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143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143A
KR20170123143A KR1020160052416A KR20160052416A KR20170123143A KR 20170123143 A KR20170123143 A KR 20170123143A KR 1020160052416 A KR1020160052416 A KR 1020160052416A KR 20160052416 A KR20160052416 A KR 20160052416A KR 20170123143 A KR20170123143 A KR 20170123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rear end
wire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143A/ko
Publication of KR2017012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B60L11/18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메인하우징(10), 터미널(17), 리어하우징(30) 그리고 커버(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는 상기 터미널(17)이 설치된다. 상기 리어하우징(30)은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후단을 덮는 리어선단판(38)이 있고, 상기 리어선단판(38)에는 터미널안착부(40)가 일측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안착부(40)와 리어선단판(38)을 관통하여 통과공(41)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하우징(30)의 일측에는 와이어안내부(42)가 있어서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의 방향을 정해준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중에서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후단쪽에는 확장부(22)가 있고, 상기 확장부(22)들 끼리는 연통부(2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통부(24)는 상기 확장부(22)를 중력방향 하부로 가면서 연통시킨다. 상기 연통부(24)를 통해 안내된 수분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덕트(26')의 배수구(26)로 전달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가진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에 도전성 재질로 된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가 설치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가 사용되는 환경이 매우 좁은 곳인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에서 나온 와이어가 주변의 다른 부분에 닿게 되고, 이 부분에서 와이어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와이어가 커넥터에서 나와서 연장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와이어커버를 설치한다. 하지만, 커넥터가 설치되는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이 다양하게 될 수 밖에는 없다. 다시 말해 커넥터가 사용되는 곳에 따라 상기 와이어커버를 새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커넥터중에서도 전기자동차에서 고전압을 위해 사용되는 것에서는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특히 터미널를 통해 와이어측으로 물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터미널의 선단과 와이어가 연결된 쪽이 서로 구획되어 있기는 하지만 일단 물이 커넥터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배출될 수 있는 구조가 없어서 낮은 기온의 환경에서는 물이 얼어서 상대 커넥터의 결합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20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1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설계된 리어하우징을 와이어안내부의 방향만을 달리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에서 시일이 설치된 부분의 외측에서 하우징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후단을 둘러 체결플랜지가 형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후단의 상기 체결플랜지에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리어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상기 통과공에 위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리어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리어하우징의 와이어안내부와 협력하여 상기 와이어의 연장을 안내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하우징에는 상기 체결플랜지의 체결공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1돌기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걸이편의 제2체결공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2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리어하우징은 통형의 리어측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리어선단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는 상기 리어측판의 외면에서 돌출되는데 와이어의 연장방향에 따라 그 위치가 달리 설정된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와이어안내부의 일측을 차폐하는 와이어안내커버부가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의 후단에는 터미널안착공간의 인접한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가 있고, 상기 확장부들이 중력방향하부로 연통부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중력방향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덕트가 구비된다.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차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턱에서 중력방향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차단턱이 제거된 오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후단에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단을 차폐하는 리어선단판에 형성된 리어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상기 통과공에 위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과 상기 리어선단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통과공으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시일과, 상기 리어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리어하우징의 와이어안내부와 협력하여 상기 와이어의 연장을 안내하는 커버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중력방향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하우징은 통형의 리어측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리어선단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는 상기 리어측판의 외면에서 돌출되는데 와이어의 연장방향에 따라 그 위치가 달리 설정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의 후단에는 터미널안착공간의 인접한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가 있고, 상기 확장부들이 중력방향하부로 연통부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중력방향 하부에는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덕트가 구비된다.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차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턱에서 중력방향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차단턱이 제거된 오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메인하우징과 커버는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고 리어하우징만을 와이어의 연장방향에 따라 달리 설계하여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한 금형이 최소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리어하우징도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된 리어선단판을 형성하는 코어와 리어하우징의 리어측판 및 와이어안내부를 형성하는 코어 사이의 각도만을 금형에서 조절하면 다양한 각도로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는 리어하우징이 생산될 수 있어 커넥터조립체의 생산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하우징의 선단으로 개방되어 있는 터미널안착공간 내에서 시일이 설치된 부분 이전에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에 생긴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메인하우징에 두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들을 서로 연통시켜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수가 확실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터미널안착공간에 물이 얼어 얼음이 발생함에 의해 상대 커넥터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을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하우징을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리어하우징의 와이어안내부가 커넥터조립체의 후방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리어하우징의 와이어안내부가 커넥터조립체의 후방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메인하우징(10), 터미널(17), 리어하우징(30) 그리고 커버(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 리어하우징(30), 커버(50)는 모두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터미널(17)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는데, 내부가 선단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에는 터미널설치부(12)가 있고, 상기 터미널설치부(12)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내부의 내면 사이에는 삽입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4)에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2)에는 전체 메인하우징(10)을 관통하는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부에는 터미널(17)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17)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 내부로 삽입된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17)은 고전압을 통전시키기 위해 봉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17)의 후단 일측에는 도 3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플랜지(도면부호 부여않음)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랜지에 시일(17')이 밀착된다. 상기 시일(17')은 상기 터미널(17)과 상기 리어하우징(30)의 리어선단판(38) 사이에 밀착되어 수분이 상기 터미널(17)에 연결된 와이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후단을 둘러서는 체결플랜지(18)가 있다. 상기 체결플랜지(18)는 상기 리어하우징(30)과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플랜지(18)에는 제1체결공(2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공(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하우징(30)의 제1돌기(34)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서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후단쪽에는 확장부(22)가 있다. 상기 확장부(22)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인접한 부분에 비해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22)에 인접하여서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부에 차단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턱(23)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경은 상기 확장부(22)나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선단 입구측에 비해 작다. 이는 상기 차단턱(23)을 넘어서 터미널안착공간(16)의 확장부(22)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확장부(22)들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연통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24)에 의해 상기 확장부(22)들, 실제로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연통부(24)는 각 터미널안착공간(16) 사이를 연결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중력방향 상부에 있는 것과 상대적으로 중력방향 하부에 있는 것이 차례로 연결되어 가장 낮은 곳에 있는 터미널안착공간(16)의 확장부(22)로 물이 전달되게 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중에서 중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있는 것의 확장부(22)는 배수구(26)와 연통된다. 상기 배수구(26)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중력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배수덕트(26')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거나 자체에서 수분이 형성되더라도 이들은 상기 확장부(22)에서 연통부(24)를 통해 물이 상기 배수구(26)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부호 28은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으로 들어온 물이 상기 배수구(26)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오픈부이다.
상기 리어하우징(30)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하우징(30)에는 리어측판(32)이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리어측판(32)의 외면을 따라 제1돌기(34)와 제2돌기(36)가 다수 곳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측판(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일측을 리어선단판(38)이 막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어선단판(38)은 원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리어선단판(38)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안착부(4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부(40)는 상기 리어선단판(38)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어측판(32)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부(40)를 관통하여 통과공(4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41)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6)과 서로 연통된다.
상기 리어측판(32)의 일측에는 와이어안내부(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42)의 구성은 횡단면이 'ㄷ'자형상으로 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42)가 상기 리어측판(32)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느냐에 따라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의 연장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리어하우징(30)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하우징(30)의 후단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50)에는 상기 리어하우징(30)의 후단을 차폐하는 커버배면판(52)이 있다. 상기 커버배면판(5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커버측판(54)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측판(54)은 상기 커버배면판(52)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측판(54)의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걸이편(56)이 있다. 상기 걸이편(56)에는 제2체결공(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체결공(58)에는 상기 리어하우징(30)의 제2돌기(36)가 안착되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커버배면판(5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게 와이어안내커버부(60)가 있다. 상기 와이어안내커버부(60)는 상기 리어하우징(30)의 와이어안내부(42)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안내커버부(6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커버측판(54)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만들어지는 것과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달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어하우징(30)만을 교체하면 된다. 즉, 커넥터조립체를 생산함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장방향에 따라서 상기 리어하우징(30)만을 교체하며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조립체의 경우 와이어가 커넥터조립체를 후방에서 볼 때 하부로 연장되는 경우이다. 도 6은 와이어가 우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이고, 도 7은 와이어가 좌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리어하우징(30)이 교체되어야 하는 이유는 상기 리어하우징(30)의 리어선단판(38)에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40)들의 위치에 대해 상기 와이어안내부(42)의 위치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리어하우징(30)을 상기 리어선단판(38)과 나머지 부분으로 나누게 되면 상기 리어선단판(38)과 나머지 부분을 상대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안내부(42)의 위치를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리어하우징(30)의 것들과 같이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코어에서 상기 리어선단판(38)측을 위한 것과 나머지를 위한 것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만들면 하나의 금형으로 다양한 리어하우징(30)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에서는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상기 리어하우징(30)을 먼저 결합한다. 즉,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체결플랜지(18)에 형성된 제1체결공(20)에 상기 리어하우징(30)의 제1돌기(34)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6)과 상기 리어하우징(30)의 터미널안착부(40)에 형성된 통공(41)이 서로 대응되는 것이 일치하도록 되어야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상기 리어하우징(30)을 체결한 후에는 상기 터미널(17)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17)에 시일(17')을 설치하여 상기 리어하우징(30)의 리어선단판(38)에 상기 터미널안착부(40)의 통과공(41)내에서 시일(17')이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일(17')이 상기 터미널(17)과 리어선단판(38)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통과공(14)내로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6) 입구로부터 침입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입구로부터 침입한 수분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부에서 상기 차단턱(23)에 형성된 오픈부(28)를 통해 상기 확장부(22)로 들어가고, 상기 연통부(24)를 통해 상기 배수구(26)로 전달되어 메인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통부(24)들은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들을 중력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고 있어, 어느 터미널안착공간(16)으로 수분이 침입하더라도 모두 상기 배수구(26)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리어하우징(30)의 적용과 배수를 위한 연통부(24)와 배수구(26)의 적용이 동시에 이루어진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이 적용되어 커넥터 조립체가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측판(32)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이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 각도의 회전을 통해서 리어선단판(38)의 통과공(41)과 와이어안내부(42) 사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면 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이면 된다.
10: 메인하우징 12: 터미널설치부
14: 삽입공간 16: 터미널안착공간
17: 터미널 17': 시일
18: 체결플랜지 20: 제1체결공
22: 확장부 24: 연통부
26: 배수구 26': 배수덕트
28: 오픈부 30: 리어하우징
32: 리어측판 34: 제1돌기
36: 제2돌기 38: 리어선단판
40: 터미널안착부 41: 통과공
42: 와이어안내부 50: 커버
52: 커버배면판 54: 커버측판
56: 걸이편 58: 제2체결공
60: 와이어안내커버부

Claims (12)

  1.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후단을 둘러 체결플랜지가 형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후단의 상기 체결플랜지에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리어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상기 통과공에 위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리어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리어하우징의 와이어안내부와 협력하여 상기 와이어의 연장을 안내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에는 상기 체결플랜지의 체결공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1돌기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걸이편의 제2체결공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2돌기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은 통형의 리어측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리어선단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안내부는 상기 리어측판의 외면에서 돌출되는데 와이어의 연장방향에 따라 그 위치가 달리 설정되는 커넥터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와이어안내부의 일측을 차폐하는 와이어안내커버부가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의 후단에는 터미널안착공간의 인접한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가 있고, 상기 확장부들이 중력방향하부로 연통부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중력방향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덕트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차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턱에서 중력방향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차단턱이 제거된 오픈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8.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후단에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단을 차폐하는 리어선단판에 형성된 리어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상기 통과공에 위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과 상기 리어선단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통과공으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시일과,
    상기 리어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리어하우징의 와이어안내부와 협력하여 상기 와이어의 연장을 안내하는 커버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중력방향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은 통형의 리어측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리어선단판과, 상기 리어측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안내부는 상기 리어측판의 외면에서 돌출되는데 와이어의 연장방향에 따라 그 위치가 달리 설정되는 커넥터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의 후단에는 터미널안착공간의 인접한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가 있고, 상기 확장부들이 중력방향하부로 연통부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중력방향 하부에는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덕트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차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턱에서 중력방향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차단턱이 제거된 오픈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160052416A 2016-04-28 2016-04-28 커넥터 조립체 KR20170123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16A KR20170123143A (ko) 2016-04-28 2016-04-28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16A KR20170123143A (ko) 2016-04-28 2016-04-28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43A true KR20170123143A (ko) 2017-11-07

Family

ID=6038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416A KR20170123143A (ko) 2016-04-28 2016-04-28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1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85A1 (ko) * 2019-05-10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KR102232824B1 (ko) * 2019-10-15 2021-03-26 재상전자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85A1 (ko) * 2019-05-10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KR102232824B1 (ko) * 2019-10-15 2021-03-26 재상전자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WO2021075616A1 (ko) * 2019-10-15 2021-04-22 재상전자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600B2 (en) Connector structure
CN111490410B (zh) 连接器组件
JP5682977B2 (ja)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US8333616B2 (en) Low-profile cable assembly with good function EMI prevention
US7950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US20090120682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10819071B2 (en) Connector structure that is reconfigurable to accommodate either an STP cable or a UTP cable
KR102629391B1 (ko) 부싱 하우징
US9955601B2 (en) Electrical device for mounting inside a cabinet
US7857663B2 (en) Connector assemblies, combinations and methods for use with foil-shielded twisted pair cables
CN104617436A (zh) 容座形壳体、连接器、以及具有线缆支撑件的连接器布置
US20160276776A1 (en) Connector
WO2017026251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23143A (ko) 커넥터 조립체
US7658647B2 (en) Cable arrangement with shielded cables
WO2020241268A1 (ja) コネクタ
KR102499818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210001075U (ko) 무방향성 선-기판 커넥터
KR102492966B1 (ko) 고전압 커넥터용 리어 홀더
US7186138B2 (en) Multiple pieces dual type BNC connector with all metal shell
KR102499819B1 (ko) 커넥터
US1052293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non-uniformly arranged contacts
US8979556B2 (en) Communication socket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02379U (ko) 고전압 커넥터용 접지장치
KR102270739B1 (ko) 차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