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114B1 -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114B1
KR102103114B1 KR1020190122240A KR20190122240A KR102103114B1 KR 102103114 B1 KR102103114 B1 KR 102103114B1 KR 1020190122240 A KR1020190122240 A KR 1020190122240A KR 20190122240 A KR20190122240 A KR 20190122240A KR 102103114 B1 KR102103114 B1 KR 102103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centric neutral
concentric
line
groun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수
Original Assignee
전명수
임행균
김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수, 임행균, 김병천 filed Critical 전명수
Priority to KR102019012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뇌격 전류 침입 시에도 전력 케이블의 손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3상의 심선(a,b,c)과, 가공지선에 연결된 채 상기 3상의 심선을 감싸면서 구간마다 절단된 동심중성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지선에 직접 연결된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이 모두 접지되고,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어느 한 제2시작점과 상기 제1끝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2끝점이 모두 접지된,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Safe non-collective common grounding system for power cabl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의 시스 동심 중성선 접지 방식에는 양단 접지 방식, 편단 접지 방식 및 크로스 본드 접지 방식이 있으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번호 10-0586448, 10-1000081 및 10-1282652 등에는 양단 접지 방식과 편단 접지 방식을 혼용하는 비일괄 공동 접지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케이블 시스의 역할은 평상시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을 접지시켜 절연체의 전위 강도를 감소시키고 불평형 부하 전류를 귀환시키는 회로 역할을 하며, 케이블 절연 파괴 사고 시 고장 전류 귀환 회로로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시스의 양단을 모두 접지하는 양단 접지 방식은 시스의 전위 상승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으나, 시스를 통한 순환 전류가 각 상별로 부하 전류의 대략 25% 내지 대략 50% 정도 흐르므로 전력 손실이 크고 케이블의 전압 강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스의 일단은 접지하고 타단은 개방하는 편단 접지 방식은 시스 순환 전류가 없으나 시스 개방단의 전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종래의 발명으로, 양단 접지 방식과 편단 접지 방식의 단점을 줄이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비일괄 공동 접지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가공 선로와 케이블 혼용 배전 선로에서 가공 선로 부분에 낙뢰가 침입하였을 경우 시스 개방 단에 유기되는 뇌서지 유도 전압이 높이 상승하여 케이블의 외피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력 케이블 시스템의 시공 과정에서 작업 실수 또는 착각으로 시스(동심중성선)의 어느 한쪽은 반드시 접지하여야 하나 양쪽이 모두 플로팅(floating)되어(도 3 참조), 케이블 접속 부재가 손상됨으로써 정전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뇌격 전류 침입 시에도 전력 케이블의 손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력 케이블의 시공 작업중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착각으로 인한 전력 케이블의 불량 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력 케이블의 시공 작업중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의 손실 전력 절감과 동(Cu) 절감 효과를 유지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은 3상의 심선(a,b,c)과, 가공지선에 연결된 채 상기 3상의 심선을 감싸면서 구간마다 절단된 동심중성선을 포함할 수 있고, 가공지선에 직접 연결된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이 모두 대지에 직접 접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어느 한 제2시작점과 상기 제1끝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2끝점이 모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 중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된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되어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을 상호간 연결하여 측정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를 이용하여 경고 동작하는 제1플로팅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상기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에 연결되지 않은 제2시작점은 제1절연캡으로 감싸여질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어느 한 제3시작점과 상기 제2끝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3끝점이 모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 중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된 제2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에 결합되어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을 상호간 연결하여 측정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를 이용하여 경고 동작하는 제2플로팅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에 연결되지 않은 제3시작점은 제2절연캡으로 감싸여질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상기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에 연결되지 않은 동심중성선과 상기 연결되지 않은 동심중성선으로 감싸인 심선의 굵기가 상기 제1구간의 동심 중성선에 연결된 케이블의 동심중성선 및 심선의 굵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뇌격 전류 침입 시에도 전력 케이블의 손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력 케이블의 시공 작업중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착각으로 인한 전력 케이블의 불량 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력 케이블의 시공 작업중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의 손실 전력 절감과 동(Cu) 절감 효과를 유지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 케이블의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전력 케이블의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에서 동심 중성선의 플로팅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동심 중성선을 갖는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은 3상(a,b,c의 3상)의 심선(111)(전력선 또는 가공전선이라 함)과, 가공지선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3상의 심선(111)을 감싸면서 구간마다 절단된 동심중성선(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구간은 대략 200m 내지 400mm일 수 있으며, 도 2에서, 가공 선로(전주)와 변전소 사이에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및 제4구간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간의 갯수는 더 많거나 작을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송전탑으로부터 변전소까지 제1구간 내지 제4구간이 있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또한, 하나의 동심중성선(112)은 송전탑 측을 향하는 단부가 시작점으로 정의되고 변전소측을 향하는 단부가 끝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불어, 시작점과 끝점이 각 구간의 접속개소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가공지선에 직접 연결된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은 모두 접지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은 양단 접지될 수 있다.
한편, 제1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어느 한 제2시작점(예를 들면, a상에 대하는 1선)과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의 제1끝점(예를 들면, a상에 대응하는 1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나머지 두개의 제2시작점(예를 들면, b,c상에 대응하는 2선)과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의 제1끝점(b,c상에 대응하는 2선)은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의 제2끝점(a,b,c상에 대응하는 3선)이 모두 접지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은 편단 접지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설명하면, 실질적으로 제2,3,4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은 모두 편단 접지될 수 있다.
여기서, 가공지선(또는 가공선로)이 낙뢰를 맞았을 경우, 뇌서지 충격 전압은 동심중성선(112)으로 침입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감쇄된다. 즉, 동심중성선(112)의 제1시작점(또는 첫번째 연결점)을 지나면 충격 전압이 급격히 감소하여 절연 상태를 위협할 수 없는 작은 값으로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공지선에 연결된 제1구간의 3선에 대응하는 동심중선선(a,b,c상에 대응하는 3선)의 제1시작점 및 제1끝점이 모두 일괄적으로 접지되도록 하고(3선 양단 일괄 접지), 또한 제2구간부터 끝점만이 3선 일괄 접지되도록 하며 시작점은 2선 접지로부터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1선만이 중성선이 되도록 접지되고, 뇌격 전류 침입시, 심선(111) 및 동심중성선(112)의 손상, 즉, 전력 케이블(110)의 손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은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 중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부분(예를 들면, b,c 상에 대응하며, 개방 상태인 2선)에 각각 결합된 제1고정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고정구(120)는 절연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절연 몸체가 상호간 연결되지 않고 개방 상태인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제1끝점)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제2시작점)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은 제1고정구(120)에 결합되어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제1끝점)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제2시작점)을 상호간 연결하여 측정한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경고 동작하는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는 제1고정구(120)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 및 제1고정구(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1고정구(120)에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구(120)에 결합된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는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제1끝점)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제2시작점)을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와, 전압 센서로 측정한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로 경고 동작하는 경고부(부저 또는 LED를 포함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일례로, b상에 대응하는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제2끝점이 접지되지 않아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이 플로팅 상태가 되면,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에는 미리 결정된 기준 전압(예를 들면, 대지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유기되므로,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가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빛이나 소리로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플로팅 경고 장치(130)의 상태를 파악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일례로, c상에 대응하는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제2끝점이 접지되지 않아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이 플로팅 상태가 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더욱이,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에 연결되지 않은 제2시작점(예를 들면, b,c상에 대응하는 2선)은 제1절연캡(140)으로 감싸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제2끝점이 접지되지 않을 경우 기준 전압(예를 들면, 대지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유기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절연캡(140)으로 인해 동심중선선의 도체 노출 부분이 ?여지게 되어 작업자 및 설비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어느 한 제3시작점(예를 들면, b상에 대응하는 1선)과 제2끝점(예를 들면, b상에 대응하는 1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의 제3끝점(예를 들면, a,b,c상에 대응하는 3선)이 모두 접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은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과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112) 중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부분(예를 들어, a,c상에 대응하는 2선)에 결합된 제2고정구(120)와, 제2고정구(120)에 결합되어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과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을 상호간 연결하여 측정한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를 이용하여 경고 동작하는 제2플로팅 경고 장치(130) 및 제2고정 장치(120)(이들은 상호간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은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에 연결되지 않은 제3시작점(a,c상에 대응하는 2선)은 제2절연캡(140)으로 감싸여질 수 있다.
더불어, 양단 접지 구간의 동심중성선(112) 중 1선은 a,b,c상중 임의의 1상을 선정하여 중성선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한 편단 접지 구간의 동심중성선(112)은 임의의 1상을 선정하여 중성선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임의의 상으로 교차 선정하여 중성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동심 중성선을 갖는 전력 케이블(110)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110)은 다수의 심선(111)(전력선 또는 가공전선)과, 다수의 심선(111)을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113)과, 내부 반도전층(113)을 감싸는 절연체(114)와, 절연체(114)를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115)과, 외부 반도전층(115)을 감싸는 다수의 동심중성선(112)과, 다수의 동심중선선(112)을 감싸는 외피(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100)은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112)중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에 연결되지 않은 동심중성선(112)(예를 들면, b,c상에 대응함)과 연결되지 않은 동심중성선(112)으로 감싸인 심선(111)의 굵기가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112) 및 심선(111)의 굵기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동심중성선(112)을 편단 접지하는 2선은 시스 순환 전류가 흐를 수 없으므로 양단접지하여 중성선으로 사용하는 선에 비해 동심중성선(112) 및 심선(111)의 도체를 상대적으로 가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110; 전력 케이블 111; 심선
112; 동심중성선 113; 내부 반도전층
114; 절연체 115; 외부 반도전층
116; 외피 120; 고정구
130; 플로팅 경고 장치 140; 절연캡

Claims (7)

  1. 3상의 심선(a,b,c)과, 가공지선에 연결된 채 상기 3상의 심선을 감싸면서 구간마다 절단된 동심중성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지선에 직접 연결된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이 모두 대지에 직접 접지되고,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어느 한 제2시작점과 상기 제1끝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2끝점이 모두 접지된,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 중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된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되어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을 상호간 연결하여 측정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를 이용하여 경고 동작하는 제1플로팅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상기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에 연결되지 않은 제2시작점은 제1절연캡으로 감싸여진,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으로부터 이격된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어느 한 제3시작점과 상기 제2끝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의 제3끝점이 모두 접지된,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 중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된 제2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에 결합되어 상호간 연결되지 않은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과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을 상호간 연결하여 측정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을 경우 빛이나 소리를 이용하여 경고 동작하는 제2플로팅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에 연결되지 않은 제3시작점은 제2절연캡으로 감싸여진,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의 동심중성선중 상기 제1구간의 동심중성선에 연결되지 않은 동심중성선과 상기 연결되지 않은 동심중성선으로 감싸인 심선의 굵기가 상기 제1구간의 동심 중성선에 연결된 케이블의 동심중성선 및 심선의 굵기보다 작은,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KR1020190122240A 2019-10-02 2019-10-02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KR10210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40A KR102103114B1 (ko) 2019-10-02 2019-10-02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40A KR102103114B1 (ko) 2019-10-02 2019-10-02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114B1 true KR102103114B1 (ko) 2020-04-21

Family

ID=7045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240A KR102103114B1 (ko) 2019-10-02 2019-10-02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071B1 (ko) * 2022-12-30 2024-01-03 (주)수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448B1 (ko) * 2005-10-18 2006-06-08 전명수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의 유기 전압 및 순환 전류를 저감한전력 케이블 3상 배전 시스템
KR20070109229A (ko) * 2006-05-10 2007-11-15 전명수 접지부동 또는 전원측 중성점과의 단선 여부 확인기능을갖는 동심중성선 활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동확인방법
KR20100088481A (ko) * 2009-01-30 2010-08-09 전명수 3상 전력 케이블 배전 시스템
KR101979430B1 (ko) * 2018-08-29 2019-05-16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케이블 접속재 이상여부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448B1 (ko) * 2005-10-18 2006-06-08 전명수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의 유기 전압 및 순환 전류를 저감한전력 케이블 3상 배전 시스템
KR20070109229A (ko) * 2006-05-10 2007-11-15 전명수 접지부동 또는 전원측 중성점과의 단선 여부 확인기능을갖는 동심중성선 활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동확인방법
KR20100088481A (ko) * 2009-01-30 2010-08-09 전명수 3상 전력 케이블 배전 시스템
KR101979430B1 (ko) * 2018-08-29 2019-05-16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케이블 접속재 이상여부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071B1 (ko) * 2022-12-30 2024-01-03 (주)수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270A (ko) 초전도 케이블
KR102103114B1 (ko)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BR112019011341A2 (pt) métodos e cabos anti-furto de energia
EP2682952A1 (en) Electrical cable
KR100918516B1 (ko) 전력구의 맨홀에 설치된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JP2004207085A (ja) 電磁遮蔽ケーブル及び電磁遮蔽型単心撚り合わせケーブル
KR100941474B1 (ko) 도선용 절연 고정구
US20130284490A1 (en) Electrical wiring system and method
JP7256060B2 (ja) リッツ線の分岐接続部及び分岐接続方法
KR101594996B1 (ko) 특고압용 절연 3심 케이블
CN210608524U (zh) 一种高压电缆金属护套环流抑制系统
KR102620071B1 (ko) 지중배전시스템
KR100894508B1 (ko) 대전류 케이블을 위한 접속재
RU134352U1 (ru) Кабель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CN203232743U (zh) 防鼠咬和白蚁的船舶照明串联电路连接电缆
CN216250059U (zh) 一种高压直流输电系统金属回流线缆
CN213635499U (zh) 一种新型耐腐蚀防白蚁高压电缆
JP2018056064A (ja) 接地システム
CN211508502U (zh) 一种信号电缆成端盒
RU44881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гибкий
CN107591223A (zh) 一种用于航空航天的高性能电缆
KR0116313Y1 (ko) 고압 배전선로용 케이블 다발
CN110299223B (zh) 一种复合回流线
JPH03235613A (ja) 送電鉄塔の避雷装置
RU89753U1 (ru) Гибкий силовой каб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