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529B1 - 고접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접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529B1
KR101759529B1 KR1020150190319A KR20150190319A KR101759529B1 KR 101759529 B1 KR101759529 B1 KR 101759529B1 KR 1020150190319 A KR1020150190319 A KR 1020150190319A KR 20150190319 A KR20150190319 A KR 20150190319A KR 101759529 B1 KR101759529 B1 KR 10175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hield plate
support ring
shie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581A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5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미널삽입구(12)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삽입되고 터미널(T1)수납부가 형성된 이너하우징(15)과, 상기 터미널삽입구(12)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하우징(1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대물(T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T1)과, 상기 터미널(T1)에 연결된 와이어(W)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W)의 쉴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서포트링(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쉴드플레이트(40)가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링(30)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탄성편(45)이 돌출되어 상기 서포트링(30)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10)의 터미널삽입구(12)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싱(10)과 통전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방수시일(50)에 의해 상기 터미널삽입구(12) 내측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쉴드부재의 후방에 위치한 방수시일(50)이 상기 쉴드부재를 커넥터 케이싱(10)의 외면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 밀착시키므로 쉴드부재와 케이싱(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고접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케이싱 및 와이어의 서포트링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쉴드플레이트가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다양한 세기의 전압에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모터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이 사용되므로, 고전압용 커넥터가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전압용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는 심선을 둘러싸는 내부절연층과 와이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절연층의 사이에 접지를 위한 쉴드선이 있다.
이와 같은 쉴드선은 터미널과 와이어가 연결될 때, 상기 와이어와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커넥터의 내부에 있는 쉴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쉴드선은 상기 터미널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와이어의 선단에서 서포트링과 클림프링의 사이에 선단부분이 압착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쉴드부재는 금속재질의 커넥터 케이싱에 접촉됨과 동시에 와이어에 구비된 서포트링에 접촉되어 접지되어야 하는데, 외부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쉴드부재가 커넥터의 금속재질 케이싱에 정확하게 접촉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쉴드부재를 케이싱에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쉴드부재가 케이싱을 감쌈과 동시에 와이어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쉴드부재가 차지하는 부피나 면적이 매우 커지는 문제점과, 쉴드부재가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수분에 의해 부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53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를 위한 쉴드플레이트가 방수시일에 의해 하우징의 케이싱 방향으로 강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쉴드플레이트와 와이어의 서포트링 사이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쉴드플레이트가 커넥터 케이싱의 방수영역 내측에서 쉴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삽입구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고 터미널수납부가 형성된 이너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삽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쉴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서포트링과, 상기 서포트링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탄성편이 돌출되어 상기 서포트링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터미널삽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싱과 통전되는 쉴드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삽입구에 밀착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쉴드플레이트가 상기 터미널삽입구 주변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방수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플레이트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플레이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삽입구에 대응되는 형상의 쉴드몸체와, 상기 플레이트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서포트링에 탄성접촉되는 탄성편과, 상기 쉴드몸체의 외면에 상기 터미널삽입구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 외면을 향해 돌출되는 접지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다수개가 상기 플레이트홀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 외팔보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수시일에는 상기 쉴드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돌부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에는 다수개의 플레이트홀 및 탄성편이 구비되어 다수개의 와이어에 결합가능하다.
상기 케이싱의 터미널삽입구 내측에는 상기 쉴드플레이트 보다 폭이 좁은 구획벽이 구비되어,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양쪽은 상기 구획벽과 상기 방수시일 사이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접지돌부는 엠보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구획벽에 밀착되고, 상기 방수시일에 구비된 가압돌부는 상기 접지돌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돌부 후방을 가압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접압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쉴드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한 방수시일이 상기 쉴드플레이트를 커넥터 케이싱의 내측으로 강하게 밀어 밀착시키므로 쉴드플레이트와 케이싱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쉴드플레이트에 구비된 탄성편이 와이어에 결합된 서포트링과 탄성접촉함에 따라 쉴드플레이트와 서포트링 사이의 전기적 연결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쉴드플레이트에 의한 접지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쉴드플레이트가 커넥터 케이싱의 방수영역 내에 위치하므로 부식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또한 방수영역 내에서 작은 면적만을 차지하므로 전체 구조의 간소화와 함께 쉴드부재의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하부커버가 분리된 상태로 하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서포트링 및 쉴드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쉴드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케이싱(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알루미늄 소재를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하여 만들어진다. 즉, 상기 케이싱(10)은 통전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케이싱(10)은 후술할 쉴드플레이트(40)를 통해 접지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에는 이너하우징(15)이 설치된다. 상기 이너하우징(15)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후술할 터미널(T1)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하우징(15)에는 이너홀(15')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하우징(15)에는 상대물(T2)이 삽입되는 상대결합홀(17)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대결합홀(17)은 상기 이너홀(15')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T1)과 결합되는 방향 및 상대물(T2)과 결합되는 방향은 서로 다르다. 여기서 상대물(T2)은 상대터미널(T1)을 포함하는데, 도 3에는 상대터미널(T1)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는 터미널삽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구(12)는 상기 케이싱(10) 일측이 개구된 것으로, 이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T1) 뿐 아니라, 쉴드플레이트(40), 방수시일(50) 및 시일홀더(6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구(12)는 대략 탄원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삽입구(12) 내측에는 구획벽(13)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벽(13)은 상기 터미널삽입구(12) 내측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와이어(W) 및 터미널(T1)은 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벽(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쉴드플레이트(40)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쉴드플레이트(40)나 방수시일(50)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19)가 조립되는데, 상기 하부플레이트(19)는 상기 수납공간(11)을 차페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9)에는 탄성변형가능한 체결돌기(19)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19')가 케이싱(10)의 브라켓(18)에 형성된 브라켓홀(18')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구(12)에는 터미널(T1) 및 와이어(W)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T1)에 연결된 와이어(W)의 외면에는 서포트링(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서포트링(30)은 상기 터미널(T1)에 연결된 와이어(W)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W)의 쉴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포트링(30)의 일측에는 압착링(38)이 구비되는데, 상기 압착링(38)이 압착되어 서포트링(30)이 와이어(W)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포트링(30)은 상기 와이어(W)의 선단에서 내부절연층이 드러나도록 소정 구간이 제거된 외부절연층의 선단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쉴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서포트링(30)에는 중심부에 돌출된 돌출리브(32)가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리브(32)는 쉴드플레이트(40)의 플레이트홀(41') 가장자리에 걸려 쉴드플레이트(40)와의 결합정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착링(38)은 와이어(W)의 쉴드선의 선단이 서포트링(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링(30)의 외면을 둘러싸 압착됨으로써, 서포트링(30)이 와이어(W) 외면에 강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삽입구(12)에는 쉴드플레이트(40)가 삽입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터미널삽입구(12) 내측에서 상기 케이싱(10)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서포트링(30)과 접촉하여 이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쉴드플레이트(40)를 통해 케이싱(10)과 와이어(W)의 쉴드선이 서로 통전되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쉴드몸체는 대략 판상으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두 개의 플레이트홀(41')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홀(41')을 통해 와이어(W)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에는 측면부(47)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부(47)는 상기 터미널삽입구(12) 내면에 지지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플레이트홀(41') 내측에는 탄성편(45)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45)은 상기 서포트링(30)의 외면에 탄성접촉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편(45)은 대략 외팔보형태로 구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편(45)은 상기 플레이트홀(41')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45)이 상기 서포트링(30)과 접촉하여 실질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쉴드플레이트(40)에는 접지돌부(46)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돌부(46)는 상기 쉴드플레이트(40)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삽입구(12)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의 구획벽(13) 외면(13')을 향해 돌출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지돌부(46)는 엠보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돌부(46)는 상기 쉴드플레이트(40)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접지돌부(46)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형성된 구획벽(13)의 외면(13')에 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삽입구(12)에는 방수시일(50)이 삽입된다. 상기 방수시일(50)은 상기 터미널삽입구(12)에 삽입되어 외부의 수분이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시일(50)은 고무와 같이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측면에는 방수리브(52)가 돌출되어 터미널삽입구(12)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일(50)에는 시일홀(51)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T1)과 와이어(W)가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일(50)의 외면 중에서 터미널삽입구(12)를 향한 면에는 가압돌부(55)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돌부(55)는 상기 쉴드플레이트(4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쉴드플레이트(40)를 상기 구획벽(13)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밀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시일(50)에 구비된 가압돌부(55)는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접지돌부(46)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돌부(46) 후방을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시일(50)의 후방에는 시일홀더(60)가 구비된다. 상기 시일홀더(60)는 상기 방수시일(50)의 후방에 해당하는 터미널삽입구(12) 입구측에 위치하여 방수시일(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시일홀더(60)에는 홀더홀(61)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W)를 통과시키며, 몸체 가장자리에는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부(62)가 구비되는데, 상기 확장부(62)는 방수시일(50)을 밀어주는 부분이며,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플레이트(7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삽입구(12)에는 고정플레이트(7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0)는 체결구(78)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10) 일측에 구비된 체결부(16)에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구(78)는 체결부(16)의 체결홀(16')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0)는 상기 시일홀더(60)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시일홀더(60) 내측에 위치한 방수시일(50) 및 쉴드플레이트(40)의 분리도 함께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0)에는 하나의 관통홀(71)이 형성되어 와이어(W)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케이싱(10)의 수납공간(11)에는 이너하우징(15)이 조립되고, 하부플레이트가 케이싱(10)에 조립된 상태이다. 먼저, 와이어(W)에는 터미널(T1)이 결합되고, 와이어(W)에는 서포트링(30)이 조립되는데 서포트링(30)은 와이어(W)의 내부절연층이 드러나도록 소정 구간이 제거된 외부절연층의 선단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쉴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서포트링(30)의 일부를 감싸는 압착링(38)이 압착되면 서포트링(30)은 와이어(W)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W)를 터미널삽입구(12)를 통해 수납공간(11) 내측으로 삽입시키는데, 이때 이미 상기 터미널삽입구(12)에는 쉴드플레이트(40), 방수시일(50) 및 시일홀더(6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이다. 그리고, 시일홀더(60)의 후방에는 고정플레이트(70)가 결합되어 시일홀더(60)를 지지하게 된다. 고정플레이트(70)는 고정구를 통해 터미널삽입구(12) 주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상기 방수시일(50)의 전방에 위치하되, 쉴드플레이트(40)의 전면에는 케이싱(10)의 구획벽(13)이 가로막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상기 구획벽(13)과 방수시일(50) 사이에 끼워진 형태가 되는데, 상기 방수시일(50)은 시일홀더(60)가 밀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방수시일(50)은 일종의 지지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방수시일(50)을 구획벽(13) 방향으로 강하게 밀게 된다. 즉,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방수시일(50)이 쉴드플레이트(40)를 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구획벽(13)의 외면(13')에 강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케이싱(10)과 쉴드플레이트(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방수시일(50)에 구비된 가압돌부(55)는 쉴드플레이트(40)를 강하게 밀어주고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쉴드플레이트(40)에 구비된 접지돌부(46)는 구획벽(13)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획벽(13)과의 접촉부분이 접지돌부(46)에 집중되고, 따라서 더욱 강하고 안정적인 연결이 쉴드플레이트(40)와 구획벽(13) 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커넥터 케이싱(10)의 방수영역 내에 위치하므로 부식에 대한 염려가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터미널삽입구(12)에 터미널(T1) 및 와이어(W)가 삽입된다. 터미널(T1) 및 와이어(W)가 상기 방수시일(50)을 통과하고, 이어서 쉴드플레이트(40)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W)에 구비된 서포트링(30)이 쉴드플레이트(40)에 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플레이트홀(41')을 와이어(W)가 통과하면 상기 쉴드플레이트(40)는 서포트링(30) 주변으로 이동되고, 상기 서포트링(30)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쉴드플레이트(40)의 탄성편(45)이 서포트링(30)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편(45)은 탄성력으로 상기 서포트링(30) 외면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별도의 체결구(78)나 결합구조 없이도 탄성편(45) 자체의 탄성력으로 쉴드플레이트(40)와 서포트링(30) 사이가 강하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터미널(T1)은 상기 이너하우징(15)의 이너홀(15')을 통과하여 이너하우징(15) 내부에 수납된 후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10)이 차량의 내부에 고정된 후에 상대물(T2)이 결합되는데, 상대물(T2)은 상기 터미널(T1)과 연결된다. 물론 상대물(T2)이 이미 설치된 부분에 상기 케이싱(10)이 체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대물(T2)과 터미널(T1)이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는 앞서 설명한 순서와 달리 조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W)의 외면에 서포트링(30) 및 압착링(38)이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W)에 고정플레이트(70), 시일홀더(60), 방수시일(50) 및 쉴드플레이트(40)가 각각 끼워져 가조립된 후에 그 전체가 함께 터미널삽입구(12)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물론 마지막에는 체결구(78)를 통해 고정플레이트(70)가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방식은 작업자가 쉴드플레이트(40)와 서포트링(30)을 터미널삽입구(12) 외측에서 보다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조립공수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조립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40)가 서포트링(30)과 연결됨과 동시에 케이싱(10)에도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와이어(W)->쉴드플레이트(40)->케이싱(10) 순으로 전류가 흘러 최종적으로 접지됨으로써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30: 서포트링
40: 쉴드플레이트 50: 방수시일
60: 시일홀더 70: 고정플레이트

Claims (7)

  1. 터미널삽입구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고 터미널수납부가 형성된 이너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삽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쉴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서포트링과,
    상기 서포트링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탄성편이 돌출되어 상기 서포트링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터미널삽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싱과 통전되는 쉴드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삽입구에 밀착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쉴드플레이트가 상기 터미널삽입구 내측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방수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플레이트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플레이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삽입구에 대응되는 판상을 갖는 쉴드몸체와, 상기 플레이트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서포트링에 탄성접촉되는 탄성편과, 상기 쉴드몸체의 외면에 상기 터미널삽입구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 외면을 향해 돌출되는 접지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다수개가 상기 플레이트홀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 외팔보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수시일에는 상기 쉴드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돌부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고전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에는 다수개의 플레이트홀 및 탄성편이 구비되어 다수개의 와이어에 결합가능한 고전압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터미널삽입구 내측에는 상기 쉴드플레이트 보다 폭이 좁은 구획벽이 구비되어,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양쪽은 상기 구획벽과 상기 방수시일 사이에 각각 밀착되는 고전압 커넥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접지돌부는 엠보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구획벽에 밀착되고, 상기 방수시일에 구비된 가압돌부는 상기 접지돌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돌부 후방을 가압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50190319A 2015-12-30 2015-12-30 고접압 커넥터 KR10175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19A KR101759529B1 (ko) 2015-12-30 2015-12-30 고접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19A KR101759529B1 (ko) 2015-12-30 2015-12-30 고접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81A KR20170079581A (ko) 2017-07-10
KR101759529B1 true KR101759529B1 (ko) 2017-07-19

Family

ID=5935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19A KR101759529B1 (ko) 2015-12-30 2015-12-30 고접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6971B (zh) * 2018-07-02 2020-11-24 上海微小卫星工程中心 一种电缆屏蔽装置
KR102270012B1 (ko) * 2019-11-19 2021-06-28 주식회사 유라 일괄차폐 커넥터
KR102270739B1 (ko) * 2019-12-30 2021-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폐 커넥터
CN112636064B (zh) * 2020-12-01 2022-09-30 合肥巨一动力系统有限公司 一种电驱动系统高压连接器结构
KR102514271B1 (ko) * 2021-01-25 2023-03-27 주식회사 유라 차폐 통합 커넥터
WO2022191579A1 (ko) * 2021-03-11 2022-09-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88B1 (ko) * 2011-11-18 2013-04-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88B1 (ko) * 2011-11-18 2013-04-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8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529B1 (ko) 고접압 커넥터
CN110011085B (zh) 端子零件
KR101938932B1 (ko) 전기 커넥터
JP577109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31001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2515386B1 (en) Insulating structure of l-shaped terminal
US9106066B2 (en) Wire fixing member
CN110235319B (zh) 屏蔽端子
US20120100753A1 (en) L-shaped connector
CN110235318B (zh) 屏蔽端子
US20120034817A1 (en) Shielded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CN102832510A (zh) 屏蔽连接器
KR101348158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20160268738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 contact
JP5585106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500543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229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0021846B (zh) 屏蔽连接器以及线束
CN110651402B (zh) 电连接器
JP5913194B2 (ja) コネクタ
JP423449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499819B1 (ko) 커넥터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783853B1 (ko) 고전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