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947B1 -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 Google Patents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947B1
KR950014947B1 KR1019870004493A KR870004493A KR950014947B1 KR 950014947 B1 KR950014947 B1 KR 950014947B1 KR 1019870004493 A KR1019870004493 A KR 1019870004493A KR 870004493 A KR870004493 A KR 870004493A KR 950014947 B1 KR950014947 B1 KR 95001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i
casing
cover
passag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768A (ko
Inventor
죠스 피. 가마라
Original Assignee
레이켐 코포레이션
허버트 지. 버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켐 코포레이션, 허버트 지. 버카드 filed Critical 레이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1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제1도는 조합된 폐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폐포의 덮개가 케이싱으로 부터 회전된 것을 나타내는 케이싱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오른쪽반을 나타내는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덮개가 폐포로부터 회전하여 떨어져 나간 덮개의 저면도.
제5도는 선과 겔이 삽입된 제2도의 유사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 Ⅵ-Ⅵ방향의 확대부분 단면도.
제7도는 덮개의 제2예를 나타내는 제4도의 유사도.
제8도는 절연변위연결기의 확대사시도.
제9도는 또 다른 절연변위 연결기 확대사시도.
제10도는 통로내에 선을 고정하기 위한 덮개의 수단을 나타내는 제6도의 유사도.
제11도는 통로내에 선을 고정하기 위한 덮개의 또 다른 수단을 나타내는 제6도의 유사도.
제12도는 조합된 폐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합된 폐포 12 : 케이싱
14 : 덮개 22 : 돌출부 또는 톱니
34 : 전기절연겔 40 : 중앙 공간분리 돌출부
46 : 중앙공동 48 : 절연변위연결기
50 : 고정된 돌출부 또는 톱니 60 : 래칭부분
60 : 언더컷 64 : 턱
70 : 절연변위연결기 72 : 공간분리벽
74,74' : 슬롯 76 : 고체부분
80 : 연결벽 82, 82' : 톱니
94 : 벽 96,98 : 보스
본 발명은 세포(closure), 좀 더 자세하게는 전화인입선을 연결하기 위한 폐포에 관한 것이다.
전화인입선을 연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연결기 및 폐포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폐포 및 연결기들은 일반적으로 각 인입선의 도체들 각각을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종 인입선에는 온도 변화, 강한 바람 그리고 무거운 중량 등과 같은 부하에 의해 유도되는 크기 변화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심한 축방향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인입선을 연결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또는 둘 등의 인입선이 폐포 및 연결기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부하들을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기 및 폐포 들은 일반적으로 설계가 까다롭거나 비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신뢰성을 주지못한다.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고, 비교적 설계가 단순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에 의해서, 여러가지 폐포가 다음과 같이 제안되어 왔다 : (다음 : 미국특허출원 번호, 698, 644, "제1, 제2캠(cam)을 가지는 인입선 페포" ; 미국 특허출원번호, 698,646, "절연 통과 수단을 가지는 인입선 폐포" ; 미국 특허출원번호, 698,651, 케이블 오거나이저(cable Organizer)을 포함하는 인입선폐포" ; 미국특허출원번호, 698,652, "고정 크기통로(Fixed-sized passageways)를 포함하는 인입선 폐포")를 그리고 상기의 모두는 1985년 2월 6일 제출되었고, 이들의 발표를 참조로 여기에 실었다.
이들의 폐포가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에 개선된 폐포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쉬운 설계 및 낮은 생산비용 그리고 향상된 축방향 강도를 제공하는 개량된 폐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것과 기타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함으로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정밀한 폐포에 의해 성취되었다. 이 폐포는 케이싱(casing)이 제1, 제2고정 크기 통로를 가지고, 또한 통로의 각각이 절연변위 연결기(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를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결기는 선을 받아 들이기 위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지는 한쌍의 공간분리벽(spaced-apart wall)으로 구성되며, 그 중에 각각 한쌍의 공간분리벽에 있는 슬롯을 서로 측면으로 오프셋(offset)이다.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폐포가 케이싱의 크기와 일치하는 덮개를 가지고 있다.
빠져 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갖는 폐포를 제공하는 절연변위연결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성취된다는 것이 차후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절연 변위연결기는 선의 절연을 뚫고 그리고 각 도체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해서 별개의 접속을 필요하지 않게 한다.
좀더 세부적인 도면들중에서, 제1도에는 케이싱(12)와 그 케이싱의 크기가 일치하는 덮개(14)로 구성되어 있는 조합된 폐포(10)이 도시되어 있다. 폐포가 덮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반면, 덮개가 케이싱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어떤 양상에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덮개가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16)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싱의 상부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출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포(10)이 제1(18) 및 2(20)의 고정 크기 통로를 포함하는 케이싱(12)로 구성되고, 이 통로의 각각은 절연변위연결기(70)을 가지고 있음이 나타나 있다. 연결기는 한쌍의 공간 분리벽(72)로 구성되고, 각각의 벽은 선을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74)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서 좀더 명백하게 되겠지만, 상기 슬롯들은 서로간에 측면으로 오프셋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어도 두개의 절연변위연결기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포가 케이싱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는 덮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통로의 입구(26)(28)은 케이싱의 양쪽에 있다.
제3도에는 제2도의 우측부분이 좀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각 통로는 절연변위 연결기(70)을 가지고 있다. 통로에 인접한 절연변위연결기들은 연결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각 연결기의 슬롯(74)는 서로간에 측면으로 오프셋이므로 세로 방향으로는 정열되어 있지 않다. 슬롯들은 보통 통로의 중간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될 것이다. 만약 선이 절연변위 연결기내에 놓인다면, 이 선은 화살표(78)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절연변위연결기의 오프셋 슬롯은 선이 곧게 펴지는 것을 방해하므로서 선이 축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높은 마찰력을 일으킨다. 또한 오프셋 슬롯은 각 연결기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킨다.
각 통로내에 있는 절연변위연결기(70)은 선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로내에 삽입된 선에 높은 축방향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절연변위연결기(70)은 자동적으로 선의 절연을 뚫고 선의 각 전기적 토체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바람직하게 만든다. 따라서, 케이싱내에 삽입하기전에 선을 까는 것이 필요치않다. 해야할 것은 케이싱의 통로내에 선을 삽입하는 것이고, 이 선은 그곳에 고정되고,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통로의 각각은 그속에 다수의 고정된 돌출부 또는 톱니(22)를 가진다. 제2도에 도시된 돌출부 또는 톱니는 말단으로부터 보인다. 그러나, 후에 명백해 지겠지만 실제로는 세로로 규격화되어 있다. 상기의 돌출부 또는 톱니는 폐포로부터 선이 바지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축방향 강도를 제공한다.
케이싱과 덮개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으로 성형된 부품으로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고정된 돌출부 또는 톱니도 또한 마찬가지로 성형될 것이다.
제4도에는 케이싱과 크기가 일치하는 덮개(14)가 도시되어 있다. 덮개는 케이싱의 고정 크기 통로내에 삽입된 선을 외부적으로 완전히 보호하기 위해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덮개는 잠시후 좀 더 자세히 논의 될 부가적인 구조를 가질수도 있다.
제5도에는 케이싱의 각 통로내에 삽입된 선(30)(32)가 도시되어 있다. 그곳에, 선의 절연이 벗겨지지 않은 단순히 놓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절연인 겔(34)가 케이싱내에 삽입되어서, 전기선을 환경적으로 고립시키고 물과 같은 해로운 환경 요소로부터 보호한다. 겔은 그리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100-300(10-1㎜) 사이의 원뿔 침입(cone penetration)과 적어도 200%의 극한 신장을 가지는 3차원의 분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조물은 우레탄, 실리콘 도는 비실리콘 액체고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겔들은 계류중인 출원번호(434,011, 1982년 10월 12일 제출 : 504,000, 1983년 6월 13일제출 ; 507,435, 1983년 6월 23일 제출 : 656,555, 1984년 8월 31일)로 청구되고, 설명되고 있으며, 상기의 것들을 참고로 여기에 적어 놓았다. 이후에서 참조되는 "겔"은 상기 출원에서 설명된 겔중에 어떤 하나가 될 것이다. 겔은 케에싱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지만, 물론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도 또한,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내에 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같이, 덮개는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부가적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구조는 제1(42)와 제2(44) 고정크기통로를 한정하는 중앙공간분리 돌출부(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덮개의 제1 및 제2통로는 그속에 고정된 돌출부 및 톱니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케이싱(12)는 중앙공동(46)을 가질 수 있으며, 공간분리 돌출부(40)을 갖는 덮개가 케이싱과 일치될 때, 중앙 공간분리 돌출부(40)은 중앙공동(46)으로 들어가고, 그리고 덮개의 제1(42) 및 제2(44)통로는 각각 케이싱의 제1(18) 및 제2(20) 통로와 일치한다. 이 같은 부가적 구조는 전기선의 환경적보호 및 추가원조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덮개는 덮개통로내의 각각에 위치한 절연변위연결기(48)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절연변위 연결기(48)은 앞서 논의된 절연변위연결기(70)과 대체로 같다. 이 절연변위연결기(48)은 각 통로내에 삽입된 전기선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이용된다.
제7도에 설명된 덮개의 제2실시예에서는 덮개(14)가 케이싱의 통로부에 해당하는 덮개부분(52)에 고정된 돌출부 또는 톱(50)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돌출부 또는 톱니의 목적은 케이싱내의 돌출부 또는 톱니(22)의 목적(즉, 폐포로부터 선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적인 축방향 강도를 제공하는 것)과 같다.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가 돌출부 또는 톱니(50)을 가지고,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이 돌출부 또는 톱니(22)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지 케이싱만이 돌출부 또는 톱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돌출부 또는 톱니는 하나의 (54) 또는 (56)으로 될 수도 있으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로의 두개의 벽(54)(56)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케이싱의 통로는 그 통로의 바닥(58)에 돌출부 또는 톱니를 가질 수도 있다. 만약 통로의 바닥(58)만이 돌출부 또는 톱니를 가진다면 이때 덮개가 돌출부 또는 톱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폐포는 덮개와 케이싱을 확실하게 맞물리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수단은 덮개와 케이싱을 연결하는 나사 만큼 간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나사는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폐포가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작업환경에서는 쉽게 잘못 위치될 수 있는 나사와 같은 작은 부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게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덮개가 스냅형태로 잠기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잠김수단이 제공되었고, 이중 덮개는 단순히 케이싱의 위에서 스냅상태로 닫혀질 수 있다. 잠김 수단의 동작이 제6도에서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는 케이싱의 언더컷(62)로 들어가는 래칭부분(latching portion)(60)을 가지고, 턱(64)에 의해 그곳에 고정된다. 이와같은 설계는 선이나 케이블이 당겨질 때, 통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덮개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세로 방향으로 되어 있는 고정된 돌출부 또는 톱니(22)와 함께 통로(20)중의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명료함을 위해 제6도에 도시된 덮개는 평평한 덮개이고, 여기서, 제4,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가적 구조는 빠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가적 구조를 가지는 덮개가 사용될 수 있거나, 통상 사용될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에측된다.
제8도에 도시된 것은 절연변위연결기(7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연결기는 연결벽(80)에 의해 접속된 한쌍의 공간분리벽(72)로 구성되어 있다. 단면을 볼 때, 이 연결기는 U-형태를 나타낸다. 각각의 공간분리벽은 그속에 선을 받아 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74)를 가진다. 슬롯들은 측면으로 오프셋 되어 있으므로, 선이 슬롯내에 놓일때 선은 화살표(78)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배치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인접한 절연변위연결기(70)은 고체부분(76)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렇게 연결될 때, 슬롯(74)가 슬롯(74')에 인접하여 연결된다.
가장 바람직한 절연변위연결기는 선이 인접한 슬롯들(74)(74')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선을 아래로 밀어을때, 절연변위 연결기이 톱니(82),()82')는 선의 절연을 관통하여 꿰뚫음으로 해서 선은 전기적 도체와 접촉한다. 각각의 전기적도체들사이에 전기적 접촉은 절연변위연결기의 고체부분(76)을 통해 유지된다.
제8도에 도시된 절연변위연결기는 단 한 조각의 압형된 강철, 동으로 덮혀진 강철, 알루미늄, 베릴륨동 또는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절연변위연결기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조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폐포의 조합시 함께 접속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이러한 적용에서는 선들 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물론 고체부분(76)을 통하여 전기적 연속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기적 연속성이 접속을 통해 유지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데, 이 경우에 슬롯(74) 및 (74')가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9도는 절연변위연결기의 또 다른 실시예(90)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은 특별히 선사이에 버트(butt)연결을 형성하기에 적당하다. 따라서, 결선을 형성하기 위해 해야할 것은 화살표(92)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끝과 끝에 놓는 것이다. 선의 접속은 불필요한데, 왜냐하면 전기적 연속성이 벽(94)를 통해 유지되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하에서는 통로내의 선의 고정을 돕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것이 각 통로의 내에 있는 선을 고정하기 위한 그런 수단이다. 이 수단은 각 통로 위쪽의 덮개부분위에 있는 보스(9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0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보스(96)은 각 통로의 내쪽으로 뻗어있다. 사용시, 선이 통로내에 놓이고 그리고 덮개가 케이싱위에 놓이면, 보스(96)은 선을 통로속의 아래쪽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보스(96)은 선과 폐포의 조합을 돕는다.
제11도는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고정수단은 통로의 양쪽에 놓이는 단일 보스(98)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보스(98)의 기능은 전술한 보스(96)의 기능과 같다.
조합된 폐포의 실시예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제2도 및 제5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절연변위연결기(70)을 포함하고, 덮개는 제4도 및 제7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절연변위연결기(48)을 포함한다. 제시된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선(30)(32)가 평평하게 놓이는 대신에 폐포내에 수직으로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도 체(31)(35)는 연결기(7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도 체(33)(37) 연결기 (4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같은 배열은 매우 효율적이고 소형인 폐포를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폐포가 선과선, 케이블과 케이블 또는 선과 케이블을 연결하기에 적당한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로 폐포의 전술한 모든 적용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에 설명된 여러가지 실시예는 특히 공중의 인입선 폐포에 적당하다 : 그러나, 선택적으로, 매몰된 인입선 연결기 및 밀폐물에 사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폐포는 전화 UATV 또는 전력에도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넘어선 본 발명의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명세서에 관심을 가지는 기술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고려될 것이다.

Claims (11)

  1. 케이싱은 제1 및 제2고정크기통로를 가지고 ; 그리고 이 각 통로속에 절연변위연결기가 위치하고, 이 연결기는 그속에 선을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각각 가지는 한쌍의 공간분리벽으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공간분리벽 각각에 있는 슬롯은 서로 측면으로 오프셋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2. 제1항에 있어서, 각 통로의 입구가 케이싱의 서로 마주보는 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3. 제1항에 있어서, 통로의 각각이 그 속에 다수의 고정된 돌출부 또는 톱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4. 제1항에 있어서, 폐포가 케이싱과 크기가 일치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5. 제4항에 있어서, 덮개가 통로가 위치하는 부분만이라도 돌출부 또는 톱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6. 제4항에 있어서, 폐포가 덮개와 케이싱이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7. 제4항에 있어서, 덮개가 각 통로내에 선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8. 제4항에 있어서, 케이싱이 중앙공동을 가지고, 덮개가 제1 및 제2통로를 한정하는 동안 중앙 공간 분리 둘출부를 가짐으로서, 덮개가 케이싱과 겹쳐졌을 때, 중앙공간분리돌출부가 중앙공동에 들어가고 덮개의 제1 및 제2통로가 케이싱의 제1 및 제2통로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9. 제8항에 있어서, 덮개가 각 덮개통로내에 위치한 절연변위연결기로 이루어지고, 이 연결기가 그속에 선을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지는 한쌍의 각 공간분리 벽으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각 공간분리벽 내에 있는 슬롯들이 서로측면으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10. 제4항에 있어서, 폐포가 물 및 기타주위의 오염물질을 막아주는, 케이싱내에 위치하는 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포.
  11. 단면으로 볼 때 U자 형태를 나타내도록 연결벽에 의해 접속된 한쌍의 공간 분리벽을 가지고, 각 공간분리벽이 그 속에 선을 받아들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지며, 이 슬롯들이 서로 측면으로 오프셋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변위연결기.
KR1019870004493A 1986-05-09 1987-05-08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KR950014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1673 1977-12-19
US861,673 1986-05-09
US06/861,673 US4685756A (en) 1986-05-09 1986-05-09 Drop-wire closure having a high axial streng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768A KR870011768A (ko) 1987-12-26
KR950014947B1 true KR950014947B1 (ko) 1995-12-18

Family

ID=2533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493A KR950014947B1 (ko) 1986-05-09 1987-05-08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85756A (ko)
EP (1) EP0249334A3 (ko)
JP (1) JPS62271380A (ko)
KR (1) KR950014947B1 (ko)
BR (1) BR8702356A (ko)
CA (1) CA1260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443A (en) * 1989-12-21 1991-0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agnostic connector tap
DE4005351A1 (de) * 1990-02-20 1991-08-22 Minnesota Mining & Mfg Verbindung fuer mindestens ein paar isolierter leiter
US5080606A (en) * 1990-11-05 1992-01-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cked in-lin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5149281A (en) * 1991-09-24 1992-09-22 Teltronics, Inc. Test enabling terminal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DE10142363A1 (de) * 2001-08-30 2003-03-27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Verbinder
US7134903B1 (en) * 2005-10-12 2006-11-14 Lear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CN100424932C (zh) * 2006-01-05 2008-10-0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多个连接器的叠接结构
US7432445B2 (en) * 2006-12-18 2008-10-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re inline T tap/splice
DE102008013317B4 (de) * 2008-03-10 2010-10-14 Adc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deranschlussleiste mit Gelfüllung
US7985094B2 (en) * 2008-09-15 2011-07-26 Adc Gmbh Connector block
CN102349197B (zh) * 2009-01-14 2014-09-03 莫列斯公司 耐候性电缆连接器、电气模块及其耐候性组件
JP5578980B2 (ja) * 2009-11-06 2014-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9541A (en) * 1941-07-29 1944-10-03 Int Standard Electric Corp Insulated wire connector
US2810115A (en) * 1955-08-22 1957-10-15 Abbott Developments Inc Connectors for lamp cords
US3573713A (en) * 1968-11-21 1971-04-06 Minnesota Mining & Mfg Connector
ES179115Y (es) * 1972-04-08 1973-11-16 Amp, Incorporated Un elemento de contacto de chapa metalica.
US4326767A (en) * 1979-03-12 1982-04-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re cutting electrical connector
JPS57194466A (en) * 1981-05-22 1982-11-30 Fujikura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60097A (en) 1989-09-26
EP0249334A3 (en) 1988-09-28
BR8702356A (pt) 1988-02-17
JPS62271380A (ja) 1987-11-25
EP0249334A2 (en) 1987-12-16
US4685756A (en) 1987-08-11
KR870011768A (ko) 198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610A (en) Ground contact for a splice enclosure
US4067634A (en) Dead-front electrical housing
KR950014947B1 (ko) 높은 축방향 강도를 가지는 인입선 폐포(closure)
US4403821A (en) Wiring line tap
US4427253A (en) Fully insulated electrical clamp connector with inboard insulating tab and slot
US7311563B2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US3720778A (en) Electric ribbon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KR980012715A (ko) 두 전기 케이블의 신속한 상호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6007384A (en) Casing for a plug for a cable having a drain wire
US5691508A (en) Enclosure for spliced multiconductor cable
US4487997A (en) Electric cable
JPS5827627B2 (ja) ワイヤ端子台
US3353141A (en) Flat cable connector
US4208083A (en)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WO1993003517A1 (en) Flexible conductive track
US5653609A (en) Strain relief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4243287A (en) Dead front plug with insulation penetrating contacts
JP341766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防水構造
US5520549A (en) Connector apparatus, housing, and connecting element
US5470250A (en) Bridging terminal block
CA108638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ap connections to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GB2028016A (en) Electric plugs
JPH07112323B2 (ja) 防水接続箱
JPH01363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