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635B1 - 단자함 구조체 - Google Patents

단자함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635B1
KR102278635B1 KR1020200088179A KR20200088179A KR102278635B1 KR 102278635 B1 KR102278635 B1 KR 102278635B1 KR 1020200088179 A KR1020200088179 A KR 1020200088179A KR 20200088179 A KR20200088179 A KR 20200088179A KR 102278635 B1 KR102278635 B1 KR 10227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connection
terminal box
entrance
box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길
Original Assignee
이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길 filed Critical 이은길
Priority to KR102020008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측면 일 영역에는 전선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는 바닥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의 바닥면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 본체; 및 박스 본체의 하면에서 관통홀을 통해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되, 끼움 결합되는 영역이 톱니 형상으로 절삭 가공된 결선핀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선핀이 박스 본체에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입하도록 하는 결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함 구조체{TERMINAL BOX ASSEMBLY}
본 발명은 단자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결선 핀이 구비되어, 결선 핀이 박스 본체로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입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피복을 벗겨 내는 등의 행위 없이 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와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연결 및 분기는, 전선을 보호하고 있는 피복을 벗겨 낸 뒤, 노출된 전선과 준비된 전선을 꼬아 단단히 연결시키고, 연결된 부분을 절연 테이프 등으로 감싸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방식에 기반한 전선의 분기는, 전선을 작업자가 직접 만지는 행위가 수반됨에 따라 작업자가 항상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 및,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작업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절연 테이프로 감싼 부분이 훼손되면서 누수 등에 의한 누전이 우려되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문제 또한 존재하였다.
한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0853687호(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에서는 전선의 분기를 위한 접속 부분을 완전히 밀폐하면서 접속 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분기 슬리브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전선의 분기 작업 이후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을 뿐으로, 선행기술의 분기 슬리브 구성은, 전선 인출 및 연결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아 전선의 분기 작업 수행 시점에 대한 안전 사고 방지에는 대처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등의 행위 없이 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누전 사고를 방지하고,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측면 일 영역에는 전선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는 바닥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의 바닥면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 본체; 및 박스 본체의 하면에서 관통홀을 통해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되, 끼움 결합되는 영역이 톱니 형상으로 절삭 가공된 결선핀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선핀이 박스 본체에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입하도록 하는 결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출입구는, 간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출입구 및, 제1 출입구의 형성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분기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2 출입구가, 반구형의 홈으로, 박스 본체의 양 측면 상에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되, 제1 출입구는 제2 출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하는 반구형 홈으로 구비되며, 제1 출입구는, 제2 출입구보다 내측 측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2 출입구의 내측면에는, 둘 이상으로 인입된 분기선의 출입을 구분하여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리어(Barrie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관통홀은,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를 통한 전선의 인입 경로 상에 위치하되, 제1 출입구부터 상기 제2 출입구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슬릿형 관통홀로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결선 유닛은,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결선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되,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결선핀의 높이를, 제2 출입구에 대응되는 결선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결선 유닛은, 결선핀이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양측 단부로 구비된 결선핀이 전도성 소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결선 유닛은, 비전도성 소재로 구비되는 박스형 연결 부재에, 둘 이상의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을 관통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시킨 모듈형 결선 유닛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결선핀은, 알루미늄, 구리 및 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단자함 구조체는, 박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대별 분기를 구분하도록 하는 세대 분기 커버; 및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단자함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의 내부면에는, 커버링 되는 박스 본체의 내부면을 향하여, 톱니 형상으로 절삭 가공된 서브 결선핀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의 상면에는, 바닥면 측을 향해 기 설정된 깊이로 인입된 요홈이 형성되고, 요홈에는, 단자함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박스 본체 및 상기 세대 분기 커버에는, 상호 마주보는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구비되도록 하여, 체결홀에 볼트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박스 본체 및 세대 분기 커버를 체결하되, 볼트 부재의 머리부가 박스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하는형태의 체결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박스 본체의 후면 및, 박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면에는, 박스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쇼트 방지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단자함 구조체는, 박스 본체의 상면 중, 슬릿형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둘 이상의 결선 유닛들이 이루는 간극에 설치되는 기 설정된 두께의 연결바;가 더 포함되어, 연결바에 의해 분기선의 전기적 연결이 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등의 행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신속한 작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결선 유닛에 구비된 결선핀에 전선을 놓는 행위만으로 전선 간의 결선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감전 사고로부터 안전하고, 숙련도에 무관하게 전선의 연결 및 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박스 본체에서 결선 유닛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결선 유닛의 결선핀이 노후되거나,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노후 및 손상된 결선 유닛을 선택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본체의 형상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선 유닛의 형상 구조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선 유닛이 박스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박스 본체로 인입된 전선들의 분기가 수행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박스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들의 형상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단자함 구조체에 관련된 것으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등의 행위 없이 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으며, 전선의 누전 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단자함 구조체는, 바람직하게 박스 본체 및 결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박스 본체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이 마련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 일 영역에는 전선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바닥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4)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격벽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의 바닥면 일 영역에는 하나이상의 슬릿형 관통홀이 박스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박스 본체의 형상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박스 본체의 형상 구조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스 본체(10)에는 반구형 홈의 형상으로 박스본체의 양 측면 상에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전선의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박스 본체(10)에 형성되는 출입구로서, 간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출입구(11a)와 분기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2 출입구(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출입구(11a) 및 상술한 제2 출입구(11b)는, 상호 인접한 위치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할 결선 유닛에 의한 분기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출입구(11a)와 제2 출입구(11b)는, 반구형 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출입구(11a)가 제2 출입구(11b)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하는 반구형 홈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간선과 분기선의 전선 굵기 차에 대응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간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출입구(11a)를,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분기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2 출입구(11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반구형 홈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단자함 내부로 인입된 전선들을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1 출입구(11a) 및 상술한 제2 출입구(11b)가 박스 본체(10)의 측면 상에 형성됨에 있어서, 분기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1 출입구(11a)를 제2 출입구(11b)보다 내측 측면상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출입구(11b)의 내측면에, 둘 이상으로 인입되는 분기선의 출입을 구분하여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베리어가 형성된 제2 출입구(11b)는, 수직 단면상으로 살펴보았을 때, 반구를 겹쳐놓은 것과 같이 굴곡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박스 본체(10)로 인입된 다수 개의 분기선에 대한 출입 안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의 박스 본체(10)의 바닥면을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바닥면 일 영역에 하나 이상의 슬릿형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슬릿형 관통홀(12)은 제1 출입구(11a) 및 제2 출입구(11b)를 통한 전선의 인입 경로 상에 위치하되, 제1 출입구(11a)부터 제2 출입구(11b)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슬릿형 관통홀(12)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렇게 구비된 관통홀(12)에는 후술할 결선 유닛의 결선핀이 끼움 결합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자함 구조체에 포함되는 결선 유닛 구성은, 박스 본체(10)(10)의 하면에서 도 1의 관통홀(12)을 통해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결선 유닛은, 관통홀(12)에 끼움 결합되는 영역이 톱니 형상으로 날카롭게 절삭 가공된 결선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결선핀은, 박스 본체(10)에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상술한 결선 유닛은, 제1 출입구(11a) 및 제2 출입구(11b)의 위치에 따라 결선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서, 제1 출입구(11a)에 대응되는 결선핀의 높이를 제2 출입구(11b)에 대응되는 결선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는 앞서 서로 다른 직경 크기로 구비되는 제1 출입구(11a) 및 제2 출입구(11b)를 출입 경로로 하여 인입되는 간선 또는 분기선의 피복이, 결선핀에 의해 효과적으로 관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결선 유닛(2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보면, 도 2에서는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20)이, 도 3에서는 모듈형 결선 유닛(20)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의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20)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결선 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일 플레이트의 양 측 단부에서 결선핀(21)을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양 측 단부에 구비되는 결선핀(2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결선핀(21b)와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결선핀(21a)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낮은 높이의 결선핀(21b)은 간선에 관입되는 결선핀(21)으로, 높은 높이의 결선핀(21a)는 분기선에 관입되는 결선핀(21)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결선핀(21)은 전도성 소재로 구비되어, 양 측 단부에 형성된 결선핀(21)들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상호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결선 유닛(20)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20)의 경우, 결선핀(21)이 형성되는 부분에 비하여, 플레이트 영역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 단차를 이룸으로써, 결선핀(21) 부분이 박스 본체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될 시, 박스 본체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결선핀(21)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결선 유닛(20)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결선 유닛(20)은, 비전도성 소재로 구비되는 박스형 연결 부재(200)에 둘 이상의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20)을 관통홀의 형성 이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시킨 모듈형 결선 유닛(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결선 유닛의 결선핀(21)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결선핀(21b)와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결선핀(21a)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낮은 높이의 결선핀(21b)은 간선에 관입되는 결선핀(21)으로, 높은 높이의 결선핀(21a)는 분기선에 관입되는 결선핀(21)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결선 유닛(20)을 상술한 모듈형 결선 유닛(20)으로서도 제공함에 따라서,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20)을 박스 본체의 관통홀로 하나씩 일일이 끼움 결합하는 수고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전선의 연결 작업에 대하여 더욱 향상된 작업 시간의 단축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결선 유닛(20)들에 형성되는 결선핀(21)은,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구리 및 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결선핀(21)의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소재의 결선핀(21)을 채택하여 결선핀(21)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앞서 도 2 및 3에서 살펴본 결선 유닛(20)에 의하여, 결선 유닛(20)의 결선핀(21)을 박스 본체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하였을 때, 박스 본체에 인입되는 간선과 분기선의 피복을 병기적으로 관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을 위해, 간선 및 분기선에 해당하는 전선들의 피복을 벗겨내어 전선 가닥들을 꼬아 단단히 고정시키는 등의 위험한 작업을 요구하지 않고도 전선의 연결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 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전선의 분기와 같은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 수행 시간의 단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에서는, 앞서 도 2 및 3에서 설명한 결선 유닛이 박스 본체(10)의 관통홀(12)에 결합되어 결선핀(21)이 박스 본체(10) 내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서는 박스 본체(10)로 인입된 전선(C1, C2)들의 분기가 수행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격벽의 형성 영역과 인접하고, 박스 본체의 내측 측면 상에서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해 있는 제1 출입구에 놓여진 전선은, 간선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제1 출입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출입구에 놓여진 전선은 분기선으로 이해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선 유닛은, 박스 본체(10)의 관통홀을 통해 끼워져, 결선핀(21)이 박스 본체(10)의 내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결선핀(21)이 박스 본체(10) 내부로 인입되는 간선(C1) 및 분기선(C2)을 포함하는 전선(C1, C2)의 피복을 관입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의 간선(C1)과 결선핀(21)에 대한 확대 단면도를 통해 전선의 피복 관입에 대한 예를 살펴볼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피복 없이도 전선(C1, C2)의 연결 및 분기 작업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박스 본체(10)에서 결선 유닛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결선 유닛의 결선핀(21)이 노후되거나,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노후 및 손상된 결선 유닛을 선택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단자함 구조체에 대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의 박스 본체는, 하나 이상의 커버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단자함 구조체에는, 상술한 박스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대별 분기를 구분하도록 하는 세대 분기 커버(100) 및, 박스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단자함 커버(10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100) 및 단자함 커버(1000)에는, 앞서 박스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의 출입구에 대응하는 형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언급한 세대 분기 커버(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100)의 내부면에는 커버링 되는 박스 본체(10)의 내부면을 향하여 톱니 형상으로 절삭 가공된 서브 결선핀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1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100)의 상면 일 영역을 바닥면 측을 향해 기 설정된 깊이로 인입된 요홈이 형성되게 하여, 형성된 요홈에 철재로 준비되는 보강 플레이트(11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보강 플레이트(110)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구리, 철, 은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보강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100)의 상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인입된 요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대 분기 커버(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110)를 제1 보강 플레이트(110)로 설치하고, 박스 본체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로서, 제2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2 보강 플레이트의 재질은 앞서 제1 보강 플레이트와 동일한 금속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박스 본체(10)의 하면과 맞닿는 제2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앞서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것과 유사한 형태의 엠보싱 역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세대 분기 커버(100)의 상면 및 박스 본체(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 보강 플레이트(110) 및 제2 보강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단자함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하여, 단자함 구조체의 내구성을 높이고, 이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세대 분기 커버(100)를 박스 본체(10)에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박스 본체(10) 및 세대 분기 커버(100)의 상호 마주보는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구비되도록 하고, 구비된 체결홀에 볼트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박스 본체(10) 및 세대 분기 커버(100)가 일체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볼트 부재의 머리부가 박스 본체(10)의 바닥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도 6과 같은 형태의 체결 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볼트 부재로서 머리부가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근각 볼트(131)를 채택하여 이용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해 볼트 부재가 회전하여 체결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대 분기 커버(100)와 박스 본체(10)에 형성된 결합홀에 근각 볼트(131)을 비롯한 볼트 부재를 삽입한 후에는, 볼트 부재의 나사부 끝단에 너트 부재(1310)을 결합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볼트 부재를 삽입하기 전에, 박스 본체(10)의 후면 및 박스 본체(10)의 내부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면에 고무 소재의 판형 부재를 쇼트 방지 부재(15)로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쇼트 방지 부재(15)에도, 볼트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홀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볼트 부재의 머리부, 단락 방지부재(15), 박스본체(10), 쇼트 방지 부재(15), 전선, 세대 분기 커버(100), 너트 부재(1310), 단자함 커버(1000) 순의 결합 순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앞서 박스 본체(10)의 하면에 노출된 볼트 부재의 머리를 커버링 하는 형태의 쇼트 방지 부재(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7의 단자함 구조체의 분해도 및 도 8의 단자함 구조체의 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함 구조체의 외면 중, 설치면과 맞닿는 박스 본체(10) 하면 일 영역에 제2 쇼트 방지 부재(151)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전기 쇼트 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의 제공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박스 본체(10)의 양 단부 및 단자함 커버(1000)의 양 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한 쌍의 결합홀(101, 10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는, 박스 본체(10)와 단자함 커버(1000)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홀(101, 1001)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술한 결합홀(101, 1001)에도 역시 세대 분기 커버(100)와 박스 본체(10)를 체결시키는데 이용된 근각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박스 본체의 상면 중, 슬릿형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둘 이상의 결선 유닛들이 이루는 간극에 설치되는 기 설정된 두께의 연결바(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연결바(16)는, 슬릿형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어 돌출되는 결선핀(21)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박스 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결선핀(21)의 높이가 5cm라면, 연결바(16)의 두께는 5cm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연결바는, 분기선에 해당하는 메인 전기선에서 세대 분기가 수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전선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분기선을 구성하는 전선의 가닥 수가 50개이고, 여러 번의 분기가 수행됨에 따라 분기 가능한 전선의 닥 수가 35개로 줄어드는 경우, 연결바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분기선과 결선핀의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상술한 연결바가 설치될 경우, 분기선과 결선핀의 접속이 원활해져 분기선과 결선핀의 접속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단자함 구조체의 단면도를 살펴보면 도 8에서는, 앞서 세대 분기 커버(100)에 형성된 서브 결선핀(210)의 형상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서브 결선핀(210)이 구비됨에 따라, 박스 본체(10) 내부로 전선이 인입되었을 때, 전선을 관입하는 결선핀의 범위가 확대되어, 전선의 연결 및 분기 효율이 우수해지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종합하여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등의 행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신속한 작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결선 유닛에 구비된 결선핀에 전선을 놓는 행위만으로 전선 간의 결선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감전 사고로부터 안전하고, 숙련도에 무관하게 전선의 연결 및 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함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박스 본체에서 결선 유닛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결선 유닛의 결선핀이 노후되거나,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노후 및 손상된 결선 유닛을 선택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7의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인 단자함 구조체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단자함 구조체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측면 일 영역에는 전선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바닥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의 바닥면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하면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되, 끼움 결합되는 영역이 톱니 형상으로 절삭 가공된 결선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결선핀이 상기 박스 본체에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입하도록 하는 결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함 구조체는,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대별 분기를 구분하도록 하는 세대 분기 커버; 및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단자함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간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출입구 및, 상기 제1 출입구의 형성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분기선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2 출입구가, 반구형 홈으로, 상기 박스 본체의 양 측면 상에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출입구는 상기 제2 출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하는 반구형 홈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출입구는, 상기 제2 출입구보다 내측 측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입구의 내측면에는,
    둘 이상으로 인입된 분기선의 출입을 구분하여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리어(Barrie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출입구 및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한 전선의 인입 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출입구부터 상기 제2 출입구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슬릿형 관통홀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 유닛은,
    상기 제1 출입구 및 상기 제2 출입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결선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되,
    상기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결선핀의 높이를, 상기 제2 출입구에 대응되는 결선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 유닛은,
    상기 결선핀이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양측 단부로 구비된 결선핀이 전도성 소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 유닛은,
    비전도성 소재로 구비되는 박스형 연결 부재에, 둘 이상의 상기 플레이트형 결선 유닛을 상기 관통홀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시킨 모듈형 결선 유닛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8. 제6 및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핀은,
    알루미늄, 구리 및 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기 커버의 내부면에는,
    커버링 되는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면을 향하여, 톱니 형상으로 절삭 가공된 서브 결선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기 커버의 상면에는, 바닥면 측을 향해 기 설정된 깊이로 인입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상기 단자함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세대 분기 커버에는,
    상호 마주보는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홀에 볼트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세대 분기 커버를 체결하되,
    상기 볼트 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형태의 체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면에는, 상기 박스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쇼트 방지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구조체는,
    상기 박스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슬릿형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둘 이상의 결선 유닛들이 이루는 간극에 설치되는 기 설정된 두께의 연결바;가 더 포함되어, 상기 연결바에 의해 분기선의 전기적 연결이 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구조체.
KR1020200088179A 2020-07-16 2020-07-16 단자함 구조체 KR10227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179A KR102278635B1 (ko) 2020-07-16 2020-07-16 단자함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179A KR102278635B1 (ko) 2020-07-16 2020-07-16 단자함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635B1 true KR102278635B1 (ko) 2021-07-15

Family

ID=7689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179A KR102278635B1 (ko) 2020-07-16 2020-07-16 단자함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6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6Y1 (ko) * 2002-06-12 2002-08-30 주식회사 엘지계기 단자대
KR20180070984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한화 클램핑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1899875B1 (ko) * 2017-05-12 2018-09-27 삼원액트 주식회사 단자대
KR20200011547A (ko) * 2017-07-18 2020-02-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6Y1 (ko) * 2002-06-12 2002-08-30 주식회사 엘지계기 단자대
KR20180070984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한화 클램핑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1899875B1 (ko) * 2017-05-12 2018-09-27 삼원액트 주식회사 단자대
KR20200011547A (ko) * 2017-07-18 2020-02-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559B1 (ko)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102278635B1 (ko) 단자함 구조체
ES2311630T3 (es) Acristalamiento aislante fotovoltaico.
KR20080090900A (ko)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KR20110110410A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104640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950014947B1 (ko)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CN111769511B (zh) 接头连接装置
KR200345657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JP2017073291A (ja) 電気接続装置
US2956107A (en) Insulated cable connector
KR100733073B1 (ko) 전선 접속기
KR102103114B1 (ko)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CN210110416U (zh) 高阻燃高可靠电缆
CN217692478U (zh) 一种组合式机房线槽
CN208489529U (zh) 一种预制舱
KR20110007687U (ko) 케이블 분기장치
KR101135823B1 (ko) 지선 분기 접속구
CN109524927A (zh) 电缆保护套及电缆
KR200176390Y1 (ko)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CN208971077U (zh) 一种三相连体穿柜套管
KR20190098608A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CN211508502U (zh) 一种信号电缆成端盒
EP4056837A1 (en) Rotor blade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a lightning protection system
KR102537538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