체결공(332)과 연통되는 제2삽입통공부(3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통공부(341) 및 상기 제2삽입통공부(342)는 통공된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통공부(340)는 상기 제1삽입통공부(341)가 상기 제1체결부(321)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331)과 연통되고, 상기 제2삽입통공부(342)가 상기 일면과 연직방향에 있는 상기 제2체결부(322)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332)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삽입통공부(341)를 콘센트 하우징(10)의 일측 앵커(20)에 삽입시킨 후 상기 콘센트(1)의 타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부(320)의 측면에 통공된 상기 제2삽입통공부(342)로 콘센트 하우징(10)의 타측 앵커(20)가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즉,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1)는 체결부 (320) 일단의 제1삽입통공부(341) 및 체결부(320) 타단의 제2삽입통공부(342)의 통공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콘센트(1)의 일단을 수직 방향으로 앵커(20)에 삽입시킨 후 타단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앵커(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콘센트(1)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앵커(20)가 콘센트 하우징(10)에 기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1)를 콘센트 하우징(10) 전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콘센트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정리된 상태에서 컨센트(1)가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센트 하우징(10) 전면에 콘센트(1)가 덮히지 않은 상태에서 앵커(20)가 고정되어, 앵커(20)의 삽입시 전선과 앵커(20)와의 접촉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접지단자(400)는 상기 안전판(200)의 상부에 배열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의 프레임(410) 및 상기 프레임(410)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캡(5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단자(400)는 접지선과 연결되어 콘센트(1)의 전위를 그라운드와의 전위차를 없애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의 발생이나 인명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캡(500)의 단자노출구(540)로 상기 단자부(420)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캡(500)은 상기 베이스(10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플러스 삽입부(5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500)은 베이스(100) 상단에서 베이스(100)와 체결되어 콘센트(1)의 상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전후방부와 양측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재(520), 상기 날개부재(520)에 형성되어,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미도시), 상기 플러그 삽입부(510)의 저면에 천공되어,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투입구(530), 상기 접지단자(400)의 단자부(420)가 노출되도록 통공된 단자노출구(540) 및 상기 지지부재(300)의 체결부(320)와 상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320)가 노출되도록 통공된 대응체결공(55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캡(500)은 상기 단자노출구(540)로 상기 접지단자(400)의 단자부(420)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대응체결공(550)으로 지지부재(300)의 체결부(3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500)은 상면에 상기 전면커버(60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600)는 상기 캡(500)의 상단을 커버하는 구성이다.
상기 단자가이드(700)는 상기 단자투입구(530)와 연결 배치되고,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단자투입구(530)를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단자가이드(700)는 상기 캡(500)에서 플러그 단자가 상기 단자투입구(530)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투입구(530)를 개방하여 플러그 단자가 접속단자(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가이드(700)는 회전을 위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1)는 매립형 스위치에 적용 실시될 수 있다.
즉, 개시된 내용에 따른 캡(500) 및 전면 커버(600)의 형태는 전등이나 전원기구의 소등이나 점등 또는 온, 오프를 위한 스위치 및 스위치 커버 형태로 적용 실시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체결부는 일면 일정 범위가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개방된 삽입통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앵커가 콘센트하우징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하우징전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콘센트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 일단의 제1삽입통공부 및 체결부 타단의 제2삽입통공부의 통공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콘센트의 일단을 수직 방향으로 앵커에 삽입시킨 후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앵커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콘센트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는 앵커가 콘센트 하우징에 기설치된 상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콘센트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정리된 상태에서 컨센트가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센트 하우징 전면에 콘센트가 덮히지 않은 상태에서 앵커가 고정되어, 앵커의 삽입시 전선과 앵커와의 접촉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10 : 콘센트 하우징 20 : 앵커
100 : 베이스 200 : 안전판
300 : 지지부재 310 : 몸체
320 : 체결부 321 : 제1체결부
322 : 제2체결부 330 : 체결공
331 : 제1체결공 332 : 제2체결공
340 : 삽입통공부 341 : 제1삽입통공부
342 : 제2삽입통공부 400 : 접지단자
410 : 프레임 420 : 단자부
500 : 캡 510 : 플러그 삽입부
520 : 날개부재 530 : 단자투입구
540 : 단자노출구 550 : 대응체결공
600 : 전면커버 700 : 단자가이드

Claims (7)

  1. 접속단자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열되는 안전판;
    상기 안전판의 상부에 배열되는 접지단자;
    상기 안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플러스 삽입부가 형성된 캡; 및
    상기 캡의 상단을 커버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단자는,
    길이 방향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전후방부와 양측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재;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저면에 천공되어,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투입구;
    상기 접지단자의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통공된 단자노출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체결부와 상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노출되도록 통공된 대응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일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로 굴곡지고, 앵커의 삽입 장착을 위해 체결공이 통공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부의 일면 일정 범위가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앵커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된 삽입통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공부는,
    상기 체결부 중 일단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에 통공된 제1체결공과 연통하는 제1삽입통공부; 및
    상기 체결부 중 타단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에 통공된 제2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삽입통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통공부 및 상기 제2삽입통공부는,
    통공된 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통공부는,
    상기 제1체결부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삽입통공부는,
    상기 일면과 연직방향에 있는 상기 제2체결부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6. 삭제
  7. 삭제
KR1020230102019A 2023-08-04 2023-08-04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KR10264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019A KR102647841B1 (ko) 2023-08-04 2023-08-04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019A KR102647841B1 (ko) 2023-08-04 2023-08-04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841B1 true KR102647841B1 (ko) 2024-03-15

Family

ID=9027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019A KR102647841B1 (ko) 2023-08-04 2023-08-04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671B1 (ko) 2008-01-25 2008-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1160568B1 (ko) * 2011-09-07 2012-06-28 주식회사 위너스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KR101751686B1 (ko) 2016-12-16 2017-06-28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
KR20180044010A (ko) * 2016-10-21 2018-05-02 하인경 시공이 용이한 안전콘센트
KR200494151Y1 (ko) * 2020-03-18 2021-08-13 조경군 가로형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671B1 (ko) 2008-01-25 2008-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1160568B1 (ko) * 2011-09-07 2012-06-28 주식회사 위너스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KR20180044010A (ko) * 2016-10-21 2018-05-02 하인경 시공이 용이한 안전콘센트
KR101751686B1 (ko) 2016-12-16 2017-06-28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
KR200494151Y1 (ko) * 2020-03-18 2021-08-13 조경군 가로형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129A (en) Housing for switched electrical receptacle or the like
US6497592B1 (en) Voltage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6414241B1 (en) Enclosure for interfacing electrical and control or communication devices
US5404266A (en) Temporary power center for construction site
US7370988B2 (en) In-grade light fixture housing and hydrological barrier plate for use therein
US6443783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US20020182917A1 (en)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
KR102647841B1 (ko)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AU660517B2 (en) Device for lighting and suspension of a hanging-rod and modular assembly for lighting and suspension of hanging-rods
US11710953B2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US6774308B1 (en) Wire termination box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236840Y1 (ko)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JP3232115B2 (ja) 防雨形ジョイントボックス
EP0486947B1 (en) A double wall socket
JPS6326056Y2 (ko)
KR200452600Y1 (ko) 자석을 이용한 부착수단을 구비한 천정 배선접속구
JP2521364B2 (ja) 照明器具
JPH11243629A (ja) 電源ポール
JP3141338U (ja) 照明器具用配電具
EP1437803A1 (en) Power source connector for fluorescent lamp
PL182336B1 (pl) Gniazdo wtyczkowe PL
BR102013007398A2 (pt) Sistema de tomada móvel
KR200294135Y1 (ko) 콘센트 박스
JPS6016040Y2 (ja) ア−ス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