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824B1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824B1
KR102232824B1 KR1020190127942A KR20190127942A KR102232824B1 KR 102232824 B1 KR102232824 B1 KR 102232824B1 KR 1020190127942 A KR1020190127942 A KR 1020190127942A KR 20190127942 A KR20190127942 A KR 20190127942A KR 102232824 B1 KR102232824 B1 KR 10223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erminal
high voltage
wal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상
주승돈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재상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젠트로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상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젠트로피 filed Critical 재상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824B1/ko
Priority to PCT/KR2019/013784 priority patent/WO20210756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관통홀(21')이 형성된 베이스(21)에 상기 베이스(21)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내부공간(23)을 가지도록 내벽(22)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20)과, 상기 관통홀(21')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23)에 안착되는 내측단자(31)와, 상기 내벽(2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외측단자(32)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23)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공간(23)에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채널(23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내측단자가 수용되고,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외부로 통하는 배수채널이 형성되어 수분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외부로 수분을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조를 가지는 고전압 피메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장치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케이블을 전자장치나 다른 전원 및 기기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넥터를 이용해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를 벗겨낸 다음 피복부가 제거된 심선을 터미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해서 터미널과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커넥터의 하우징에 조립된 터미널은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최근에는 차량 이외에 먼 거리를 편리하게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이륜차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륜차는 고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러한 고용량의 배터리를 급속으로 충전하기 위해서 고전압에 사용되는 커넥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커넥터 간의 효율적인 접촉을 위해서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압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전기 이륜차를 구동시키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스테이션에는 피메일 커넥터가 설치되고, 배터리에는 메일 커넥터가 설치된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단자에는 메일 커넥터의 핀 형상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접촉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스테이션 내부에서 배터리가 삽입되는 입구를 향해서 상부를 향해 설치되는데,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거나, 온도 및 압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공기 중 수증기가 액화되어 상기 접촉공간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상기 접촉공간에 물이 고인 상태에서 메일 커넥터가 피메일 커넥터와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극 자체가 산화되어 부식되고, 전압이 강하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8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메일 커넥터에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에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내벽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내측단자와, 상기 내벽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외측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채널은 상기 내벽과 인접하여 상기 내벽이 형성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단자에는 상대커넥터의 단자가 수용되는 접촉공간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배수홀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채널은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배수채널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한 쪽은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공간과 연통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내벽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배수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안착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단자는 상기 내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안착그루브에 안착된다.
상기 내벽에는 상기 내벽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림단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삽입홀의 중심을 향해 씰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씰안착부가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 씰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씰안착단과 씰안착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된다.
상기 오링은 상기 씰안착단 및 씰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과 상기 내부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이 평행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내측단자가 수용되고,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외부로 통하는 배수채널이 형성되어 수분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외부로 수분을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공간의 바닥면이 배수채널을 향해 경사진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채널로 수분이 유도된다. 따라서, 커넥터가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되더라도 배수경사에 의해 배수채널로 수분이 유도되어 신속하게 커넥터 내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단자의 외면에 내부공간 또는 배수채널와 연통되게 배수홀이 형성되므로 중심핀이 삽입되는 접촉공간 내부에 고인 수분도 신속하게 제거하여 내측단자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단면도.
도 4는 도 3의 특징부 A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특징부 B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고전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피메일커넥터(1)와 메일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되어 전기적인 접촉을 이룬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례의 고전압 커넥터는 피메일커넥터(1)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일커넥터(미도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1)는 외부하우징(10)과 내부하우징(20) 및 상기 내부하우징(20)에 결합되는 단자조립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과 단자조립체(30)는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중앙에 삽입홀(10')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내부하우징(20)이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10')에 결합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환경에 따라서 상기 외부하우징(10)의 형상은 자유롭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삽입홀(10') 가장자리에는 상기 삽입홀(10')의 중심을 향해서 씰안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씰안착부(11)는 상기 삽입홀(10')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하우징(20)이 상기 삽입홀(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홀(10')의 결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하우징(20)은 베이스(21)에 내벽(22)과 안착그루브(24)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1)는 원판 형상이다. 상기 베이스(21)에 상기 단자조립체(3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1)의 중앙에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을 통해서 상기 단자조립체(30)의 내측단자(31)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21)를 관통한다. 상기 베이스(21)를 관통한 내측단자(31)는 상기 메일커넥터의 단자(미도시)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상기 베이스(21)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내벽(22)과 안착그루브(24)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내벽(22)과 안착그루브(24)는 서로 동심원 형상이다. 상기 내벽(22)은 상기 베이스(21)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그루브(24)는 상기 베이스(21)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벽(22)은 상기 베이스(21)에 상기 베이스(21)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커넥터를 향해서 연장된다. 상기 안착그루브(24)는 상기 베이스(2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면, 상기 내벽(22)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베이스(21)의 원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다.
상기 내벽(22)의 선단은 상기 베이스(21)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림단(22')이 형성된다. 상기 가림단(22')은 상기 단자조립체(30)의 외측단자(32)의 선단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상기 단자조립체(30)의 외측단자(32)가 상기 내부하우징(20)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벽(22)의 내측에는 내부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3)에는 상기 단자조립체(30)의 내측단자(31)가 안착된다. 상기 내부공간(23)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벽(22)과 인접하게 배수채널(23b)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채널(23b)은 상기 내벽(22)의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23)의 바닥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2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수채널(23b)은 상기 내부공간(23)에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외부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배수채널(23b)은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채널(23b)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채널(23b)이 여러 갈래로 형성되면 뒤에서 설명될 배수홀(31b)과 연통되는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23)과도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23)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21)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내벽(22)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배수경사(23a)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경사(23a)는 상기 배수채널(23b)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23)에 고인 수분을 상기 배수채널(23b)로 신속하게 안내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23)의 바닥면에 수분이 머무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이스(21)의 외면에는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2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안착그루브(2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그루브(24)는 단자조립체(30)의 외측단자(32)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외측단자(32)는 상기 내벽(22)의 외면과 안착그루브(24)의 내면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21)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씰안착단(25)이 형성된다. 상기 씰안착단(25)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씰안착부(11)가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씰안착단(25)에는 오링(2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삽입홀(10') 내로 상기 내부하우징(20)이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씰안착단(25)과 씰안착부(11)가 접촉되는 위치에 오링(20')이 설치된다.
상기 오링(20')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삽입홀(10') 내측면과 상기 내부하우징(20)의 베이스(21)의 외측면이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씰안착부(11)와 씰안착단(25)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방수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씰안착부(11)와 씰안착단(25)은 상기 외부하우징(10)과 내부하우징(20)이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접하여 수분이 이동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오링(20')은 상기 외부하우징(10)과 내부하우징(2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기밀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내측단자(31)는 (+)극 또는 (-)극 중 어느 하나의 극과 연결되는 도체이다. 상기 내측단자(31)는 상기 관통홀(21')을 관통하여 상기 내벽(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23)에 위치된다.
상기 내측단자(31)는 내부에 접촉공간(31a)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다. 상기 접촉공간(31a)으로 메일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내측단자(31)의 접촉공간(31a)에는 다접점스프링(3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접점스프링(31')은 중심을 향해서 돌출된 접점을 복수개 가지며, 상대단자와의 접점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다접점스프링(31')은 상기 접촉공간(31a)의 가장자리에 밀착되게 고정된다.
상기 내측단자(31)에는 상기 접촉공간(31a)과 외부가 연통되게 배수홀(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커넥터(1)의 특성상 상기 내측단자(31)는 접촉공간(31a)을 필연적으로 가지게 되는데, 상기 접촉공간(31a)에도 수분이 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공간(31a)과 외부가 연통되게 배수홀(31b)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공간(31a)에 고인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홀(31b)은 상기 배수채널(23b)과 마찬가지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단자(31)는 상기 베이스(21)의 내부공간(23)에 안착되므로 상기 배수홀(31b)은 상기 접촉공간(31a)과 내부공간(23)을 연통시킨다. 즉, 상기 접촉공간(31a)에 고인 수분은 상기 배수홀(31b)을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23)으로 배출되고, 상기 내부공간(23)에 모인 수분은 상기 배수채널(23b)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배수홀(31b)은 상기 배수채널(23b)과 직접 연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수채널(23b)은 두갈래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채널(23b)의 한쪽은 상기 배수홀(31b)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접촉공간(31a)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채널(23b)의 다른 한 쪽은 상기 내부공간(23)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단자(31)에 배수홀(31b)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공간(31a)과 내부공간(23)도 함께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외측단자(32)는 (+)극 또는 (-)극 중 어느 하나의 극과 연결되는 도체이다. 상기 외측단자(32)는 대략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벽(22)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가림단(22')에 의해 그 선단이 차폐된다. 상기 외측단자(32)는 상기 내벽(22)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안착그루브(24) 내측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단자조립체(30)는 (+),(-)극성의 단자가 하나씩 구비되어 인서트사출되면 상기 내부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1)의 관통홀(21')에 내측단자(31)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23)에 안착되고, 상기 외측단자(32)는 상기 내벽(22)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안착그루브(24) 내에 안착된다. 상기 내측단자(31)에는 접촉공간(31a)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공간(31a)의 외면에 상기 다접점스프링(31')이 설치된다.
상기 단자조립체(30)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하우징(20)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삽입홀(10')로 삽입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의 씰안착단(25)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씰안착부(11)와 간섭되므로 상기 내부하우징(20)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삽입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씰안착단(25)과 씰안착부(11)가 접하는 면에 상기 오링(20')이 설치된다. 상기 오링(20')은 상기 내부하우징(20)과 외부하우징(10)이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인 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부하우징(20)과 외부하우징(10)이 결합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상대적으로 방수성능이 향상된다. 즉, 상기 오링(20')이 지지되는 방향과 상기 오링(20')이 가압되는 방향이 일치하므로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공간(31a)으로 유입된 수분은 상기 배수홀(31b)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23)으로 이동하고, 상기 내부공간(23)으로 유입된 수분은 상기 배수경사(23a)를 타고 상기 배수채널(23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홀(31b)은 상기 배수채널(23b)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접촉공간(31a)에 유입된 수분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피메일커넥터 10 : 외부하우징
10' : 삽입홀 11 : 씰안착부
20 : 내부하우징 20' : 오링
21 : 베이스 21' : 관통홀
22 : 내벽 22' : 가림단
23 : 내부공간 23a : 배수경사
23b : 배수채널 24 : 안착그루브
25 : 씰안착단 30 : 단자조립체
31 : 내측단자 31a : 접촉공간
31b : 배수홀 31' : 다접점스프링
32 : 외측단자

Claims (11)

  1.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에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내벽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내측단자와,
    상기 내벽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외측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배수채널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배수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단자에는 상대커넥터의 단자가 수용되는 접촉공간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은 상기 배수경사의 일단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홀과 상기 배수경사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채널은 상기 내벽과 인접하여 상기 내벽이 형성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고전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채널은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공간과 연통되는 고전압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채널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한 쪽은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공간과 연통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안착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단자는 상기 내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안착그루브에 안착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는 상기 내벽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림단이 형성되는 고전압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삽입홀의 중심을 향해 씰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씰안착부가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 씰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씰안착단과 씰안착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고전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씰안착단 및 씰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과 상기 내부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이 평행한 고전압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27942A 2019-10-15 2019-10-15 고전압 커넥터 KR10223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42A KR102232824B1 (ko) 2019-10-15 2019-10-15 고전압 커넥터
PCT/KR2019/013784 WO2021075616A1 (ko) 2019-10-15 2019-10-18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42A KR102232824B1 (ko) 2019-10-15 2019-10-15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824B1 true KR102232824B1 (ko) 2021-03-26

Family

ID=7525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42A KR102232824B1 (ko) 2019-10-15 2019-10-15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2824B1 (ko)
WO (1) WO202107561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0695A1 (en) * 2004-01-12 2006-10-26 Kirstin Mattern Plug-and-socket connection device
US20070141904A1 (en) * 2005-12-19 2007-06-21 Toshiaki Hayashi Waterproof connector
KR200467833Y1 (ko) 2011-12-12 2013-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노이즈 저감 고전압 커넥터
KR20170123143A (ko) * 2016-04-28 2017-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US20180375249A1 (en) * 2017-06-21 2018-12-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connector
JP2019160809A (ja) * 2019-06-27 2019-09-19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0695A1 (en) * 2004-01-12 2006-10-26 Kirstin Mattern Plug-and-socket connection device
US20070141904A1 (en) * 2005-12-19 2007-06-21 Toshiaki Hayashi Waterproof connector
KR200467833Y1 (ko) 2011-12-12 2013-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노이즈 저감 고전압 커넥터
KR20170123143A (ko) * 2016-04-28 2017-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US20180375249A1 (en) * 2017-06-21 2018-12-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connector
JP2019160809A (ja) * 2019-06-27 2019-09-19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616A1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6736B (zh) 屏蔽连接器
US10290969B2 (en) Sealing element, seal assembly and receptacle
KR100715963B1 (ko) 차폐 커넥터와, 그 커넥터를 차폐 전도체 경로에 접속하는방법
US10381785B2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ed cable with connector
US5399103A (en)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batteries
US8764486B2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hielded connector
US8251748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vity sealing plug
US10321594B2 (en) Electric protective cover and receptacle
US20100258157A1 (en) Watertight connecto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10348020B2 (en) Receptacle housing and receptacle
US10263356B2 (en) Secondary lock and receptacle
JP4837025B2 (ja) プラグハウジング及び駆動電力伝送用電気プラグ
US20180331463A1 (en) Receptacle housing and receptacle
US20130017714A1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KR101759529B1 (ko) 고접압 커넥터
US20160268738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 contact
KR102232824B1 (ko) 고전압 커넥터
EP2879198A1 (en) Battery assembly internal connection device
KR101283620B1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CN208401204U (zh) 电连接器
KR20120047040A (ko)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터미널
US20210086632A1 (en) Housing for a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JP200434950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配線構造
KR102222217B1 (ko) 고전압 커넥터
CN214797866U (zh) 一种板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