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135Y1 -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135Y1
KR200294135Y1 KR2020020024070U KR20020024070U KR200294135Y1 KR 200294135 Y1 KR200294135 Y1 KR 200294135Y1 KR 2020020024070 U KR2020020024070 U KR 2020020024070U KR 20020024070 U KR20020024070 U KR 20020024070U KR 200294135 Y1 KR200294135 Y1 KR 200294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x body
wire pipe
box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홍
Original Assignee
김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홍 filed Critical 김지홍
Priority to KR2020020024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135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옥내배선에 연결된 전선파이프(10)가 결합되는 가이드구멍(120)이 상,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파이프(10)에서 인출된 전선(11)들을 수용하는 수용홈(110)이 형성되며, 일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박스몸체(100)와, 상기 전선파이프(10)에서 인출된 전선(11)들에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체결된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200)와, 상기 콘센트(200)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하는 접속구멍(310)이 형성되어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300)와, 상기 박스몸체(100)에 형성된 수용홈(110)에는 가이드구멍(120)에 결합된 전선파이프(10)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격벽(130)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콘센트(2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박스몸체(100)에 결합되는 전선파이프(10)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수용홈(110)에 형성된 격벽(130)을 통하여 차단하므로써, 이러한 전류 및 전파의 간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가전제품을 상기 콘센트(200)에 안심하고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간 매설에 따른 박스몸체(100)의 변형을 격벽의 지지를 통하여 방지하므로써, 콘센트 박스(1)의 고장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 박스{A Concent Box}
본 고안은 전기, 전화, 안테나 등의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가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콘센트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전류 및 전파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실내의 각종 플러그가 접속되는 기구로, 사용목적에 따라 전기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등으로 구분되게 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사용기구, 방의 넓이, 설치장소 등 그 용도에 따라서 벽체 또는 바닥에 노출형 및 매설형으로 구분되게 설치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은 매설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매설형 콘센트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벽체에 전원박스를 매설한 후 콘센트를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박스몸체를 가전제품과 인접한 위치에 매설한 후 용도에 맞는 콘센트를 상기 박스몸체에 고정 설치하는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콘센트를 각각 별도로 구분하여 벽체에 설치할 경우 플러그의 용도에 맞는 콘센트를 인접한 위치에 설치할 수는 있으나, 시공에 따른 인건비 및 자재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최근에는 전기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등이 하나의 전원박스에 내장된 콘센트 박스 등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콘센트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시공 상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다양한 플러그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어 미감상승의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센트 박스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각각의 콘센트들을 하나의 박스몸체에 내장시킨 후 이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다양한 플러그의 통합관리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콘센트들이 단순히 하나의 박스몸체에 내장되어 사용되어질 경우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류 및 전파의 차이에 의하여 정전 등 기타 여러 가지 유도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기콘센트에서 사용되는 전선은 강전류 전선이고, 전화콘센트에서 사용되는 전선은 약전류 전선으로, 이러한 전기콘센트와 전화콘센트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경우 전기콘센트의 강전류에 의해 전화콘센트의 약전류 전선이 영향을 받아 오작동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각종 콘센트가 내장되는 박스몸체는 벽체에 매설되어 사용되게 되는 데, 매설 후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벽체의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한번 변형이 발생된 박스몸체는 고장에 따른 수리 및 보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차단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에도 박스몸체가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몸체에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격벽을 형성하여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있도록 한 콘센트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매설에 따른 박스몸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고장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콘센트 박스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다수의 전기콘센트가 설치된 콘센트 박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박스몸체와 전선파이프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선파이프 11 - 전선
100 - 박스몸체 110 - 수용홈
120 - 가이드구멍 130 - 격벽
200 - 콘센트 300 - 커버부재
310 - 접속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옥내배선에 연결된 전선파이프가 결합되는 가이드구멍이 상,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파이프에서 인출된 전선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일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박스몸체와;
상기 전선파이프에서 인출된 전선들에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박스몸체의 전면에 체결된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하는 접속구멍이 형성되어 박스몸체의 전면에 체결된 커버부재와,
상기 박스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는 가이드구멍에 결합된 전선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격벽이 구비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선이 갖는 전류 및 전파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정전 등 기타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 의한 박스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에 따른 보수 및 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콘센트 박스의 형상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와 커버부재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박스몸체의 내부에 전선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를 차단하는 격벽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다수의 전기콘센트가 설치된 콘센트 박스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일측에 다수의 전기콘센트가 설치된 콘센트 박스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박스몸체와 전선파이프 간의 연결상태를 일부 절결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박스몸체의 상, 하부에 연결된 전선파이프의 결합상태 및 콘센트에 연결되기 위한 전선의 인출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각종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콘센트 박스(1)에 설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200)가 전류 및 전파의 차이에서 오는 유도 장애에 의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몸체(100)와, 옥내배선에 연결된 전선파이프(10)와 연계되는 콘센트(200)와, 상기박스몸체(100)의 전면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0)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옥내배선에 연결된 전선파이프(10)가 결합되는 가이드구멍(120)이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파이프(10)에서 인출된 전선(11)들을 수용하는 수용홈(110)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일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구멍(120)에는 전선파이프(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이프연결구(121)가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110)에는 상기 전선파이프(10)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격벽(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30)은 수용홈(110)의 내부에 박스몸체(10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격벽(130)이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별도의 커버틀(140)을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130)이 내부에 형성된 박스몸체(100)의 전면에는 가이드구멍(120)에 결합된 전선파이프(10)에서 인출되는 전선(11)들에 연계되어 작동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200)들이 체결되며, 이러한 콘센트(200)로는 전기콘센트(210), 안테나콘센트(220), 전화콘센트(230) 등이 있다.
여기서, 이러한 콘센트(200)와 박스몸체(100)의 결합은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다수의 조립부(150)를 형성하고, 콘센트(200)에는 비스, 나사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203)가 통과하는 고정구멍(202)을 형성하여 상호 체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200) 중 빈번하게 사용되는 콘센트(200)는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다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콘센트(200)와 콘센트(200)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콘센트(200)가 체결된 박스몸체(100)의 전면에는 콘센트(200)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 및 전화모듈 등의 접속단자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접속구멍(310)이 형성된 커버부재(300)가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부재(300)와 박스몸체(100)의 결합은 좌, 우측에 체결되는 콘센트(200)의 전면에 후크홈(201)을 형성하고, 이 후크홈(201)과 동일한 위치의 커버부재(300) 배면에는 후크돌기(320)를 형성한 후 이 후크돌기(320)를 후크홈(201)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커버부재(300)의 외측에서 수개의 비스를 박스몸체(100)로 향해 나사 체결하는 방법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00)에 형성되는 접속구멍(310)은 각각의 전기콘센트(210), 안테나콘센트(220), 전화콘센트(230)에 구비된 접속부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콘센트 박스(1)를 순차적으로 조립한 후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벽체에 매설하게 되면, 박스몸체(100)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130)을 통하여 지지받게 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벽체의 지속적인 하중에도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체결된 콘센트(200)와 연결되기 위하여 박스몸체(100)에 결합된 전선파이프(10)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 역시,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130)에 의해 차단 되게 되어 이러한 전류 및 전파의 차이에서 오는 유도 장애에 의한 콘센트(200)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플러그 및 전화모듈의 접속단자를 콘센트 박스(1)에 안심하고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박스몸체에 설치된 각종 콘센트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결합되는 전선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수용홈에 형성된 격벽을 통하여 차단하므로써, 이러한 전류 및 전파의 간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콘센트에 접속시켜 사용하는 가전제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간 매설에 따른 박스몸체의 변형을 격벽을 통하여 방지하므로써, 콘센트 박스의 고장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옥내배선에 연결된 전선파이프(10)가 결합되는 가이드구멍(120)이 상,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파이프(10)에서 인출된 전선(11)들을 수용하는 수용홈(110)이 형성되며, 일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박스몸체(100)와;
    상기 전선파이프(10)에서 인출된 전선(11)들에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체결된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200)와;
    상기 콘센트(200)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하는 접속구멍(310)이 형성되어 박스몸체(100)의 전면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300)와,
    상기 박스몸체(100)에 형성된 수용홈(110)에는 가이드구멍(120)에 결합된 전선파이프(10)에서 발생되는 전류 및 전파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격벽(130)이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에는 격벽(130)이 구비된 커버틀(140)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KR2020020024070U 2002-08-12 2002-08-12 콘센트 박스 KR200294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070U KR200294135Y1 (ko) 2002-08-12 2002-08-12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070U KR200294135Y1 (ko) 2002-08-12 2002-08-12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135Y1 true KR200294135Y1 (ko) 2002-11-04

Family

ID=7312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070U KR200294135Y1 (ko) 2002-08-12 2002-08-12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1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3611B (zh) 带有至少两个接线盒的外壳构造
US7554033B1 (en) Environmentally Protected Wiring Device
US6169340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uxiliary power
JP5337565B2 (ja) アース線中継端子台及びこれを内部に備えた分電盤
EP0723101B1 (en) Splashproof enclosure for electronic faucet
WO2003100316A2 (en) In-grade light fixture housing and hydrological barrier plate for use therein
CN208015158U (zh) 一体化配电箱
PL83637B1 (ko)
KR200294135Y1 (ko) 콘센트 박스
KR101784248B1 (ko) 다세대 주택의 벽체 내설용 아웃렛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US7402061B1 (en) Structure of energy-efficient lamp base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KR10096807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배전 박스 구조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JP2021090353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748281B1 (ko) 시공의 편의성이 강화된 분전반
KR200287656Y1 (ko) 단자대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200370914Y1 (ko) 비상 콘센트
CN210621862U (zh) 高安全的一体式智能马桶
KR20070012078A (ko) 천정배선 분기구
KR102647841B1 (ko)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CN107221900B (zh) 布线器具、以及用于布线器具的罩部件
KR10217473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