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151Y1 - 가로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가로형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4151Y1 KR200494151Y1 KR2020200000930U KR20200000930U KR200494151Y1 KR 200494151 Y1 KR200494151 Y1 KR 200494151Y1 KR 2020200000930 U KR2020200000930 U KR 2020200000930U KR 20200000930 U KR20200000930 U KR 20200000930U KR 200494151 Y1 KR200494151 Y1 KR 2004941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bracket
- grounding
- coupling
- horizontal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접지단자가 결합되는 접지브라켓, 상기 접지브라켓을 수용하는 안전판 및 상기 베이스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브라켓은, 상기 접지브라켓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로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브라켓의 휨강성이 향상된 가로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자기기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전선이 외부와 연결되고 감전을 예방하기 위한 접지선이 외부와 연결된다.
콘센트는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 에너지에 의한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접지모듈을 구비하는데, 접지모듈은 보통 도체로 형성되는 접지단자와 접지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접지브라켓으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1은 구성부품들의 조립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콘센트에 관한 발명으로서, 접지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단자(접지브라켓)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연결단자(접지브라켓)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어 제1 체결보스가 삽입됨으로써 연결단자(접지브라켓)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처럼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1 체결공을 통해서 연결단자(접지브라켓)가 고정되는 경우 연결단자(접지브라켓)의 휨강성이 약하므로, 콘센트를 벽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연결단자(접지브라켓)가 외력을 받으면 휘거나 부러질 수 있다. 연결단자(접지브라켓)가 휘게 되면 연결단자(접지브라켓)를 수용하고 있는 콘센트의 케이스가 벌어질 수도 있고, 이로 인하여 감전 사고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과제는, 접지브라켓이 외력에 의해서 쉽게 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접지브라켓을 수용하는 안전판을 콘센트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접지단자와 접지브라켓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형 콘센트는, 벽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접지단자가 결합되는 접지브라켓, 상기 접지브라켓을 수용하는 안전판 및 상기 베이스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브라켓은, 상기 접지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접지브라켓의 휨강성을 향상시키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체결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보스에 결합하며, 상기 접지브라켓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하면에 커버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격벽의 일면에는 경사지게 돌출되는 걸림턱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벽면은 경사지게 돌출되는 결합턱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결합턱에 걸려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림턱이 걸리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은, 상기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상기 안전판은 상기 제1 결합돌기가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제2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은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판은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제2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단자는 태핑나사에 의해서 상기 접지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로형 콘센트는, 접지브라켓이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편를 구비하여 휨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접지브라켓이 외력에 의해서 쉽게 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판과 베이스가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구비하여 결합함으로써, 안전판이 콘센트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지단자와 접지브라켓이 태핑나사에 의해서 결합됨으로써, 접지단자와 접지브라켓을 조립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형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전원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베이스에 결합한 안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접지단자를 수용하는 접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커버와 결합한 접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전원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베이스에 결합한 안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접지단자를 수용하는 접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가로형 콘센트의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커버와 결합한 접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형 콘센트(1)는, 베이스(100), 전원단자(200), 안전판(300), 접지브라켓(400), 접지단자(500), 커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내부에 가로형 콘센트(1)를 구성하는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벽면(110), 격벽(120), 제1 체결보스(130), 전선구멍(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벽면(110)은 복수개가 베이스(100)의 일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벽면(110)에는, 벽면(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11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벽면(110)은 베이스(100)의 외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결합턱(118)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턱(118)은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베이스(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격벽(120)은 벽면(110)에 의해서 둘러싸인 베이스(100)의 공간인 챔버에 벽면(110)과 평행한 복수개의 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격벽(120) 사이의 공간은 전원단자(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보스(130)는 베이스(100)와 커버(600)를 볼트 결합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며, 베이스(100)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결보스(130)에는 베이스(100)의 저면을 통해서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보스(13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볼트 등에 의해서 베이스(100)와 커버(6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전선구멍(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구멍(140)을 통해서 외부의 전선이 베이스(100) 내부로 유입되어 전원단자(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전원단자(2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200)는 전선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도체로 구성되는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은 V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단자구멍(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안전판(3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안전판(300)은 접지브라켓(400)이 전원단자(200)와 접촉하여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도체로 형성된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310), 제2 결합홈(320), 제2 결합돌기(330), 접속돌기, 제2 단자구멍(350), 제1 체결구멍(360), 연통구멍(37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10)는 커버(600)와 대향하는 안전판(300)의 일면에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310) 사이의 공간인 홈에 접지브라켓(400)과 접지단자(5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결합홈(320)은 안전판(300)의 외주연에 홈이 파여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벽면(11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116)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330)는 안전판(300)의 외주연에 돌출되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벽면(110)에 형성된 제1 결합홈(114)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홈(320)에 제1 결합돌기(116)가 끼워지고, 제2 결합돌기(330)가 제1 결합홈(114)에 끼워짐으로써, 안전판(300)은 베이스(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속돌기는 베이스(100)와 대향하는 안전판(300)의 일면에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120) 사이의 수용부(122)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자구멍(350)은 가로형 콘센트(1)에 수용되는 플러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안전판(300)에 복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구멍(360)은 접지브라켓(400) 및 접지단자(500)를 나사 등에 의해서 결합시키기 위해서 안전판(300)에 복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안전판(300)과 접지브라켓(400) 및 접지단자(500)는 제1 체결구멍(360)으로 삽입되는 태핑나사(329)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태핑나사(329)의 길이는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구멍(370)은 제1 체결보스(130)가 관통하도록 안전판(3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접지브라켓(4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브라켓(400)은 접지단자(50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제3 단자구멍(410), 제2 체결구멍(420), 지지편(430), 고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자구멍(410)은 가로형 콘센트(1)에 수용되는 플러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접지브라켓(400)에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구멍(420)은 안전판(300) 및 접지단자(500)를 나사 등에 의해서 결합시키기 위해서 접지브라켓(400)에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브라켓(400)과 안전판(300) 및 접지단자(500)는 제2 체결구멍(420)으로 삽입되는 태핑나사(329)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지지편(430)은 접지브라켓(4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커버(6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지편(430)은 접지브라켓(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접지브라켓(400)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편(43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커버(600)의 일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편(430)이 커버(600)에 결합하면 접지브라켓(400)을 지지하게 되고, 접지브라켓(400)에 휨모멘트가 발생해도 지지편(430)이 접지브라켓(400)이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힘을 작용할 수 있다.
고정부(440)는 접지브라켓(400)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이 계단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등으로 벽면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접지단자(5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접지단자(500)는 u자 형상의 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형 콘센트(1)에 수용되는 플러그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단자(500)는 제3 체결구멍(5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3 체결구멍(510)을 통해서 안전판(300) 및 접지브라켓(400)과 태핑나사(329)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커버(6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커버(600)는 베이스(100)와 결합하여 내부에 가로형 콘센트(1)를 구성하는 부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플러그가 꽂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600)는 베이스(100)와 결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에 플러그홈(610)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00)와 대향하는 하면에 커버격벽(620) 및 제2 체결보스(64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홈(610)은 커버(6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챔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로형 콘센트(1)로 수용되는 플러그를 안내하기 위한 플러그가이드(612), 플러그가 관통할 수 있는 제4 단자구멍(614), 접지단자(50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노출구멍(6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홈(610)의 하면에는 보강리브(650)가 형성되어, 삽입부(610)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커버격벽(620)은 플러그홈(610)의 하면에 폐회로로 형성되는 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622)을 구비할 수 있고 내측에는 커버수용부(624)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622)은 전술한 벽면(110)의 결합턱(118)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걸림턱(622)은 커버격벽(620)으로부터 돌출되며 커버(600)의 중심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622)은 커버격벽(620)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고, 커버(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턱(118)과 걸림턱(622)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단턱으로 구성되면, 걸림턱(622)은 결합턱(118)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수용부(624)는 폐회로를 형성하는 커버격벽(620)의 내측 공간으로서, 플러그를 수용하는 제4 단자구멍(614)을 개폐할 수 있는 종래의 개폐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보스(64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1 체결보스(130)와 나사 등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체결보스(640)는 커버수용부(624)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보스(640)에는 지지편(430)이 체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1 체결보스(130)가 지지편(430)이 체결된 제2 체결보스(640)와 나사 등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고, 접지브라켓(400)은 지지편(430)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가로형 콘센트(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 베이스 110 : 벽면
120 : 격벽 130 : 제1 체결보스
200 : 전원단자 300 : 안전판
310 : 가이드돌기 320 : 제2 결합홈
330 : 제2 결합돌기 340 : 접속돌기
400 : 접지브라켓 430 : 지지편
500 : 접지단자 600 : 커버
610 : 플러그홈 620 : 커버격벽
640 : 제2 체결보스
120 : 격벽 130 : 제1 체결보스
200 : 전원단자 300 : 안전판
310 : 가이드돌기 320 : 제2 결합홈
330 : 제2 결합돌기 340 : 접속돌기
400 : 접지브라켓 430 : 지지편
500 : 접지단자 600 : 커버
610 : 플러그홈 620 : 커버격벽
640 : 제2 체결보스
Claims (7)
- 벽면(110)을 포함하는 베이스(100);
접지단자(500)가 결합되는 접지브라켓(400);
상기 접지브라켓(400)을 수용하는 안전판(300); 및
상기 베이스(100)를 덮는 커버(600)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브라켓(400)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양측면에서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편(430)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600)는 그 내면의 상기 지지편(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체결보스(640)를 구비하여,
조립 시 상기 체결보스(640)가 상기 지지편(4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지브라켓(400)의 휨강성을 향상시키는, 가로형 콘센트(1).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0)는 하면에 커버격벽(620)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격벽(620)의 일면에는 경사지게 돌출되는 걸림턱(622)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벽면(110)은 경사지게 돌출되는 결합턱(118)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622)이 상기 결합턱(118)에 걸려서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커버(600)를 결합시키는, 가로형 콘센트(1).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622)은 상기 커버(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턱(118)은 상기 걸림턱(622)이 걸리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가로형 콘센트(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110)은, 상기 벽면(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116)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판(300)은 상기 제1 결합돌기(116)가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제2 결합홈(320)을 구비하는, 가로형 콘센트(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110)은 제1 결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판(300)은 상기 제1 결합홈(114)에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제2 결합돌기(330)를 구비하는, 가로형 콘센트(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500)는 태핑나사에 의해서 상기 접지브라켓(400)에 결합되는, 가로형 콘센트(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930U KR200494151Y1 (ko) | 2020-03-18 | 2020-03-18 | 가로형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930U KR200494151Y1 (ko) | 2020-03-18 | 2020-03-18 | 가로형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4151Y1 true KR200494151Y1 (ko) | 2021-08-13 |
Family
ID=7731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0930U KR200494151Y1 (ko) | 2020-03-18 | 2020-03-18 | 가로형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415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7841B1 (ko) * | 2023-08-04 | 2024-03-15 | 신종현 |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692Y1 (ko) * | 2003-02-28 | 2003-05-22 | 곽창용 |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
KR101160568B1 (ko) * | 2011-09-07 | 2012-06-28 | 주식회사 위너스 |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
KR101596009B1 (ko) | 2014-09-22 | 2016-02-19 | (주)두남 | 조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콘센트 |
KR101916327B1 (ko) * | 2018-06-07 | 2018-11-09 | (주)대성 |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
-
2020
- 2020-03-18 KR KR2020200000930U patent/KR20049415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692Y1 (ko) * | 2003-02-28 | 2003-05-22 | 곽창용 |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
KR101160568B1 (ko) * | 2011-09-07 | 2012-06-28 | 주식회사 위너스 |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
KR101596009B1 (ko) | 2014-09-22 | 2016-02-19 | (주)두남 | 조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콘센트 |
KR101916327B1 (ko) * | 2018-06-07 | 2018-11-09 | (주)대성 |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7841B1 (ko) * | 2023-08-04 | 2024-03-15 | 신종현 |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24179B2 (ja) | ばね力接続装置 | |
KR100910100B1 (ko) |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 |
JP5305207B2 (ja) | 接続アダプタと接続端子及び接続アダプタとこれに対する接続素子とから成るセット | |
US20050116805A1 (en) | Fusible link and battery fuse unit containing the fusible link | |
KR101160568B1 (ko) |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 |
JP2016174504A (ja) | 電気接続箱 | |
US5573432A (en) | Press-connecting connector | |
KR200494151Y1 (ko) | 가로형 콘센트 | |
KR101179851B1 (ko) | 전기배선박스 | |
JP5882128B2 (ja) | 電線接続構造 | |
US6702623B2 (en) | Connector | |
KR20090044365A (ko) | 커넥터 | |
US6781503B1 (en) | Fuse assembly for differently structured fuses | |
KR100759123B1 (ko) |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 |
US20050116807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102059929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 |
US20240128698A1 (en) | Adapter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electrical connector kit | |
KR200445633Y1 (ko) | 커넥터용 스페이서 | |
KR20180055954A (ko) | 커넥터 | |
KR102519137B1 (ko) | 모듈 커넥터 어셈블리 | |
AU677737B2 (en) | Multisocket module for socket outlets | |
KR100549788B1 (ko) |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 |
KR200494150Y1 (ko) | 콘센트 | |
JPH03164017A (ja) | 分岐接続箱 | |
CN214505796U (zh) | 适配连接器组件、电连接器插头及电连接器套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