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1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19B1
KR102499819B1 KR1020150181327A KR20150181327A KR102499819B1 KR 102499819 B1 KR102499819 B1 KR 102499819B1 KR 1020150181327 A KR1020150181327 A KR 1020150181327A KR 20150181327 A KR20150181327 A KR 20150181327A KR 102499819 B1 KR102499819 B1 KR 10249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ield member
coupled
shield
extens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756A (ko
Inventor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1)와 결합되는 결합몸체(12) 및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11)로 구성되는 메인하우징(10)과, 상기 메인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연장몸체(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연장몸체(11)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레버하우징(30)과,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결합몸체(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에 수납되는 터미널과, 쉴드어셈블리(27,28,38)를 포함한다. 상기 쉴드어셈블리(27,28,38)는 상기 메인하우징(10) 및 레버하우징(30)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R2) 및 상대커넥터(1)의 쉴드수단에 접촉되고 상기 레버하우징(30)이 상기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하우징(10)에 의해 와이어(W)가 직교한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직교한 방향으로 안내하고, 쉴드어셈블리를 통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신호와 전원을 부품들에 전달하거나 부품들 사이에서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최근에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중에 고전압용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는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터미널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기존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부품에 비하여 고용량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고전압용 커넥터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후에,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특정한 방향으로 연장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전압용 커넥터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그 두께가 두꺼워 자동차의 내부에서 와이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커넥터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꺾어 연장할 경우 커넥터 및 와이어가 차지하는 전체 부피가 증가하여 설치공간 역시 많이 필요하게 되며, 자칫 주변의 다른 부품과 간섭되어 와이어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고전압용 커넥터가 자동차의 내벽에 가까운 위치나 다른 부품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커넥터의 후방에 공간이 작은 경우에는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커넥터로부터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꺾어 가이드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와이어의 방향을 급격하게 꺾어 연장시키더라도 와이어가 원형으로 복원되려는 힘이 강하므로 와이어가 연장된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형상을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앵글타입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으로 인해서 상당히 많은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쉴드쉘(shield shell)을 적용해야 하지만, 커넥터를 앵글타입으로 설계할 경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상 쉴드쉘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커넥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커넥터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쉴드쉘을 적용할 수 있는 커넥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0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커넥터 및 와이어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에 쉴드쉘을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몸체 및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로 구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연장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연장몸체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레버하우징과,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결합몸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에 수납되는 터미널과, 상기 메인하우징 및 레버하우징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 및 상대커넥터의 쉴드수단에 접촉되고 상기 레버하우징이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는 쉴드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쉴드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결합몸체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대커넥터의 쉴드수단과 연결된다.
상기 쉴드어셈블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결합몸체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을 감싸는 제1쉴드부재와, 일부는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연장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과 접촉되는 제2쉴드부재와, 상기 레버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하우징이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통전시키는 제3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는 상기 제2쉴드부재의 일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는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과 탄성접촉하기 위한 링접촉편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쉴드부재의 측면부 및 제2쉴드부재의 측면부에는 각각 제1접촉편 및 제2접촉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3쉴드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연장몸체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버하우징이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접촉편 및 제2접촉편에 탄성접촉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에는 내부하우징이 구비되어 상기 제2쉴드부재는 상기 내부하우징과 연장몸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쉴드부재의 링접촉편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회피홈을 통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과 접촉된다.
상기 레버하우징에는 보조하우징이 결합되어 상기 제3쉴드부재는 상기 레버하우징과 보조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3쉴드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연장몸체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편 및 제2접촉편을 향해 노출된다.
상기 내부하우징 및 보조하우징에는 서로 대응되는 터미널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쉴드어셈블리의 제3쉴드부재와 상기 보조하우징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리브와 결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하우징에는 체결돌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보조하우징의 상부에는 체결돌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일정구간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외면에 결합되는 서포트링과, 상기 서포트링에 결합되고 클램핑되어 상기 와이어의 차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쉴드링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 및 이에 결합된 레버하우징의 후방에는 리어홀더가 결합되어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연장몸체와 레버하우징 사이를 결합시킨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 및 레버하우징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걸어지는 체결후크가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하우징에 의해 와이어가 직교한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 및 공간활용도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와이어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된 쉴드어셈블리는 커넥터의 구조에 따라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레버하우징의 결합을 통해 이들 사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효과적인 전자파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리어홀더는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하우징과 메인하우징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역할도 하므로 커넥터의 사용과정에서 레버하우징이 임의로 분리되는 위험을 줄여 조립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가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주요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레버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가 조립되는 과정을 각각 보인 조립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미널과 와이어(W)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터미널은 상대커넥터(1)에 구비된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대터미널로부터 전기전 신호를 전달받아 와이어(W)를 통해 다른 부품으로 그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다른 부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터미널은 암터미널로 구성되나, 수터미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은 대략 'ㄱ'자 형태로 구성되는데, 그 일부인 제1몸체(T1)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하우징(10)의 결합몸체(12)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인 제2몸체(T2)는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연장몸체(11)에 설치된 터미널의 제2몸체(T2)의 일단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W)는 상기 터미널의 제2몸체(T2)와 함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W)에는 전자파의 차단을 위한 쉴드부가 내장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와이어(W)는 전기신호나 전원의 전달을 위한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1차피복, 1차피복을 감싸고 전자파 차단기능을 수행하는 차폐부, 차폐부를 감싸는 2차피복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의 제2몸체(T2)는 상기 코어에 연결된다.
상기 제2몸체(T2) 및 와이어(W)의 연결부위에는 서포트링(R1)과 쉴드링(R2)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링(R1)은 와이어(W)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링(R1)에는 쉴드링(R2)이 결합된다. 상기 쉴드링(R2)은 공구 등에 의해 클램핑되어 상기 와이어(W)의 차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쉴드링(R2)은 아래에서 설명될 쉴드어셈블리(27,28,38)와 접촉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전자파 차폐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메인하우징(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은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절연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은 상기 터미널과 마찬가지로 대략 'ㄱ'자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대커넥터(1)와 결합되는 결합몸체(12) 및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11)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12)는 상대커넥터(1)를 향한 것으로, 상부에는 체결레버(1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13)는 상대커넥터(1)의 체결수단과 결합되어 커넥터와 상대커넥터(1)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70은 레버고정구로, 상기 체결레버(13)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커넥터가 상대커넥터(1)와 결합된 후에 상기 레버고정구(70)가 체결레버(13) 하방으로 삽입되면 체결레버(13)가 임의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두 커넥터 사이의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대커넥터(1)와 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결합몸체(12)는 상대커넥터(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결합몸체(1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 커넥터의 결합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결합몸체(12)의 외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쉴드어셈블리(27,28,38)의 제1쉴드부재(27)와 제2쉴드부재(28)의 일부가 안착되어 상대커넥터(1)의 쉴드수단(미도시)과 접촉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는 상기 결합몸체(12)에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연장몸체(11)의 내부에는 터미널의 제2몸체(T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장몸체(11)의 내부에는 구획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부(15)는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구획하여 이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획부(15)는 총 2개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연장몸체(11)의 외면에는 제1결합돌기(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4)는 상기 연장몸체(11)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제1결합돌기(14)에는 리어홀더(5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리어홀더(50)의 결합후크가 걸어진다. 참고로 리어홀더(50)의 결합후크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측방후크(54)는 상기 제1결합돌기(14)에 걸어지고 전방후크(53)는 레버하우징(30)의 제2결합돌기(33)에 걸어진다.
상기 연장몸체(11)에는 체결슬릿(1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슬릿(16)은 상기 연장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몸체(12) 방향으로 관통되는 얇은 틈 형태인데, 상기 체결슬릿(16)에는 쉴드어셈블리(27,28,38)의 제1쉴드부재(27)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슬릿(16)을 통해 삽입된 제1쉴드부재(27)의 일부는 상기 결합몸체(12)의 외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몸체(12)의 외면에 노출된 제1쉴드부재(27)는 상대커넥터(1)와 결합 시에 상대커넥터(1)의 쉴드수단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연장몸체(11)의 외면에는 회전돌기(18)가 돌출된다. 상기 회전돌기(18)는 상기 연장몸체(11)의 양측에 돌출되어 레버하우징(30)의 회전홀(36)에 끼워져, 레버하우징(30)의 회전축이 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전돌기(18)는 연장몸체(11)의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돌기(18)가 레버하우징(30)에 구비되고 연장몸체(11)에 회전홀(3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몸체(11)에는 내부하우징(20)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은 상기 연장몸체(11)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메인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하우징(20)은 터미널의 제2몸체(T2)를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하우징(20)에는 제1터미널안착홈(21)이 터미널의 제2몸체(T2)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은 아래에서 설명될 쉴드어셈블리(27,28,38)의 제2쉴드부재(28)가 터미널을 향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2쉴드부재(28)가 상기 내부하우징(20)과 연장몸체(11)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제2쉴드부재(28)가 터미널의 제2몸체(T2)를 향해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2쉴드부재(28)와 터미널 사이의 절연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보듯이, 제2쉴드부재(28)의 대부분은 내부하우징(20)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고,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만이 내부하우징(2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20)에는 회피홈(22)이 형성된다. 상기 회피홈(22)은 상기 내부하우징(20)의 제1터미널안착홈(21) 하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피홈(22)을 통해 제2쉴드부재(28)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피홈(22)을 통해 제2쉴드부재(28)의 링접촉편(28a)이 돌출되고, 링접촉편(28a)이 와이어(W)에 차폐부와 결합된 쉴드링(R2)과 탄성접촉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이에 결합되는 레버하우징(30)에는 쉴드어셈블리(27,28,38)가 설치된다. 상기 쉴드어셈블리(27,28,38)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됨으로써 커넥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쉴드어셈블리(27,28,38)는 레버하우징(30)이 상기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쉴드어셈블리(27,28,38)를 구성하는 제1쉴드부재~제3쉴드부재(27,28,38) 중에서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되는 제1쉴드부재(27) 및 제2쉴드부재(28)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쉴드부재(27)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결합몸체(12)에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쉴드부재(27)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의 체결슬릿(16)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결합몸체(1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쉴드부재(27)는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수행하는데, 도 1에서 보듯이 평판의 몸체 양측에 절곡된 형상의 측면부를 갖는다. 도면부호 27b는 상기 제1쉴드부재(27)를 결합몸체(12)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이다.
상기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에는 제1접촉편(27a)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접촉편(27a)은 상기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에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접촉편(27a)은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에 탄성접촉하여 제3쉴드부재(38)와 제1쉴드부재(27)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접촉편(27a)은 레버하우징(30)이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레버하우징(30) 측에 설치된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와 자연스럽게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접촉편(27a)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에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쉴드부재(27)의 하부에는 제2쉴드부재(28)가 위치하는데, 상기 제2쉴드부재(28)는 상기 연장몸체(1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28)는 제1쉴드부재(27)와 마찬가지로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수행하는데, 도 1에서 보듯이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의 몸체를 갖는다. 그리고, 그 중 상부의 몸체 양측과 하부의 몸체에는 각각 쉴드고정편(28c, 28d)이 구비되어 연장몸체(11) 및 결합몸체(12)의 내부에 걸어진다.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하부 몸체에는 링접촉편(28a)이 돌출된다. 상기 링접촉편(28a)은 상기 제2쉴드부재(28)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하우징(20)의 회피홈(22)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링접촉편(28a)은 회피홈(22)을 통해 돌출되고, 링접촉편(28a)이 와이어(W)에 차폐부와 결합된 쉴드링(R2)과 탄성접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링접촉편(28a)은 탄성변형가능한 외팔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하부 몸체 양측에는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가 구비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28)가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에 조립되면,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는 상기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다수개의 제2접촉편(28b)이 구비된다. 상기 제2접촉편(28b)은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에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접촉편(28b)은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에 탄성접촉하여 제3쉴드부재(38)와 제2쉴드부재(2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접촉편(28b)은 레버하우징(30)이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레버하우징(30) 측에 설치된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와 자연스럽게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접촉편(28b)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에 총 6개가 구비된다.
한편, 레버하우징(30)이 상기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상기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 및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에 각각 구비된 제1접촉편(27a) 및 제2접촉편(28b)은 레버하우징(30) 측에 구비된 제3쉴드부재(38)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쉴드부재(27)와 제2쉴드부재(28)는 제3쉴드부재(38)를 통해 서로 통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하우징(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레버하우징(30)은 상기 메인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연장몸체(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레버하우징(30)은 상기 연장몸체(11)에 결합되어 연장몸체(11)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와이어(W)가 하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물론 터미널 및 와이어(W)의 조립 작업시에는 연장몸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연장몸체(11)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하우징(30)의 레버몸체(31)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레버하우징(30)의 하부 외면에는 제2결합돌기(33)가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33)는 리어홀더(50)의 전방후크(53)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레버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레버하우징(30)의 상부 양측에는 회전편(35)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편(35)에는 회전홀(3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홀(36)은 연장몸체(11)의 회전돌기(18)와 결합하여 레버하우징(30)이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몸체(11)의 내부를 향한 상기 레버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체결돌부(3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부(37)는 대략 'T'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조하우징(40)의 체결홈(48')에 삽입되어 레버하우징(30)과 보조하우징(4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돌부(37)에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헤드부(37')가 보조하우징(40)의 체결홈(48')에 걸어진다.
상기 레버하우징(30)에는 제3쉴드부재(38)가 결합된다. 상기 제3쉴드부재(38)는 상기 제1쉴드부재(27) 및 제2쉴드부재(28)와 마찬가지로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수행하는데, 도 4에서 보듯이 평판구조의 몸체 양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측면부를 갖는다. 상기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는 상기 레버하우징(30)이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 및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에 각각 접촉하여 이들과 통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는 제1쉴드부재(27)의 제1접촉편(27a) 및 제2쉴드부재(28)의 제2접촉편(28b)에 각각 탄성접촉한다.
상기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에는 결합리브(38c)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리브(38c)는 상기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조하우징(40)의 결합채널(45)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리브(38c)는 결합채널(45)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보조하우징(40)과 제3쉴드부재(38) 사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에는 쉴드체결편(38a)이 구비된다. 상기 쉴드체결편(38a)은 외팔보형태로 돌출되어 보조하우징(40)의 체결공(43)에 걸어진다. 상기 쉴드체결편(38a) 및 체결공(43)은 제3쉴드부재(38)와 보조하우징(40) 사이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쉴드부재(38)에는 도피홀(38b)이 형성되는데, 상기 도피홀(38b)은 상기 레버하우징(30)의 체결돌부(3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립과정에서 제3쉴드부재(38)는 레버하우징(30)의 내면 측에 조립되는데, 상기 도피홀(38b)을 통해 레버하우징(30)의 체결돌부(37)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돌부(37)가 보조하우징(40)의 체결홈(4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버하우징(30)에는 보조하우징(40)이 결합된다. 상기 보조하우징(4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보조하우징(40)은 상기 내부하우징(20)과 마주보면서 상기 터미널의 제2몸체(T2)를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하우징(40)에는 상기 내부하우징(20)의 제1터미널안착홈(21)에 대응되는 제2터미널안착홈(41)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하우징(40)의 측면에는 체결공(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3)에는 제3쉴드부재(38)의 쉴드체결편(38a)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체결공(43)은 보조하우징(40)의 양측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보조하우징(40)의 측면에는 결합채널(4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45)은 상기 보조하우징(40)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에 구비된 결합리브(38c)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리브(38c)는 결합채널(45)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보조하우징(40)과 제3쉴드부재(38) 사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하우징(40)의 상부에는 체결홈(48')이 일정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8')에는 상기 레버하우징(30)의 체결돌부(37)가 삽입되는데, 상기 체결돌부(37)의 삽입을 위해 상기 체결홈(48')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체결홈(48')의 폭은 상기 체결돌부(37)의 헤드부(37') 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돌부(37)가 걸릴 수 있다.
상기 보조하우징(40)은 제3쉴드부재(38)가 터미널을 향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3쉴드부재(38)가 상기 보조하우징(40)과 레버하우징(30)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제3쉴드부재(38)가 터미널의 제2몸체(T2)를 향해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3쉴드부재(38)와 터미널 사이의 절연이 가능하다. 보조하우징(40)이 레버하우징(30)에 결합되면, 도 12에서 보듯이, 제3쉴드부재(38)의 대부분은 보조하우징(40)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고,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만이 보조하우징(4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이 제1쉴드부재(27) 측면부(27') 및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에 각각 구비된 제1접촉편(27a) 및 제2접촉편(28b)에 접하게 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 및 레버하우징(30)의 하부에는 리어홀더(50)가 조립된다. 상기 리어홀더(50)는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연장몸체(11)와 레버하우징(3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홀더(50)에는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몸체(11)의 제1결합돌기(14) 및 레버하우징(30)의 제2결합돌기(33)에 걸어진다. 상기 체결후크는 전방후크(53), 측방후크(54) 및 후방후크(55)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57'는 통과홀로서, 상기 와이어(W)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3에는 커넥터의 조립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도 5와 같이 메인하우징(10)이 준비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레버하우징(30), 내부하우징(20), 제1쉴드부재(27), 제2쉴드부재(28) 및 터미널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이들 부품이 차례로 결합된다.
도 6에는 제1쉴드부재(27)가 메인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제1쉴드부재(27)는 상기 연장몸체(11)에는 체결슬릿(16)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쉴드부재(27)의 일부는 상기 결합몸체(12)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몸체(12)를 감싸게 된다. 또한,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는 연장몸체(11)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6에서 보듯이,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에 구비된 제1접촉편(27a)은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쉴드부재(28)가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에 결합되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28)는 'ㄱ'자 구조로 형성되어, 그 상부 몸체는 결합몸체(12) 외면으로 돌출되고, 하부 몸체는 연장몸체(11)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상부 몸체는 결합몸체(12)의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하부를 감싸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1쉴드부재(27)와 제2쉴드부재(28)에 의해 결합몸체(12)의 외면 대부분이 감싸진다.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하부 몸체는 연장몸체(11)에 위치되어 노출된 상태이므로, 터미널의 결합에 앞서 이들을 터미널과 절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몸체(11)에는 내부하우징(20)이 결합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은 상기 제2쉴드부재(28)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몸체(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쉴드부재(28)의 대부분이 가려지고,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와, 제2쉴드부재(28)의 링접촉편(28a)만이 노출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28)의 링접촉편(28a)은 내부하우징(20)의 회피홈(22)을 통해 노출되고,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는 제1쉴드부재(27)의 측면부(27')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제2쉴드부재(28)의 측면부(28')에 구비된 제2접촉편(28b)도 노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쉴드부재(27)와 제2쉴드부재(28) 사이는 아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아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하우징(10)에 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의 제1몸체(T1)는 결합몸체(12)에 고정되고, 제2몸체(T2)는 이와 직교하게 연장되어 연장몸체(11)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 상태이며, 서포트링(R1) 및 쉴드링(R2) 역시 결합된 상태이다. 참고로 도 9에는 쉴드링(R2)이 아직 압착되지 않은 상태인데, 쉴드링(R2)은 압착되어 와이어(W)의 차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터미널이 제1쉴드부재(27) 및 제2쉴드부재(28)와 접촉되는 것은 내부하우징(2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터미널이 설치되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R2)은 제2쉴드부재(28)의 링접촉편(28a)에 접촉된다. 상기 링접촉편(28a)은 상기 내부하우징(20)의 회피홈(22)을 통해 돌출된 상태이므로, 터미널이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되면 자연스럽게 링접촉편(28a)과 쉴드링(R2) 사이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레버하우징(30)이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된다. 상기 레버하우징(30)은 메인하우징(10)의 연장몸체(1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레버하우징(30)의 회전홀(36)에 연장몸체(11)의 회전돌기(18)가 끼워져 조립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레버하우징(30)에는 아직 제3쉴드부재(38) 및 보조하우징(4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나, 레버하우징(30)에 제3쉴드부재(38) 및 보조하우징(40)이 결합된 상태로 이들 조립체가 한꺼번에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하우징(30)에는 제3쉴드부재(38)가 가조립된다. 상기 제3쉴드부재(38)는 조립과정에서 제3쉴드부재(38)는 레버하우징(30)의 내면 측에 조립되는데, 상기 제3쉴드부재(38)에는 도피홀(38b)이 형성되므로, 상기 레버하우징(30)의 체결돌부(37)는 도피홀(38b)을 통해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레버하우징(30)에 보조하우징(40)이 결합된다. 상기 보조하우징(40)은 상기 제3쉴드부재(38)를 사이에 두고 레버하우징(30)에 결합됨으로써, 제3쉴드부재(38)가 노출되어 터미널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보조하우징(40)과 제3쉴드부재(38) 사이의 결합은 보조하우징(40)의 결합채널(45)에 제3쉴드부재(38)의 결합리브(38c)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보조하우징(40)과 레버하우징(30) 사이의 결합은 레버하우징(30)의 체결돌부(37)가 보조하우징(40)의 체결홈(48')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제3쉴드부재(38)의 쉴드체결편(38a)이 보조하우징(40)의 체결공(43)에 삽입되어 제3쉴드부재(38)와 보조하우징(40) 사이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하우징(30)이 회전하여 닫히면, 레버하우징(30)은 연장몸체(11)에 밀착된다. 이렇게 되면, 레버하우징(30)에 구비된 제3쉴드부재(38)의 측면부(38')가 자연스럽게 제1쉴드부재(27)의 제1접촉편(27a) 및 제2쉴드부재(28)의 제2접촉편(28b)에 탄성접촉되어 통전된다. 이에 따라 제1쉴드부재(27) 및 제2쉴드부재(28)는 제3쉴드부재(38)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제2쉴드부재(28)의 링접촉편(28a)과 와이어(W)의 쉴드링(R2) 사이가 이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제1쉴드부재(27) 내지 제3쉴드부재(38)와 와이어(W)의 차폐부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리어홀더(50)가 결합되면 터미널의 분리가 방지된다. 이때 리어홀더(50)의 측방후크(54)는 상기 제1결합돌기(14)에 걸어지고 전방후크(53)는 레버하우징(30)의 제2결합돌기(33)에 걸어짐으로써, 레버하우징(30)과 메인하우징(10) 사이의 결합도 리어홀더(5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넥터에 상대커넥터(1)가 결합되면, 상기 상대커넥터(1)의 쉴드수단이 상기 결합몸체(12) 외면에 노출된 제1쉴드부재(27) 및 제2쉴드부재(28)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1) 조립체의 쉴드부품들 전체가 통전된 상태가 되고, 와이어(W)의 차폐부가 접지되면 전자파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커넥터는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하우징(10)에 의해 와이어(W)가 직교한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W)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제1쉴드부재(27) 및 제2쉴드부재(28)가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나, 이들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홀더(50)가 생략되고, 레버하우징(30)에 조립을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메인하우징(1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10: 메인하우징 11: 연장몸체
12: 결합몸체 20: 내부하우징
27: 제1쉴드부재 28: 제2쉴드부재
30: 레버하우징 38: 제3쉴드부재
40: 보조하우징 50: 리어홀더

Claims (12)

  1.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몸체 및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로 구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연장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연장몸체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레버하우징과,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결합몸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에 수납되는 터미널과,
    상기 메인하우징 및 레버하우징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 및 상대커넥터의 쉴드수단에 접촉되고 상기 레버하우징이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는 쉴드어셈블리를 포함하하고,
    상기 쉴드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결합몸체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대커넥터의 쉴드수단과 연결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어셈블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결합몸체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을 감싸는 제1쉴드부재와,
    일부는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연장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과 접촉되는 제2쉴드부재와,
    상기 레버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하우징이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통전시키는 제3쉴드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는 상기 제2쉴드부재의 일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는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과 탄성접촉하기 위한 링접촉편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부재의 측면부 및 제2쉴드부재의 측면부에는 각각 제1접촉편 및 제2접촉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3쉴드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연장몸체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버하우징이 상기 연장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접촉편 및 제2접촉편에 탄성접촉되는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에는 내부하우징이 구비되어 상기 제2쉴드부재는 상기 내부하우징과 연장몸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쉴드부재의 링접촉편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회피홈을 통해 상기 터미널의 쉴드링과 접촉되는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하우징에는 보조하우징이 결합되어 상기 제3쉴드부재는 상기 레버하우징과 보조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3쉴드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연장몸체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편 및 제2접촉편을 향해 노출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에는 내부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하우징 및 상기 보조하우징에는 서로 대응되는 터미널안착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어셈블리의 제3쉴드부재와 상기 보조하우징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리브와 결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하우징에는 체결돌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보조하우징의 상부에는 체결돌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일정구간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외면에 결합되는 서포트링과, 상기 서포트링에 결합되고 클램핑되어 상기 와이어의 차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쉴드링이 구비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 및 이에 결합된 레버하우징의 후방에는 리어홀더가 결합되어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연장몸체와 레버하우징 사이를 결합시키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연장몸체 및 레버하우징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걸어지는 체결후크가 구비되는 커넥터.


KR1020150181327A 2015-12-17 2015-12-17 커넥터 KR10249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327A KR102499819B1 (ko) 2015-12-17 2015-12-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327A KR102499819B1 (ko) 2015-12-17 2015-12-1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56A KR20170072756A (ko) 2017-06-27
KR102499819B1 true KR102499819B1 (ko) 2023-02-15

Family

ID=5951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327A KR102499819B1 (ko) 2015-12-17 2015-12-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44424A (ja) * 2021-03-11 2023-10-2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コネクタ
WO2024075948A1 (ko) * 2022-10-05 2024-04-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830A (ja) * 2003-01-21 2004-08-12 Nichifu Co Ltd 電線コネクタ
JP2004281376A (ja) * 2003-03-12 2004-10-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5176657A (ja) * 2014-03-13 2015-10-05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56B1 (ko) 2013-10-11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쉴드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830A (ja) * 2003-01-21 2004-08-12 Nichifu Co Ltd 電線コネクタ
JP2004281376A (ja) * 2003-03-12 2004-10-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5176657A (ja) * 2014-03-13 2015-10-05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56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153B2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6939530B2 (ja) コネクタ
US7632148B1 (en)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31001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9570899B2 (en) Connector with rubber plug, retainer for retaining rubber plug and a guide formed on a rear part of the retainer for accommodating bending of wires
US9385516B2 (en) Connector
WO2017163803A1 (ja) 端子金具
CN106911045B (zh) 屏蔽连接结构
JP5307277B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1759529B1 (ko) 고접압 커넥터
JP2016149344A (ja) 自動車におけ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コネクタインサートおよびコネクタ
JP5342884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KR102499819B1 (ko) 커넥터
WO2017026251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9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270012B1 (ko) 일괄차폐 커넥터
TWI646738B (zh) 電連接器
US9203225B2 (en) Wire fixing member
JP2004319196A (ja) シールド接続構造
KR102499818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2517170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KR20210078321A (ko) 커넥터
JP5742602B2 (ja) シールド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230000228A (ko) 고전압 커넥터
KR102531942B1 (ko) 수직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