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656Y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656Y1
KR200287656Y1 KR2020020018019U KR20020018019U KR200287656Y1 KR 200287656 Y1 KR200287656 Y1 KR 200287656Y1 KR 2020020018019 U KR2020020018019 U KR 2020020018019U KR 20020018019 U KR20020018019 U KR 20020018019U KR 200287656 Y1 KR200287656 Y1 KR 200287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terminal block
side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계기
Priority to KR2020020018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656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함에 설치되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외부에서 배전함으로 인입된 전원을 각 세대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의 분기 및 분기가 이루어지는 부위를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며 분기된 전선의 보호 및 고정작업이 이루어 지도록하기 위하여 본체 및 상하측 커버에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의 외부를 압박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공간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사하측 내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차폐벽을 중앙에 돌출시켜 내부 공간이 양측으로 나눠지도록 하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차폐벽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공간을 나눠주는 차폐벽이 소정 길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분에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차단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본체의 상하측으로 결합되는 커버에 의하여 전선이 분기되는 내부의 공간이 분리됨과 동시에 외부와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대{A terminal plate}
본 고안은 배전함에 설치되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외부에서 배전함으로 인입된 전원을 각 세대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의 분기 및 분기가 이루어지는 부위를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며 분기된 전선의 보호 및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에서 인입된 전원은 배전함에서 분기시킨 후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를 통하여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의 분기는 단자대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서 전선의 분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단자대는 배전함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전선의 분기되는 부위의 보호와 고정이 이루어지록 하였다.
한편, 상기 단자대는 배전함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그 내부로 전원의 공급 및 분기를 위한 전선이 인입된 후 그 내부에서 분기된 후 각 세대로 공급되는 것으로 단자대의 내부에서 전선의 피복이 제거된 후 분기되는 전선이 연결됨으로서 전선의 피복이 제거된 부위의 보호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단자대는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선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여 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합선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단자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선의 분기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단자대의 전 후 방으로 전선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며 전선의 보호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단자대(100)는 본체(110)의 상하측으로 덮개(112)(114)가 결합되며 그 내부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분기되는 전선이 위치되도록 하며 단자대(100) 전후방의 절개부에 결합된 압박부재(120)를 통하여 상기 단자대(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W)의 외부를 압박하여 전선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100)의 하측커버(114)의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16)에 고정나사를 배전함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단자대는 그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선의 규격에 따라 직경이 각각 다른 별도의 압박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작업중에 교체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제기되었으며 작업공수의 증가와 부품수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단자대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규격에 적절한 압박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전선의 고정이 불가능하여 전선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선의 유동에 따른 합선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가 외부에 돌출되어 단자대 전체의 규격이 증대되는 요인으로 제기 되었으며 이에 따라 배전함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대로 인입되는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단자대를 구성하는 본체 및 덮개의 고정과 동시에 전선의 고정과 동시에 전선의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자대의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작업공수 및 원가의 절감효과 있도록한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및 상 하측 커버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 하측 커버에는 그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의 외부를 압박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공간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차폐벽과 차단벽을 중앙에 각각 돌출시켜 내부 공간이 양측으로 나눠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 테두리부분을 계단 형태로 연장한 보조차단벽을 형성하며, 상기 상측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공간을 나눠주는 차단벽이 소정 길이로 돌출 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커버의 테두리부분에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보조차단벽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측커버에는 본체의 차단벽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차폐벽을 내부 중앙에 형성하고 내부 양측에는 배전함에고정나사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형성하여 하측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며 전선이 분기되는 내부의 공간이 양측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외부와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자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대 20 : 본체
22 : 공간부 24 : 차폐벽
26 : 삽입홈 28 : 보조차단벽
30 : 상측커버 32 : 공간부
34 : 보조차단벽 35 : 차단벽
40 : 하측커버 42 : 공간부
44 : 차폐벽 45 : 삽입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인 배전함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및 상 하측 커버(30)(40)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10)에 있어서, 상기 본체(20) 및 상 하측 커버(30)(40)에는 그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W)의 외부를 압박하기 위한 소청 형상의 공간부(22)(32)(40)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본체(20)의 상측과 하측에는 삽입홈(25)이 형성된 차폐벽(24)과 차단벽(26)을 중앙에 각각 돌출시켜 내부 공간이 양측으로 나눠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20)의 하측 테두리부분을 계단 형태로 연장한 보조차단벽(28)을 형성하며, 상기 상측커버(3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20)의 삽입홈(25)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공간을 나눠주는 차단벽(35)이 소정 길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커버(30)의 테두리부분에 본체(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보조차단벽(34)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측커버(40)에는 본체(20)의 차단벽(26)이 삽입되는 삽입홈(45)이 형성된 차폐벽(44)을 내부 중앙에 형성하고 내부 양측에는 배전함(B)에 고정나사(48)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구멍(46)을 형성하여 하측커버(40)가 고정되도록 하며 전선(W)이 분기되는 내부의 공간이 양측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외부와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공간부(22)(32)(42)는 본체(20)와 상 하측 커버(30)(40)의 소정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은 직경이 큰 반원으로 되며 그 양측으로 상기 중앙보다 작은 장홈을 형성하여 전선(W)의 외경에 따라 선택하여 압박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커버(40)에는 상측커버(30) 및 본체(20)의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공(47)이 형성되며, 본체(20)에는 상기 하측커버(4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7) 및 상측커버(30)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50)이 각각 형성되며,상측커버(30)에는 체결나사(52)가 본체(20)의 관통공(50)으로 관통 삽입되어 하측커버(40)의 체결공(47)에 체결되도록 한 고정구멍(54)을 각각 형성 한 것이다.
이때, 미 설명 부호인(29)는 본체(20)를 하측커버(40)에 고정하는 결합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0)의 상 하측으로 결합되는 상측커버(30) 및 하측커버(40)는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관통공(50)으로 삽입되는 체결나사(52)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상측커버(30) 및 본체(20)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된 보조차단벽(34)(28)이 본체(20)상측의 테두리부분과 하측커버(40) 상측의 테두리부분의 내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단자대(10)의 내부와 외부의 차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20)의 차폐벽(24)에 형성된 삽입홈(25)에는 상측커버(30)에 돌출된 차단벽(35)이 삽입되어 본체(20)의 상측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양측으로 분리되며, 상기 본체(20)의 하측으로 돌출된 차단벽(26)은 하측커버(40)의 내측에 형성된 차폐벽(44)의 삽입홈(45)으로 삽입되어 본체(20)의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전선(W)의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선(W)은 상기 본체(20) 및 상 하측커버(30)(40)의 공간부(22)(32)(42)를 통하여 단자대(10)의 내부로 인입되며 그 내부에서 분기된 전선(W)이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20) 및 상 하측커버(30)(40)의 각 공간부(22)(32)(42)에 의하여 전선(W)의 외부가 압박되어 본체(20) 및 상하측커버(30)(40)의 결합과 동시에 전선(W)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0) 및 상 하측커버(30)(40)의 차단벽(26)(34)과 보조차단벽(28)(34)은 각 공간부(22)(32)(42)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W)이 직경이 중간부(22)(32)(42)보다 큰 경우에 본체(20)와 상 하측커버(30)(40)에 발생되는 틈새를 막아주게 되어 단자대(10)의 내부와 외부가 차단이 유지될 수 있어 단자대(10)의 차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공간부(22)(32)(42)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W)의 직경이 공간부(22)(32)(42)보다 클 경우 본체(20) 및 상 하측커버(30)(40)가 틈새가 벌어진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상측커버(30) 및 본체(20)의 보조차단벽(34)(28)이 단자대(10) 외측의 틈새를 차단하게되며 이와 동시에 단자대(10) 내부공간은 차폐벽(24)(44)에 끼워진 차단벽(26)(35)에 의하여 차폐기능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단자대(10)의 설치하려면 먼저, 하측커버(40)를 배전함(B)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하측커버(40) 내측에 위치한 고정구멍(46)에 고정나사(48)를 삽입시켜 배전함(B)에 체결하면 하측커버(4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기를 위한 전선(W)을 하측커버(40)의 공간부(42)에 위치시킨 후 본체(20)를 덮어주며 상기 본체(20)의 결합공(27)을 통하여 결합나사(29)를 하측커버(40)의 해당되는 체결공(47)에 체결하면 본체(20)와 하측커버(4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측 공간부(22)로 전선(W)을 위치시킨 후상측커버(30)를 위치시킨 후 체결나사(52)를 상측커버(30)의 외부에서 고정구멍(54)으로 삽입시켜 본체(20)의 관통공(50)을 통하여 하측커버(40)의 해당 체결공(47)에 체결시키면 단자대(10)의 설치 및 분기되는 전선(W)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대(10)를 구성하는 본체(20)를 제거한 후 상측커버(30)와 하측커버(40)를 결합하여도 상측커버(30)의 보조차단벽(34)은 하측커버(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부와의 차폐가 이루어지며 내부에 돌출된 차단벽(35)이 하측커버(40)의 차폐벽(44)에 마련된 삽입홈(45)에 삽입되어 내부의 공간이 분리되며 소형의 단자대(10)를 필요로 할 때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단자대(10)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자대를 제공하면 단자대로 인입되는 전선의 직경에 상관없이 단자대를 구성하는 본체 및 덮개의 고정과 동시에 전선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공수의 절감에 따라 단자대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선의 직경에 따라 전선을 압박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치않아 단자대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반비용의 절감효과까지 가져오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대를 배전함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자대의 내부에서 이루어져 단자대의 외관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자대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며 배전함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본체(20) 및 상 하측 커버(30)(40)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10)에 있어서,
    상기 본체(20) 및 상 하측 커버(30)(40)에는 그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W)의 외부를 압박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공간부(22)(32)(40)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본체(20)의 상측과 하측에는 삽입홈(25)이 형성된 차폐벽(24)과 차단벽(26)을 중앙에 각각 돌출시켜 내부 공간이 양측으로 나눠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20)의 하측 테두리부분을 계단 형태로 연장한 보조차단벽(28)을 형성하며,
    상기 상측커버(3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20)의 삽입홈(25)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공간을 나눠주는 차단벽(35)이 소정 길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커버(30)의 테두리부분에 본체(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보조차단벽(34)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측커버(40)에는 본체(20)의 차단벽(26)이 삽입되는 삽입홈(45)이 형성된 차폐벽(44)을 내부 중앙에 형성하고 내부 양측에는 배전함(B)에 고정나사(48)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구멍(46)을 형성하여 하측커버(40)가 고정되도록 하며 전선(W)이 분기되는 내부의 공간이 양측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외부와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공간부(22)(32)(42)는 본체(20)와 상 하측 커버(30)(40)의 소정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은 직경이 큰 반원으로 되며 그 양측으로 상기 중앙보다 작은 장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대.
  3. 제1항에 있어서,
    하측커버(40)에는 상측커버(30) 및 본체(20)의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공(47)이 형성되며, 본체(20)에는 상기 하측커버(4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7) 및 상측커버(30)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50)이 각각 형성되며, 상측커버(30)에는 체결나사(52)가 본체(20)의 관통공(50)으로 관통 삽입되어 하측커버(40)의 체결공(47)에 체결되도록 한 고정구멍(54)을 각각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2020020018019U 2002-06-12 2002-06-12 단자대 KR200287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19U KR200287656Y1 (ko) 2002-06-12 2002-06-12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19U KR200287656Y1 (ko) 2002-06-12 2002-06-12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656Y1 true KR200287656Y1 (ko) 2002-08-30

Family

ID=7307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019U KR200287656Y1 (ko) 2002-06-12 2002-06-12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6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58Y1 (ko) * 2007-12-13 2010-02-11 (주)세진상아 단자대
KR2021008733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KR102278635B1 (ko) * 2020-07-16 2021-07-15 이은길 단자함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58Y1 (ko) * 2007-12-13 2010-02-11 (주)세진상아 단자대
KR2021008733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KR102338383B1 (ko) * 2020-01-02 2021-12-10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KR102278635B1 (ko) * 2020-07-16 2021-07-15 이은길 단자함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1855C (en) Circuit breaker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200287656Y1 (ko) 단자대
US9692213B2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JPH02123908A (ja) 配線アセンブリ
JP6529704B1 (ja) スイッチギヤ
KR20210001355U (ko) 전기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구조
US6392514B1 (en) Terminal unit for multipolar switch
KR20170123143A (ko) 커넥터 조립체
KR200284459Y1 (ko) 통합 분전함
JP2009087975A (ja) コンデンサ接続具及びコンデンサユニット
JP2000021548A (ja) 避雷器および分電盤
KR100467059B1 (ko) 상가용 분전반
KR20180003568U (ko) 분전반 측면에 콘센트의 부착장치
KR200276991Y1 (ko) 분전반의 도어 결합구조
KR200383042Y1 (ko) 분전반용 콘센트
KR102061945B1 (ko)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전기통신함 깊이조절 문틀연결장치
KR102397689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KR200302987Y1 (ko) 상가용 분전반
JPH1171066A (ja) エレベーター用操作盤
KR200224243Y1 (ko) 누전차단기의결합장치
KR20170000869U (ko) 배전반케이스용 빗물유도기구
KR20210002256U (ko) 분전반
US20080006428A1 (en) Side-by-side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