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56B1 - 쉴드커넥터 - Google Patents

쉴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56B1
KR101479056B1 KR20130121420A KR20130121420A KR101479056B1 KR 101479056 B1 KR101479056 B1 KR 101479056B1 KR 20130121420 A KR20130121420 A KR 20130121420A KR 20130121420 A KR20130121420 A KR 20130121420A KR 101479056 B1 KR101479056 B1 KR 10147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elastic contact
connector
housing
shiel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호
전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12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 장착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을 감싸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 및 상기 차폐하우징에 착탈되는 대응커넥터와 탄성 접촉하고, 상기 차폐하우징에 억지끼워 삽입되는 탄성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편은, 상기 차폐하우징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폐하우징의 내측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차폐하우징에 강제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쉴드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쉴드커넥터{Shielded Connector}
본 발명은 쉴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조립 안정성이 향상된 쉴드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적인 성질을 가진 부품들의 연결을 견고하게 이어주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전기 배선인 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넥터는 자동차 부품에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에 구성되는 부품으로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결속하여 전류가 손실 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전선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으로 인해서 상당히 많은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차폐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 간 결합 시, 각각의 차폐하우징을 신뢰성 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쉴드컨택터가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는 전선(미도시)이 장착되는 이너하우징(10)과 이너하우징(10)을 감싸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넥터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은 메일(male)커넥터로서, 커넥터하우징(20)에는 피메일(female)커넥터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과 피메일커넥터가 장착되어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쉴드컨택터(30)를 삽입, 장착한다. 즉, 커넥터하우징(20)에 쉴드컨택터(30)를 억지 삽입하여 커넥터하우징(20)과 피메일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쉴드컨택터(30)는 란스구조(32)로 형성되는데, 커넥터하우징(20)에 탈착되는 대응커넥터(미도시)의 단면에 상기 란스구조(32)가 걸림되어 란스구조(32)가 소성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란스구조(32)가 소성변형이 일어날 경우 쉴드컨택터(30)가 커넥터하우징(20) 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커넥터하우징(20)의 차폐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정적인 구조로 전자기를 차폐할 수 있는 쉴드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쉴드커넥터는, 전선이 장착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을 감싸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 및 상기 차폐하우징에 억지끼워 삽입되는 탄성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편은, 상기 차폐하우징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폐하우징의 내측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차폐하우징에 강제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탄성접촉편은, 차폐하우징의 내측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차폐하우징에 강제 압입되는 압입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와 쉴드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탄성접촉편이 차폐하우징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탄성접촉편의 압입부가 쉴드커넥터의 차폐하우징에 강제 압입되기 때문에 차폐하우징에 삽입된 탄성접촉편의 흔들림 발생을 억제하여 차폐하우징의 차폐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쉴드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탄성접촉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탄성접촉편이 쉴드커넥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쉴드커넥터의 차폐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을 설명하기 이전에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촉편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컨택터를 대신하는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쉴드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탄성접촉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탄성접촉편이 쉴드커넥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쉴드커넥터의 차폐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쉴드커넥터(100)는 전선(110)이 장착되는 이너하우징(120)과, 상기 이너하우징(120)을 감싸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130)과, 상기 차폐하우징(130)에 억지끼워 삽입되는 탄성접촉편(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쉴드커넥터(100)는 메일(male) 커넥터로써, 쉴드커넥터(100)는 고전압커넥터를 이루기 위한 피메일(female)커넥터(50)와 장착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50)와 장착된 쉴드커넥터(100)는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탄성접촉편(15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편(150)은 쉴드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50)가 장착되기 전에 쉴드커넥터(100)에 장착되어 쉴드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50)가 장착되면 쉴드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50)가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접촉편(150)은 쉴드커넥터(100)에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탄성접촉편(150)을 쉴드커넥터(100)에 장착될 때 적은 힘으로 장착하기 위함이다. 또한, 탄성접촉편(150)이 쉴드커넥터(100)에 탄성적으로 장착됨에 따라 쉴드커넥터(100)에서 탄성접촉편(15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적은 힘을 사용하여 탄성접촉편(150)을 쉴드커넥터(10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접촉편(15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탄성접촉편(150)은 차폐하우징(130)에 삽입되는 바디(151)와, 바디(151)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차폐하우징(130)의 내측에 걸림되는 걸림부(152)와, 바디(151)의 일 단에 형성되고, 차폐하우징(130)에 강제 압입되는 압입부(15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압입부(153)에 의하여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억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접촉편(150)이 쉴드커넥터(100)의 전, 후 방향(도 2 참고)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152)가 차폐하우징(130) 내측에 걸림되면서 탄성접촉편(150)이 쉴드커넥터(100)의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입부(153)가 차폐하우징(130)에 억지 삽입되면서 걸림부(152)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입부(153)에 의하여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억지 삽입되어 고정되어 탄성접촉편(150)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하여 쉴드커넥터(100)에 대응커넥터(미도시)가 탈착되어도 탄성접촉편(150)이 전, 후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걸림부(152)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쉴드커넥터(100)의 차폐 신뢰성이 향상되어 쉴드커넥터(100)와 대응커넥터가 결합 시, 각각의 차폐하우징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압입부(153)는 2 이상이 마주보고 형성되며, 압입 방향(D₁)의 후방으로 향할수록 마주보는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압입부(153)는 바디(151)의 일 단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압입부(153)의 간격(X₂)은 바디(151)의 일 단 모서리의 간격(X₁)보다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압입부(153)의 간격이 압입 방향(D₁)의 후방으로 향할수록 넓어진 상태를 초기상태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삽입되는 동안 압입부(153)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즉, 상기 바디(151)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되는 차폐하우징(130)의 삽입부(160)는 바디(15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입부(153)는 삽입부(160)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압입부(153)가 삽입부(16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 내에 억지 끼워짐으로써,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부(160) 내에서 흔들림 발생을 억제하여 차폐하우징(130)의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52)는 전단(152a)은 차폐하우징(130) 방향으로 돌출되며, 후단(152b)은 바디(151)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7을 참고하면, 걸림부(152)는 바디(151)의 상면에 형성되고, 차폐하우징(130) 내측에 걸림되는 돌기이다. 이때, 후단(152b)은 바디(1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단(152a)이 차폐하우징(130)의 내측에 걸림될 때 걸림부(152)가 탄성접촉편(150)의 압입 방향(D₁)의 역방향으로 꺾이는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압입부(153) 및 걸림부(152)는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삽입될 때, 압입부(153)와 함께 탄성접촉편(150)을 차폐하우징(130)의 삽입부(160) 내의 고정위치가 된다. 즉, 압입부(153)는 탄성접촉편(150)의 좌, 우측을 고정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152)는 탄성접촉편(150)의 상측을 고정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입부(153)와 걸림부(152)에 의해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복수의 위치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차폐하우징(130)의 삽입부(160) 내에서 흔들림 없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압입부(153)는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152)보다 먼저 차폐하우징(130) 내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왜냐하면, 상기 압입부(153)가 차폐하우징(130)에 선(先) 장착되면서 걸림부(152)에 탄성접촉편(150)의 압입 방향(D₁)의 역방향으로 꺾이는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탄성접촉편(150)은 상기 바디(151)와 대향되며, 절곡 형성된 탄성편(154)을 더 포함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154)은 걸림부(152)와 대향되며, 쉴드커넥터(100)와 장착되는 피메일커넥터(50) 방향으로 꺾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탄성편(154)은 차폐하우징(130)에 탄성접촉편(150)을 삽입할 때, 피메일커넥터(50)의 상면(52)과 접하는 부분이다. 즉,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삽입될 때, 탄성편(154)이 피메일커넥터(50)의 상면(52)과 접하면서 압착력이 발생하여 탄성접촉편(150)과 피메일커넥터(50)이 억지 끼움되면서 탄성접촉편(150)의 하측이 피메일커넥터(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접촉편(150)은,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되는 방향(D1 _도 3의 방향 참고)을 기준으로 걸림부(152)가 형성된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 상면에 분리홈(156)이 더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156)은 탄성접촉편(150)이 쉴드커넥터(100)의 차폐하우징(130)에 장착된 후, 마모나 변형 등에 의하여 교체나 분리가 필요할 경우 분리 핀(미도시)이 접하여 차폐하우징(130)에서 탄성접촉편(150)을 분리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쉴드커넥터(100)의 차폐하우징(130)에 장착된 탄성접촉편(150)을 차폐하우징(13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분리홈(156)에 접하는 분리핀을 삽입하고, 삽입된 분리핀에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접촉편(150)을 차폐하우징(13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접촉편(150)은 바디(151)의 단부에서 상기 바디(151)의 일 측면에서 상기 탄성편(154)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면(15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면(155)은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부(160)로 삽입될 때, 삽입되는 탄성접촉편(150)의 삽입 높이를 제한하고, 삽입부(160)에 삽입된 탄성접촉편(150)이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곡면(155)은 바디(15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절곡면(155)은 바디(15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곡면(155)이 바디(151)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부(160)로 삽입될 때 삽입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도 8은 도 2의 쉴드커넥터의 차폐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하우징(130)은,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되는 삽입부(160)를 포함하고, 삽입부(160)는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삽입부(160)는 차폐하우징(130)의 상면에 병렬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삽입부(160)를 2 이상 형성함에 따라 차폐하우징(130)과 대응커넥터의 차폐를 위한 탄성접촉편(150)이 2 이상 마련되기 때문에 대응커넥터와 쉴드커넥터(100)의 차폐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60)는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되는 장착홈(162)과 바디(151)의 절곡면(155)과 대향되며,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장착홈(162)으로 탄성접촉편(15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61)를 포함한다.
즉, 도 8을 참고하면, 가이드부재(161)는 삽입부(160) 내부의 좌, 우 측면에서 장착홈(16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삽입부(160) 내부의 좌, 우 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성접촉편(150)와 대향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쉴드커넥터(100)는 차폐하우징(130)에 대응커넥터가 장착되며, 장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레버(14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이너하우징(120)은 고전압 커넥터의 방수를 위하여 방수씰이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하우징(120)에는 고전압 커넥터 사용 시, 커넥터 시스템의 전기적 보호를 위한 인터락(170)이 더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전압 커넥터의 쉴드커넥터(100)와 대응커넥터의 차폐 연결 구조로 차폐하우징(130)에 삽입되는 탄성접촉편(150)에 압입부(153)를 형성하여 탄성접촉편(150)이 차폐하우징(130)에 억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탄성접촉편(150)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쉴드커넥터(100)와 대응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안정성이 향상되어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폐하우징(130)에 탄성접촉편(150)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탄성접촉편(150)의 압입부(153)가 차폐하우징(130)에 먼저 고정되어 란스 구조인 탄성접촉편(150)의 걸림부(152)가 꺾이는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쉴드커넥터 110: 전선
120: 이너하우징 130: 차폐하우징
140: 고정레버 150: 탄성접촉편
160: 삽입부

Claims (7)

  1. 전선이 장착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을 감싸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 및
    상기 차폐하우징에 착탈되는 대응커넥터와 탄성 접촉하고, 상기 차폐하우징에 억지끼워 삽입되는 탄성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편은,
    상기 차폐하우징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폐하우징의 내측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차폐하우징에 강제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촉편은,
    상기 바디와 대향되며, 절곡 형성된 탄성편과,
    상기 바디의 단부에서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서 상기 탄성편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2 이상이 마주보고 형성되며, 압입 방향의 후방으로 향할수록 마주보는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전단은 상기 차폐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며, 후단은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커넥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커넥터.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하우징은,
    상기 탄성접촉편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탄성접촉편이 삽입되는 장착홈과,
    상기 바디의 측면과 대향되며, 상기 탄성접촉편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으로 상기 탄성접촉편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커넥터.
KR20130121420A 2013-10-11 2013-10-11 쉴드커넥터 KR10147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420A KR101479056B1 (ko) 2013-10-11 2013-10-11 쉴드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420A KR101479056B1 (ko) 2013-10-11 2013-10-11 쉴드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056B1 true KR101479056B1 (ko) 2015-01-07

Family

ID=5258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420A KR101479056B1 (ko) 2013-10-11 2013-10-11 쉴드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756A (ko) 2015-12-17 2017-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80000312A (ko) * 2016-06-22 2018-01-0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220107630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유라 차폐 통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3459B1 (en) * 2005-04-20 2006-08-01 Bizlink Technology, Inc. Latching connector assembly
KR20100070742A (ko) * 2008-12-18 2010-06-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KR20100086356A (ko) * 2009-01-22 2010-07-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성 접촉편을 구비한 차폐 커넥터
KR20120077592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3459B1 (en) * 2005-04-20 2006-08-01 Bizlink Technology, Inc. Latching connector assembly
KR20100070742A (ko) * 2008-12-18 2010-06-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KR20100086356A (ko) * 2009-01-22 2010-07-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성 접촉편을 구비한 차폐 커넥터
KR20120077592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756A (ko) 2015-12-17 2017-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80000312A (ko) * 2016-06-22 2018-01-0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1970880B1 (ko) 2016-06-22 2019-04-19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220107630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유라 차폐 통합 커넥터
KR102514271B1 (ko) 2021-01-25 2023-03-27 주식회사 유라 차폐 통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368B2 (ja) 直角ヘッダアセンブリ
JP5974087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CN110226266B (zh) 屏蔽连接器及阳侧屏蔽端子
US201602409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ing structure
KR20180053222A (ko) 커넥터
JP4851355B2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479056B1 (ko) 쉴드커넥터
CN104218367A (zh) 插头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6069008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3093133A (ja) コネクタ端子
US838837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00070742A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CN109792122B (zh) 连接器组件
JP5454608B2 (ja) コネクタ端子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KR101783853B1 (ko) 고전압 커넥터
JP2015228328A (ja) コネクタ
KR101479063B1 (ko) 커넥터
CN216488634U (zh) 缆线电连接器
US20230012270A1 (en) Terminal System Of A Connector System
CN210156593U (zh) 电连接器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KR101175571B1 (ko) 전기 커넥터
KR200444217Y1 (ko) 커넥터하우징
KR20160118760A (ko)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