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5948A1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5948A1
WO2024075948A1 PCT/KR2023/010505 KR2023010505W WO2024075948A1 WO 2024075948 A1 WO2024075948 A1 WO 2024075948A1 KR 2023010505 W KR2023010505 W KR 2023010505W WO 2024075948 A1 WO2024075948 A1 WO 20240759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ble
fastening
housing
plug connecto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05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8185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47903A/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759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59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컨택트(400); 상기 컨택트(400)와 결합되는 절연 부재(300); 및 상기 컨택트(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절연 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부재(600)는, 상기 컨택트(400)와 접촉되어 통전되고, 제1 직경(d1)의 단면을 갖는 케이블 컨덕터(64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300)는,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가 그 높이 방향으로 가압되는 거리가 제한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상기 절연 부재(3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호 면(341); 상기 제1 보호 면(341)과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300)의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보호 면(342); 및 상기 제2 보호 면(342)과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300)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보호 면(343)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연결 및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서로 다른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를 가리킨다. 커넥터는 그 결합 방식 또는 전달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커넥터의 일 예로 RF(Radio Frequency) 커넥터를 들 수 있다. RF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RF 신호를 전달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RF 신호를 왜곡 없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에 구비되는 컨덕터(conductor)와 RF 커넥터의 다른 구성과 결합될 때 형상 변형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케이블의 컨덕터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바, 이를 RF 커넥터 내의 컨택트와 결합하기 위해 히터(heater)가 사용된다. 히터는 케이블의 심을 가압 및 가열하며 RF 커넥터의 컨택트와 케이블의 컨덕터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히터의 가압력이 과다할 경우, 케이블의 컨덕터의 형상 변형 역시 과다해져 RF 신호의 왜곡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케이블은 컨덕터 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 또한 RF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즉, 케이블이 컨덕터만에 의해 RF 커넥터와 결합될 경우, 외력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케이블과 RF 커넥터가 임의 분리될 위험이 있다.
이에, 케이블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 케이블의 컨덕터가 용이하게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311241호 (2021.10.12.)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59560호 (2019.12.27.)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18428호 (2018.1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이 다른 구성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과 상기 다른 구성 간의 통전 상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형상 변형 및 이에 따른 신호의 왜곡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과 다른 구성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컨택트(400); 상기 컨택트(400)와 결합되는 절연 부재(300); 및 상기 컨택트(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절연 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부재(600)는, 상기 컨택트(400)와 접촉되어 통전되고, 제1 직경(d1)의 단면을 갖는 케이블 컨덕터(64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300)는,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가 그 높이 방향으로 가압되는 거리가 제한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상기 절연 부재(3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호 면(341); 상기 제1 보호 면(341)과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300)의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보호 면(342); 및 상기 제2 보호 면(342)과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300)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보호 면(343)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형을 구성하며, 리셉터클 커넥터(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부재(100); 상기 하우징 부재(100)에 수용되며, 접지(ground)의 일부를 구성하는 쉘 부재(200); 상기 하우징 부재(100) 및 상기 쉘 부재(200)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부재(600); 및 상기 쉘 부재(200)와 결합되어 상기 접지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600)와 결합되는 체결 부재(70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부재(700)는, 상기 케이블 부재(600)를 높이 방향에서 덮는 체결 몸체(710); 상기 체결 몸체(710)에 둘러싸이며, 상기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쉴드(620)를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 및 상기 체결 몸체(71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와 연통되는 체결 관통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쉘 부재(200)는,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 관통부(720)와 연통되는 쉘 개구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쉘 개구부(240), 상기 케이블 쉴드(620) 및 상기 체결 관통부(720)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이 다른 구성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과 상기 다른 구성 간의 통전 상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의 형상 변형 및 이에 따른 신호의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과 다른 구성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A-A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B-B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케이블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케이블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케이블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케이블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케이블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7의 케이블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A-A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A-A 측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B-B 단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B-B 단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B'-B' 단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B'-B' 측단면도이다.
도 3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정단면도(a) 및 측단면도(b)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통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유동되며, 형상 또는 부피 등이 변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가 도시된다. 커넥터(1)는 플러그(plug) 커넥터(10) 및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는 구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 부재(60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의 일부는 케이블 부재(600)와 통전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의 다른 일부는 케이블 부재(600)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 부재(600)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며 다른 구성의 상기 일부와 통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 부재(6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과 케이블 부재(600)의 통전 상태 및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커넥터(1)가 전달하는 신호의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케이블 부재(600)가 플러그 커넥터(10)의 일 구성으로 구비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대안적으로, 케이블 부재(600)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별도로 구비되어 플러그 커넥터(1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1)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달하는 RF 커넥터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커넥터(1)는 케이블 부재(600)를 통해 RF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달받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가 도시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 결합, 통전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되는 다른 구성(미도시)과 플러그 커넥터(10)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절연 부재(300), 컨택트(400), 접지 부재(500), 케이블 부재(600) 및 체결 부재(700)를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한다. 하우징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부재(100)는 쉘 부재(200), 절연 부재(300), 컨택트(4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하우징 부재(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100)는 후술될 쉘 부재(200) 및 접지 부재(500)와 함께 접지(ground)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 부재(100)는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부재(10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 Z축 방향, 즉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하우징 부재(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부재(1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은 상기 일 측을 통해 하우징 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컨택트(400) 및 접지 부재(50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하우징 부재(100)의 상기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컨택트(400) 및 접지 부재(500)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부재(100)는 하우징 공간(110), 하우징 개구부(120) 및 케이블 삽입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 공간(110)은 하우징 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하우징 공간(110)은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공간(110)은 쉘 부재(200), 절연 부재(300), 컨택트(4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를 수용한다.
하우징 공간(110)은 하우징 부재(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공간(110)은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 중 가장 부피가 큰 구성, 예를 들면 쉘 부재(200) 및 절연 부재(3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 공간(110)은 하우징 부재(100)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공간(110)은 그 X축 방향의 각 측, Y축 방향의 각 측 및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이 하우징 부재(100)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하우징 공간(110)의 Z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상기 타 측을 통해 하우징 공간(110)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컨택트(400) 및 접지 부재(500)는 상기 타 측을 통해 하우징 공간(110)의 외부에 노출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하우징 공간(110)은 케이블 부재(6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공간(110)은 케이블 쉴드(620), 케이블 절연 부재(630) 및 케이블 컨덕터(640)를 수용하고, 케이블 자켓(610)의 X축 방향의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일부를 수용한다.
하우징 공간(110)은 하우징 개구부(120)와 연통된다.
하우징 개구부(120)는 하우징 공간(110)을 둘러싸는 하우징 부재(100)의 일 면에 형성된다. 하우징 개구부(120)는 하우징 부재(1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을 따라 하우징 공간(110)을 외부와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개구부(120)는 하우징 부재(100)의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상측에 형성된다. 하우징 개구부(120)는 하우징 부재(100)의 상기 일 측, 즉 상측 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110)에 수용된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개구부(12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개구부(120)는 제1 하우징 개구부(121) 및 제2 하우징 개구부(122)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하우징 개구부(12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하우징 부재(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하우징 부재(1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체결 부재(70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700)에 구비되는 체결 관통부(720)는 Z축 방향을 따라 체결 부재(70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체결 관통부(720)와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되는 케이블 쉴드(620)와도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하우징 개구부(121)를 통해 체결 부재(700) 및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 케이블 쉴드(62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체결 관통부(72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Y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 관통부(720) 사이의 이격 거리 이상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Z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 관통부(720) 각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하우징 개구부(121)는 제2 하우징 개구부(122)와 연통된다.
제2 하우징 개구부(122)는 하우징 개구부(120)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하우징 개구부(122)는 하우징 부재(1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하우징 개구부(122)는 하우징 부재(1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접지 부재(50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지 부재(500)의 X축 방향의 일 측, 즉 후방 측 부분이 제2 하우징 개구부(122)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하우징 개구부(122)를 통해 접지 부재(5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개구부(121) 및 제2 하우징 개구부(122)가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1)를 외부의 모듈 기판(미도시) 등과 결합하기 위한 납땜(soldering)이 수행될 경우,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 간의 통전 상태가 용이하게 형성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케이블 삽입부(130)는 하우징 부재(100)가 케이블 부재(6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케이블 삽입부(130)는 하우징 공간(110)에 수용된 체결 부재(700)의 외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삽입부(130)는 체결 부재(700)를 X축 방향의 외측에서 둘러싼다.
케이블 삽입부(130)는 케이블 부재(600)의 부분 중 하우징 공간(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삽입부(130)는 케이블 자켓(610)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케이블 삽입부(130)를 둘러싸는 하우징 부재(100)의 면은 수용된 케이블 자켓(610)의 일 부분을 방사상 외측에서 지지한다.
케이블 삽입부(130)는 케이블 부재(6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삽입부(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X축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
케이블 삽입부(130)는 하우징 공간(110)과 연통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삽입부(130) 및 하우징 공간(110)에 걸쳐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삽입부(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 삽입부(130)는 하우징 부재(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의 케이블 부재(60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삽입부(13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쉘 부재(2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의 일부를 구성한다. 쉘 부재(200)는 하우징 부재(1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를 구성할 수 있다. 쉘 부재(200)는 하우징 부재(1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와 각각 접촉, 통전된다.
쉘 부재(200)는 하우징 부재(100)와 결합된다. 쉘 부재(200)는 하우징 공간(110)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쉘 부재(200)는 Z축 방향의 상기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통해 하우징 공간(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쉘 부재(200)는 절연 부재(300)와 통전된다. 쉘 부재(200)는 절연 부재(3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절연 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부재(200)는 절연 부재(300)를 X축 방향의 각 측, Y축 방향의 각 측 및 Z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싼다.
쉘 부재(200)는 하우징 공간(110) 또는 절연 부재(30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부재(200)는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쉘 부재(2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쉘 부재(200)는 하우징 부재(1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부재(200)는 쉘 몸체(210),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및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포함한다.
쉘 몸체(210)는 쉘 부재(200)의 외형을 구성한다. 쉘 몸체(210)는 벽(wall)의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쉘 몸체(210)는 쉘 부재(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몸체(210)는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및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쉘 몸체(210)의 Z축 방향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는 쉘 개구부(240)가 관통 형성된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쉘 부재(200)가 케이블 부재(600)를 수용하는 일 공간을 구성한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쉘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쉘 몸체(210)의 X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외부와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연통한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상기 일 측, 즉 전방 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자켓(61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케이블 자켓(6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 형상이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케이블 삽입부(130)와 연통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삽입부(130) 및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에 차례로 진입될 수 있다.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쉘 몸체(2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은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케이블 부재(600)에 구비되는 케이블 자켓(610)을 각각 수용한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쉘 부재(200)가 케이블 부재(600)를 수용하는 다른 공간을 구성한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쉘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X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및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 사이에 위치된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및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과 각각 연통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및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차례로 통과하여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에 진입될 수 있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체결 부재(700)를 수용한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둘러싸는 쉘 몸체(210)의 내면은 체결 부재(700)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 케이블 부재(600)의 일부 구성,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쉴드(620)를 수용할 수 있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하우징 개구부(120)와 연통된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수용된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쉘 개구부(240)와 연통된다.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Z축 방향을 따라 하우징 개구부(120) 및 쉘 개구부(240)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개구부(120)는 Z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 관통부(7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은 Z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 부재(600)를 쉘 부재(200), 절연 부재(300) 또는 체결 부재(700)에 고정하기 위한 납 등의 부재가 유동하는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쉘 개구부(240)는 쉘 몸체(210)의 면 중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Z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싸는 면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개구부(24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하측에서 둘러싸는 쉘 몸체(210)의 일 면에 관통 형성된다. 쉘 개구부(24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과 외부를 연통한다.
쉘 개구부(24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과 연통된다. 또한, 쉘 개구부(24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수용되는 체결 부재(700)의 체결 관통부(720)와 연통된다. 결과적으로, 쉘 개구부(240)는 하우징 개구부(120)와도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쉘 개구부(240), 체결 관통부(720) 및 하우징 개구부(12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쉘 개구부(240) 및 하우징 개구부(120)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 납 등은 체결 관통부(720)를 거쳐 케이블 쉴드(620)로 진행한 뒤 다른 하나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구성하는 하우징 부재(100), 케이블 부재(600) 및 체결 부재(7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쉘 개구부(2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쉘 개구부(240)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개구부(24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각 쉘 개구부(240)는 한 쌍의 제1 하우징 개구부(121) 및 한 쌍의 체결 관통부(720)와 각각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절연 부재(300)는 컨택트(4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절연 부재(3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컨택트(400) 또는 컨택트(40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케이블 부재(600)와의 임의 통전이 차단되게 구성된다.
절연 부재(300)는 하우징 부재(100)와 결합된다. 절연 부재(300)는 하우징 공간(110)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절연 부재(300)는 쉘 부재(200)와 결합된다. 절연 부재(3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쉘 부재(2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절연 부재(300)의 강성은 쉘 부재(200)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절연 부재(300)는 컨택트(400)와 결합된다. 절연 부재(300)와 결합된 컨택트(4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 또는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컨덕터(640)와 접촉, 통전되되, 다른 구성과의 임의 통전이 차단될 수 있다.
절연 부재(300)는 접지 부재(500)와 결합된다. 절연 부재(300)와 결합된 접지 부재(50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체결 부재(700)와 접촉, 통전되어 접지를 구성할 수 있다.
절연 부재(300)는 케이블 부재(6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300)는 케이블 부재(600)의 길이 방향의 일 측, 즉 전방 측 부분을 지지한다. 절연 부재(300)는 케이블 절연 부재(630) 및 케이블 컨덕터(640)를 수용,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300)는 컨택트(400)와 결합되는 케이블 부재(600)의 과다한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후술될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에 의해 달성된다.
도 8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300)는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 케이블 지지 벽(330) 및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를 포함한다.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절연 부재(300)가 케이블 부재(600)를 수용하는 일 공간을 구성한다.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절연 부재(3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 및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 사이에 위치된다.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 및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과 각각 연통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 및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을 차례로 통과하여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진입될 수 있다.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케이블 부재(6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케이블 절연 부재(630)를 수용한다.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절연 부재(300)가 케이블 부재(600)를 수용하는 다른 공간을 구성한다.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절연 부재(3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을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과 연통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을 통과하여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진입될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케이블 부재(6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케이블 컨덕터(640)를 수용한다.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는 컨택트(400)가 위치된다. 컨택트(40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택트(40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의 하측 및 후방 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컨택트(40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케이블 컨덕터(640)와 결합, 통전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 및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은 그 부피가 점차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들(320, 330, 340, 350)의 부피의 대소 관계는 케이블 부재(600)에 구비되는 케이블 자켓(610), 케이블 쉴드(620), 케이블 절연 부재(630) 및 케이블 컨덕터(640)의 부피의 대소 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 벽(330)은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을 Y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지지 벽(330)은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의 좌측 및 우측 부분을 둘러싼다.
케이블 지지 벽(330)이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은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비해 짧은 폭, 즉 Y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부재(700) 또는 이와 결합된 케이블 쉴드(62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게 형성되는 케이블 절연 부재(6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 벽(3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 지지 벽(330)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을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지지 벽(330)은 한 쌍 구비되어,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을 각각 좌측 및 우측에서 둘러싼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케이블 컨덕터(640)는 컨택트(400)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컨덕터(640)에는 Z축 방향의 힘 및 열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힘 또는 열이 과다하게 인가될 경우, 케이블 컨덕터(640)의 과다한 형상 변경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컨덕터(640)와 접속되는 컨택트(400) 또한 가압, 형상 변형되어 쉘 부재(200)와의 간격이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임피던스의 변화가 야기되어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는 케이블 컨덕터(640)가 파손되지 않되, 컨택트(400)와 충분히 결합될 수 있을 정도로만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의 접속시 히터의 이동 거리, 즉 케이블 컨덕터(640)가 가압되는 거리가 제한되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구비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를 포함한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Z축 방향을 따르는 길이, 즉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는 부재의 Z축 방향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위치된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의 일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300) 내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구비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의 좌측에 위치된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구비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50)의 우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Y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의 외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연 부재(300)의 내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케이블 컨덕터(6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Y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 컨덕터(640)를 지지할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소정의 높이, 즉 Z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의 높이는 보호부 높이(h)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보호부 높이(h)는 케이블 부재(600)에 구비되는 케이블 컨덕터(640)의 직경인 제1 직경(d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 높이(h)는 케이블 절연 부재(630)의 직경인 제2 직경(d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의 결합을 위하여 컨덕터에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가 Z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거리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에 접촉될 때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 높이(h)가 제1 직경(d1) 이하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는 케이블 컨덕터(640)를 기 설정된 길이, 즉 보호부 높이(h)와 제1 직경(d1)의 차이만큼만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컨덕터(640)가 과다한 열 또는 압력을 인가받지 않게 되어, 과다한 형상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의 결합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 컨덕터(640)는 컨택트(400)를 사이에 두고 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케이블 컨덕터(640)를 보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총 두 쌍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각 쌍의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두 개의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각각 수용된다. 한 쌍의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Y축 방향을 따라 컨택트(40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케이블 컨덕터(640)를 보호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보호 면(341),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보호 면(342) 및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보호 면(343)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보호 면(341)은 제2 보호 면(342)에 의해 제3 보호 면(343)과 연속된다. 이때, 제1 보호 면(341)과 컨택트(400)의 면 사이의 Z축 방향을 따르는 거리는 보호부 높이(h)로 정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컨택트(4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케이블 부재(600)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택트(400)는 커넥터(1)가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컨택트(400)는 RF 신호를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컨택트(400)는 하우징 공간(11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컨택트(400)는 절연 부재(300)에 결합된 채로 하우징 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다.
컨택트(400)는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택트(400)의 일 부분은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노출되어 케이블 컨덕터(640)와 결합, 통전된다. 컨택트(400)의 다른 부분은 절연 부재(300)의 부분 중 케이블 부재(600)에 반대되는 일 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노출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컨택트(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컨택트(400)는 복수 개의 케이블 컨덕터(64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각각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택트(40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컨택트(400) 사이에는 접지 부재(500)가 위치된다.
접지 부재(500)는 한 쌍의 컨택트(400)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접지 부재(500)에 의해, 한 쌍의 컨택트(400)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지 부재(50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체결 부재(700)와 접촉, 통전된다. 접지 부재(5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의 일부를 구성한다.
접지 부재(500)는 하우징 부재(100)와 결합된다. 접지 부재(500)는 하우징 공간(110)에 수용되되, 하우징 공간(110)의 하측을 통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접지 부재(5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접지부(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접지 부재(500)는 쉘 부재(200)와 결합된다. 접지 부재(50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쉘 몸체(210)와 접촉, 통전된다.
접지 부재(500)는 절연 부재(300)와 결합된다. 접지 부재(500)는 한 쌍의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 또는 한 쌍의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접지 부재(500)는 한 쌍의 컨택트(400) 사이에 위치된다.
접지 부재(500)는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다. 접지 부재(50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수용된 체결 부재(700)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지 부재(500)는 하우징 개구부(120) 또는 쉘 개구부(240)를 통해 유입된 납 등의 물질에 의해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체결 부재(700)와 결합될 수 있다.
접지 부재(5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의 일부를 구성하고, 한 쌍의 컨택트(400)를 전기적, 물리적으로 이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지 부재(500)는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두께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외부와 통전되는 부분이다. 케이블 부재(600)는 컨택트(400)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하우징 부재(100)와 결합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삽입부(130)에 관통되어, 하우징 부재(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600)는 쉘 부재(200)와 결합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및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600)는 쉘 몸체(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600)는 절연 부재(300)와 결합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 및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600)는 절연 부재(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600)는 컨택트(400)와 결합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컨택트(400)와 통전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600)는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다. 케이블 부재(600)는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 상태로 쉘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부재(600)는 케이블 자켓(610), 케이블 쉴드(620), 케이블 절연 부재(630) 및 케이블 컨덕터(640)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 자켓(610), 케이블 쉴드(620), 케이블 절연 부재(630) 및 케이블 컨덕터(640)가 방사상 내측을 향해 차례로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케이블 자켓(610)은 케이블 부재(600)의 일부를 구성한다. 케이블 자켓(610)은 케이블 부재(60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케이블 자켓(610)은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자켓(610)은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자켓(610)은 쉘 몸체(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자켓(610)의 내부에는 케이블 쉴드(620)가 배치된다.
케이블 쉴드(620)는 케이블 부재(600)의 다른 일부를 구성한다. 케이블 쉴드(620)는 케이블 부재(600)의 접지로 기능된다. 케이블 쉴드(62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쉴드(620)는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쉴드(620)는 제1 체결 부재(700a) 및 제2 체결 부재(700b)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에 관통되어, 체결 몸체(710), 제1 결합부(730) 및 제2 결합부(740)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블 쉴드(62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수용된다. 케이블 쉴드(620)는 체결 부재(7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쉴드(62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와 통전될 수 있다. 케이블 쉴드(62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를 구성할 수 있다.
케이블 쉴드(620)는 소정의 직경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쉴드(620)의 직경은 제2 직경(d2)으로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직경(d2)은 제1 직경(d1) 또는 보호부 높이(h) 이상일 수 있다.
케이블 쉴드(620)의 내부에는 케이블 절연 부재(630)가 배치된다.
케이블 절연 부재(630)는 케이블 부재(600)의 또다른 일부를 구성한다. 케이블 절연 부재(630)는 케이블 쉴드(620)와 케이블 컨덕터(640)의 통전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케이블 절연 부재(63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절연 부재(630)는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에 수용된다. 케이블 절연 부재(630)는 케이블 지지 벽(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절연 부재(630)의 내부에는 케이블 컨덕터(640)가 위치된다.
케이블 컨덕터(640)는 케이블 부재(600)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한다. 케이블 컨덕터(640)는 컨택트(400)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케이블 컨덕터(64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컨덕터(640)는 소정의 직경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쉴드(620)의 직경은 제1 직경(d1)으로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직경(d1)은 제2 직경(d2) 이하이되, 보호부 높이(h)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는 제1 직경(d1)과 보호부 높이(h)의 차이만큼의 거리만큼 케이블 컨덕터(640)를 가압하여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를 결합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체결 부재(700)는 케이블 부재(6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체결 부재(700)는 케이블 부재(600)와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부재(100) 및 쉘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700)에 의해 케이블 부재(600)와 컨택트(4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체결 부재(7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과 함께 접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케이블 쉴드(620)와 함께 접지를 구성할 수 있다. 체결 부재(7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부재(100)와 결합된다.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공간(110)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공간(110)을 둘러싸는 하우징 부재(100)의 내면과 접촉, 통전된다.
체결 부재(700)는 쉘 부재(200)와 결합된다. 체결 부재(70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수용된다. 체결 부재(700)는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을 둘러싸는 쉘 몸체(210)의 내면과 접촉되어 통전된다.
체결 부재(700)는 접지 부재(500)와 접촉, 통전된다. 체결 부재(700)는 접지 부재(500)의 부분 중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에 노출되는 일 부분과 접촉, 통전된다.
체결 부재(700)는 케이블 부재(600)와 결합된다. 체결 부재(700)는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쉴드(62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체결 부재(700)는 케이블 쉴드(620)와 통전된다.
체결 부재(7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부재(700)는 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7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제1 체결 부재(700a) 및 하측에 위치되는 제2 체결 부재(700b)를 포함하여 한 쌍 구비된다.
제1 체결 부재(700a) 및 제2 체결 부재(700b)는 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 부재(600)를 Z축 방향의 각 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700a) 및 제2 체결 부재(700b)는 케이블 부재(600)를 지지하는 위치에 차이가 있되,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제1 체결 부재(700a) 및 제2 체결 부재(700b)를 체결 부재(700)로 통칭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700)는 체결 몸체(710), 체결 관통부(720), 제1 결합부(730), 제2 결합부(740) 및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포함한다.
체결 몸체(710)는 체결 부재(70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한다. 체결 몸체(71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 및 이에 관통 결합된 케이블 쉴드(620)를 Z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체결 몸체(710)의 내부에는 체결 관통부(720)가 관통 형성된다. 체결 몸체(710)는 제1 결합부(730) 및 제2 결합부(740)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체결 몸체(71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Z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체결 몸체(710)는 제1 및 제2 결합부(730, 740)와 연속되고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Z축 방향에서 둘러쌀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몸체(710)는 Y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X축 방향의 폭을 가지며, Z축 방향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체결 몸체(7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는 제2 결합부(740)가 위치된다. 제2 결합부(740)가 한 쌍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 몸체(710)는 한 쌍의 제2 결합부(740)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결합부(730)와 연속된다.
체결 몸체(710)의 내부에는 체결 관통부(720)가 형성된다.
체결 관통부(720)는 하우징 개구부(120) 또는 쉘 개구부(240)를 통해 유입된 납 등이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향해 유동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체결 관통부(72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하우징 개구부(120) 또는 쉘 개구부(240)와 연통한다. 체결 관통부(720)는 하우징 개구부(120) 및 쉘 개구부(240)와 Z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체결 관통부(720)는 체결 몸체(710)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관통부(720)는 Z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체결 관통부(7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관통부(720)는 체결 몸체(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관통부(720)는 제1 하우징 개구부(121) 또는 복수 개의 쉘 개구부(240)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관통부(72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체결 관통부(720)는 제1 하우징 개구부(121) 및 한 쌍의 쉘 개구부(240)와 각각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 관통부(720)는 제1 하우징 개구부(121), 한 쌍의 쉘 개구부(240) 및 한 쌍의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와 각각 연통된다.
제1 결합부(73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제1 결합부(73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에 수용된 케이블 쉴드(620)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제1 결합부(730)는 체결 몸체(710)와 연속된다. 제1 결합부(730)는 체결 몸체(7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730)는 체결 몸체(7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730)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부(7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730)는 체결 몸체(710)의 X축 방향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제1 결합부(730)는 복수 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결합부(730)의 구성은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결합부(730)의 구성 중 어느 하나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730)는 제1 수 연장 부재(731) 및 제1 암 연장 부재(732)를 포함한다.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제1 결합부(73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전방 측에,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제1 암 연장 부재(732)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제1 암 연장 부재(732)와 후크 결합(hook fit)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731a)를 포함한다. 제1 결합 돌기(731a)는 인출 가능하게 제1 결합 홈(732b)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제1 결합부(730)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의 타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후방 측에,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제1 수 연장 부재(731)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제1 수 연장 부재(731)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X축 방향의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결합 홈(732a)을 포함한다. 제1 결합 홈(732a)은 제1 결합 돌기(731a)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제1 수 연장 부재(731) 및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제1 암 연장 부재(732) 및 제1 수 연장 부재(731)와 각각 Z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결합부(7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2 결합부(740)가 Y축 방향을 따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결합부(74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제2 결합부(74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에 수용된 케이블 쉴드(620)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제2 결합부(740)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사이에 두고 제1 결합부(73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결합부(740)는 체결 몸체(710)와 연속된다. 제2 결합부(740)는 체결 몸체(7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7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결합부(740)는 제1 결합부(730)를 사이에 두고 체결 몸체(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740)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제2 결합부(740)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2 결합부(740)는 복수 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결합부(740)의 구성은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결합부(740)의 구성 중 어느 하나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740)는 제2 수 연장 부재(741) 및 제2 암 연장 부재(742)를 포함한다.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제2 결합부(74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후방 측에,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제2 암 연장 부재(742)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제2 암 연장 부재(742)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수 연장 부재(741)는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741a)를 포함한다. 제2 결합 돌기(741a)는 인출 가능하게 제2 결합 홈(742a)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제2 결합부(740)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의 타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전방 측에,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제2 수 연장 부재(741)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제2 수 연장 부재(741)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X축 방향의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결합 홈(742a)을 포함한다. 제2 결합 홈(742a)은 제2 결합 돌기(741a)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홈(742a)의 Y축 방향의 각 측 중 외측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제2 수 연장 부재(741) 및 제2 암 연장 부재(742)는,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제2 암 연장 부재(742) 및 제2 수 연장 부재(741)와 각각 Z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케이블 쉴드(620)를 수용한다.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체결 몸체(710), 제1 결합부(730) 및 제2 결합부(740)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케이블 쉴드(6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X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복수 개의 케이블 부재(600)에 각각 구비되는 케이블 쉴드(62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한 쌍 구비되어, 체결 몸체(710)의 길이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 사이에는 제1 결합부(73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결합부(740)는 한 쌍의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사이에 두고 제1 결합부(73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는 케이블 삽입부(130),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220), 체결 부재 수용 공간(230),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310) 및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320)과 각각 연통된다.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각 구성의 결합 상태가 예로서 도시된다.
도 24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공간(110)에 수용된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는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케이블 부재(600) 및 체결 부재(700)를 결합하기 위한 납 등의 물질은 하우징 개구부(120) 및 이와 연통되는 체결 관통부(720)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쉘 개구부(24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각 구성이 결합되면, 하우징 개구부(120), 쉘 개구부(240) 및 체결 관통부(720)가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하우징 개구부(120), 쉘 개구부(240) 및 체결 관통부(720)가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하우징 개구부(120) 또는 쉘 개구부(240)를 통해 주입되는 납땜(soldering)을 위한 물질은 하우징 개구부(120)(또는 쉘 개구부(240)), 체결 관통부(720)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케이블 부재(600) 및 체결 부재(70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의 제조가 간명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28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재(600)는 제1 및 제2 체결 부재(700a, 700b)에 의해 Z축 방향의 각 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부재(600)가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컨택트(400)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체결 부재(700a)에 형성되는 체결 관통부(720),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쉴드(620) 및 제2 체결 부재(700b)에 형성되는 체결 관통부(720)가 Z축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체결 부재(700a)에 형성되는 체결 관통부(720)는 하우징 부재(100)에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부(1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에 수용된 케이블 쉴드(620) 또한 제1 체결 부재(700a)에 형성되는 체결 관통부(720) 및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납땜을 위한 물질이 투입되면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케이블 부재(600) 및 체결 부재(70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의 제조가 간명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되는 제1 체결 부재(700a) 및 제2 체결 부재(700b)는 케이블 쉴드(620)와 각각 접촉되어 통전된다. 또한, 제1 및 제2 체결 부재(700a, 700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 관통부(72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물질은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에 수용된 케이블 쉴드(620)를 거쳐 다른 하나에 형성된 체결 관통부(720)까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 부재(700a) 및 제2 체결 부재(700b)는 케이블 부재(60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및 케이블 쉴드(6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300)는 케이블 컨덕터(640)의 제1 직경(d1) 이하의 높이(즉, 보호부 높이(h))를 갖게 형성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케이블 컨덕터(640)의 가압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쉘 부재(200)와 컨택트(400) 사이의 거리인 제1 간격(g1) 및 제2 간격(g2)이 상기 힘 또는 열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의 영향을 받지 않고 기 설정된 길이로 유지될 수 있다.
임피던스가 임의로 변화될 경우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간격 (g1) 및 제2 간격(g2)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신호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는 서로 접촉 내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의 컨택트(4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결합되는 면을 제외한 복수 개의 면(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섯 개의 면)에 대해 입체적인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의 방사 신호가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고, 외부의 노이즈 신호에 대한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부재(100)는 Z축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의 신호 방사에 대한 차폐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쉘 부재(200) 및 접지 부재(500)는 복수 개의 컨택트(400) 간을 차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체결 부재(700)는 X축 방향을 따라 쉘 부재(200)의 일 측, 즉 후방 측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 및 이에 구비되는 플러그 커넥터(10)는 하우징 부재(100), 쉘 부재(200), 접지 부재(500) 및 체결 부재(700)를 통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및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킴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컨덕터(640)에 일정한 열이 가해질 때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가 설계된 바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 컨덕터(640)에 일정한 열이 가해져야만 쉘 부재(200)와 컨택트(400)가 설계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쉘 부재(200)와 컨택트(400)는 케이블 부재(600)에 반대되는 일 부분에서 제1 간격(g1)만큼, 케이블 부재(600)를 향하는 다른 부분에서 제2 간격(g2)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도 30을 참조하면, 상술한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가 구비되지 않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도시된다.
도 30의 (a)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에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제작 과정이 도시된다. 상기 예에서, 히터(Heater)가 케이블 부재(600)를 향해 하강되는 거리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히터(Heater) 및 납(Lead)에 의해 케이블 부재(600)의 컨덕터가 과다하게 가압될 위험이 존재한다. 즉, 히터(Header)가 케이블 부재(600)의 컨덕터를 가압할 때, 인가되는 열 및 압력이 일정하게, 또는 기 설정된 크기로 유지되기 어렵다.
도 30의 (b)를 참조하면, 케이블 부재(600)의 컨덕터가 과다하게 가압 및 가열되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도시된다. 상기 예에서, 쉘 부재(200)에 대응되는 구성과 컨택트(400)에 대응되는 구성 간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즉,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경우, 쉘 부재(200)와 컨택트(400) 사이의 간격이 각각 제1 간격(g1) 및 제2 간격(g2)으로 유지된다.
반면, 도 3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쉘 부재와 컨택트 사이의 간격인 제1 간격(g1) 및 제2 간격(g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 특히, 상술한 제2 간격(g2)에 대응되는 간격의 왜곡이 심하게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임피던스(impedance)의 왜곡 또한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임피던스의 유지는 신호의 안정성 및 왜곡 방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 임피던스의 왜곡에 의해 신호 손실 또한 발생될 위험이 높다.
특히, 저주파 신호에 비해 전파의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아 감쇄가 많이 발생되는 고주파 신호의 특성상, 고주파 신호는 미세한 임피던스의 변화에도 과다한 왜곡이 발생되어 전체적인 신호 손실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즉, 고주파일수록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가 변형이 최소화되며 접속되어야 임피던스 변화 또한 최소화되고 신호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달리 케이블 컨덕터(640)와 컨택트(400)의 형상 변형이 방지될 수 있어, 임피던스 변화 및 신호 손실이 최소화됨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커넥터 10: 플러그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 100: 하우징 부재
110: 하우징 공간 120: 하우징 개구부
121: 제1 하우징 개구부 122: 제2 하우징 개구부
130: 케이블 삽입부 200: 쉘 부재
210: 쉘 몸체 220: 케이블 자켓 수용 공간
230: 체결 부재 수용 공간 240: 쉘 개구부
300: 절연 부재 310: 케이블 절연 부재 수용 공간
320: 케이블 컨덕터 수용 공간 330: 케이블 지지 벽
340: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 341: 제1 보호 면
342: 제2 보호 면 343: 제3 보호 면
400: 컨택트 500: 접지 부재
600: 케이블 부재 610: 케이블 자켓(jacket)
620: 케이블 쉴드 630: 케이블 절연 부재
640: 케이블 컨덕터 700: 체결 부재
700a: 제1 체결 부재 700b: 제2 체결 부재
710: 체결 몸체 720: 체결 관통부
730: 제1 결합부 731: 제1 수 연장 부재
731a: 제1 결합 돌기 732: 제1 암 연장 부재
732a: 제1 결합 홈 740: 제2 결합부
741: 제2 수 연장 부재 741a: 제2 결합 돌기
742: 제2 암 연장 부재 742a: 제2 결합 홈
750: 케이블 수용 개구부 h: 보호부 높이
d1: 제1 직경 d2: 제2 직경
g1: 제1 간격 g2: 제2 간격

Claims (13)

  1.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컨택트(400);
    상기 컨택트(400)와 결합되는 절연 부재(300); 및
    상기 컨택트(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절연 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부재(600)는,
    상기 컨택트(400)와 접촉되어 통전되고, 제1 직경(d1)의 단면을 갖는 케이블 컨덕터(64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300)는,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가 그 높이 방향으로 가압되는 거리가 제한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상기 절연 부재(3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호 면(341);
    상기 제1 보호 면(341)과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300)의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보호 면(342); 및
    상기 제2 보호 면(342)과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300)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보호 면(343)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면(342) 및 상기 제3 보호 면(343)의 높이 방향의 길이의 합인 보호부 높이(h)는, 상기 제1 직경(d1) 이하인,
    플러그 커넥터(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호 면(343)은,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를 상기 절연 부재(300)의 상기 폭 방향에서 지지하게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 컨덕터 보호부(340)는 상기 케이블 컨덕터(64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0).
  5. 외형을 구성하며, 리셉터클 커넥터(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부재(100);
    상기 하우징 부재(100)에 수용되며, 접지(ground)의 일부를 구성하는 쉘 부재(200);
    상기 하우징 부재(100) 및 상기 쉘 부재(200)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부재(600); 및
    상기 쉘 부재(200)와 결합되어 상기 접지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600)와 결합되는 체결 부재(70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부재(700)는,
    상기 케이블 부재(600)를 높이 방향에서 덮는 체결 몸체(710);
    상기 체결 몸체(710)에 둘러싸이며, 상기 케이블 부재(600)의 케이블 쉴드(620)를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 및
    상기 체결 몸체(71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와 연통되는 체결 관통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쉘 부재(200)는,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 관통부(720)와 연통되는 쉘 개구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쉘 개구부(240), 상기 케이블 쉴드(620) 및 상기 체결 관통부(720)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10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 관통부(7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하우징 개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관통부(720) 및 상기 케이블 쉴드(620)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 부재(100), 상기 쉘 부재(200), 상기 케이블 부재(600) 및 상기 체결 부재(70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700)는,
    상기 높이 방향의 일 측에서 상기 케이블 쉴드(620)와 접촉되는 제1 체결 부재(700a); 및
    상기 높이 방향의 타 측에서 상기 케이블 쉴드(620)와 접촉되는 제2 체결 부재(700b)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부재(100), 상기 쉘 부재(200), 상기 제1 체결 부재(700a) 및 상기 제2 체결 부재(700b)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재(700a)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관통부(720) 및 상기 제2 체결 부재(700b)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관통부(720)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 쉴드(620)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700)는,
    상기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일 측면에서 둘러싸는 제1 결합부(730); 및
    상기 케이블 수용 개구부(750)를 타 측면에서 둘러싸는 제2 결합부(740)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730)는,
    상기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의 일 측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 연장 부재(731); 및
    상기 체결 몸체(710)의 상기 폭 방향의 타 측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암 연장 부재(73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 연장 부재(731)는,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 돌기(731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암 연장 부재(732)는, 상기 폭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결합 홈(731b)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상기 제1 결합 돌기(731a)는 상기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상기 제1 결합 홈(731b)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체결 부재(700a)에 구비되는 상기 제1 결합 홈(731b)에는 상기 제2 체결 부재(700b)에 구비되는 상기 제1 결합 돌기(731a)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러그 커넥터(10).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740)는,
    상기 체결 몸체(710)의 폭 방향의 일 측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 연장 부재(741); 및
    상기 체결 몸체(710)의 상기 폭 방향의 타 측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암 연장 부재(74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100)에 수용되고, 상기 쉘 부재(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접지의 또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접지 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부재(500)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개구부(1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0).
PCT/KR2023/010505 2022-10-05 2023-07-20 플러그 커넥터 WO20240759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7111 2022-10-05
KR10-2022-0127112 2022-10-05
KR10-2022-0127111 2022-10-05
KR20220127112 2022-10-05
KR10-2023-0081851 2023-06-26
KR1020230081851A KR20240047903A (ko) 2022-10-05 2023-06-26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48A1 true WO2024075948A1 (ko) 2024-04-11

Family

ID=9060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0505 WO2024075948A1 (ko) 2022-10-05 2023-07-20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759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756A (ko) * 2015-12-17 2017-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210145444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20104376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KR20220127736A (ko) * 2021-03-11 2022-09-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20127724A (ko) * 2021-03-11 2022-09-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756A (ko) * 2015-12-17 2017-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210145444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20104376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KR20220127736A (ko) * 2021-03-11 2022-09-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20127724A (ko) * 2021-03-11 2022-09-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5686A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WO2017175976A1 (ko) 히터 어셈블리
WO2011034373A2 (en) Apparatus for sha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WO2012134199A2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WO2018030607A1 (en) Heating module and heat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O2017171388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19066234A1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WO2019009533A1 (ko) 프로파일 조립체
WO2020171397A1 (en)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22149843A1 (ko) 냉장고
WO2020076040A1 (ko) 리셉터클 커넥터
WO2021187789A1 (ko) 기판 커넥터
WO2021157873A1 (ko) 냉각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56396A1 (ko) 기판 커넥터
WO2024075948A1 (ko) 플러그 커넥터
WO2023136657A1 (ko)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WO2024096257A1 (ko) 커넥터
WO2024096256A1 (ko) 리셉터클 커넥터
WO2021177676A2 (ko) 아크 소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단기
WO2023204545A1 (ko) 커넥터
WO2021157874A1 (ko) 서브 모듈
WO2023211035A1 (ko) 커넥터
WO202201014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34884A1 (ko) 옵션 회로부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WO2024101801A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