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592A -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592A
KR20120077592A KR1020100139602A KR20100139602A KR20120077592A KR 20120077592 A KR20120077592 A KR 20120077592A KR 1020100139602 A KR1020100139602 A KR 1020100139602A KR 20100139602 A KR20100139602 A KR 20100139602A KR 20120077592 A KR20120077592 A KR 2012007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connection
connec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627B1 (ko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0013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6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본체의 크기를 줄이고, 터미널의 피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접속되도록 본체에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연결단자가 압입되도록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이 본체에 고정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CONNECTOR FOR WIRE JUNGTION BOX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본체의 크기를 줄이고, 터미널의 피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류 및 전기적인 신호가 흘러 작동되는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고, 각 전장품은 와이어링 하네스라고 불리어지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가닥의 전선에 의해 배터리 및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기적인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는 많은 종류의 전기장치 예를 들어, 엔진의 시동 및 점화장치, 점등 장치, 오디오, 와이퍼 및 모터 등의 다양한 전장품들이 사용되고 있어, 이러한 전장품들은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체의 전기장치와 배터리의 사이에는 릴레이 및 퓨즈가 개재되어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및 퓨즈를 거쳐 전기장치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일정 용량의 전류만을 통과시키거나 전기장치의 회로를 선택적으로 성립/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릴레이란 전기적인 중계 작용을 하는 전동식 스위치 장치를 말하는 것이며, 보통 작은 입력 전류의 변화에 의해 주 회로의 차단이나 접속 변환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릴레이는 차량의 전 영역에 고루 분포 설치되어 작동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상기 릴레이들이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통합적으로 조립되어 배터리의 메인 와이어 하네스에 연결된 상태로 엔진룸에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는 다수개의 릴레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Receptacle type)이 일정한 배열로 형성되며, 이 터미널들은 배터리에 접속되는 단자와 각 전기장치에 접속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결합되는 릴레이들은 자동차의 전자회로 전기장치가 다양화되고 많아짐에 따라 사이즈가 작아지고 그 수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종래의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사용되는 리셉클 터미널은 접속단자가 고정되는 접속부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그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피치가 작은 연결단자를 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미널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본체의 크기를 줄이고, 터미널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피치가 작은 연결단자를 접속할 수 있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접속되도록 본체에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연결단자가 압입되도록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이 본체에 고정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터미널은 전선이 결합되도록 벤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립부와, 터미널 고정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탈방지부는 터미널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터미널 고정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이탈방지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 접속부는 연결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홈부와, 접속홈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연결단자가 압입 고정되는 압착돌부를 포함한다.
또한, 터미널 고정부는 터미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홈부와, 터미널이 슬라이딩 결합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어 터미널에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에 의하면, 터미널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본체의 크기를 줄이고, 터미널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피치가 작은 연결단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터미널을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100)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도시생략)에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터미널(120)과, 본체(110)에 터미널(120)이 고정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130)가 포함된다.
본체(110)는 내부에 터미널(120)이 결합되는 설치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안치홈부(113) 및 삽입홈부(115)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안치홈부(113) 및 삽입홈부(115)는 설치공간부(111)와 연통된다.
본체(110)의 안치홈부(113)에는 터미널(120)에 접속되는 연결단자(10)가 삽입되어 안치된다.
또한, 본체(110)는 삽입홈부(115)를 통해 터미널(120)이 삽입되어 터미널 고정부(130)에 결합된다.
또한, 본체(110)의 설치공간부(111)에는 한 쌍의 터미널(12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격벽(117)이 형성되고, 격벽(117)을 기준으로 터미널(120)이 대응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격벽(117)이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11)로 인하여 한 쌍의 터미널(120)이 각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므로, 상호 접속되는 것이 방지되고 터미널(120)에 접속되는 연결단자(10) 또한 단자가 상호 접속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터미널(120)에 접속되는 연결단자(10)의 접속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130)는 터미널(120)이 본체(110)에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그 결합된 상태에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고정부(130)는 터미널(1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결합홈부(131)와, 이 슬라이딩 결합홈부(131)에 결합된 터미널(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터미널지지부재(133)가 포함된다.
슬라이딩 결합홈부(131)는 터미널(12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설치공간부(111)의 대응되는 내면에 각각 형성되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결합홈부(131)는 터미널(120)이 보다 안정되게 삽입되어 걸리도록 "└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터미널지지부재(133)는 격벽(117)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터미널(120)이 슬라이딩 결합홈부(131)에 삽입됨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면서 터미널(120)에 삽입되어 터미널(12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지지부재(133)는 격벽(117)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탄성바(133a)와, 이 탄성바(133a)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터미널(120)에 삽입되어 터미널(120)의 이탈을 지지하는 걸림턱(133b)으로 구성된다.
터미널(120)은 본체(110)의 설치공간부(111)에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연결단자(10)가 압입되어 접속되도록 단자 접속부(121)가 형성된다.
단자 접속부(121)는 연결단자(10)가 안정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10)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홈부(121a)와, 이 접속홈부(12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연결단자(10)를 압착 고정시키는 압착돌부(121b)로 구성된다.
또한, 터미널(120)은 전선이 결합되는 클립부(123)와, 본체(11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이탈방지부(125)가 더 포함된다.
클립부(123)는 전선이 고정되도록 터미널(120)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터미널(120)의 내측으로 벤딩됨에 따라 전선이 고정된다.
이탈방지부(125)는 본체(110)의 슬라이딩 결합홈부(131)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결합부(125a)와, 터미널지지부재(133)의 걸림턱(133b)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부(125b)로 구성된다.
슬라이딩 결합부(125a)는 터미널(120)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터미널 고정부(130)의 슬라이딩 결합홈부(131)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탈방지홈부(125b)는 접속홈부(121a)의 하측에 형성되며, 터미널(120)에 의해 압축되었던 탄성바(133a)가 이완됨에 따라 걸림턱(133b)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연결단자(10)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터미널(120)의 단자 접속부(121)가 접속홈부(121a)와 이에 형성되는 압착돌부(121b)로 구성되므로, 터미널(120)의 크기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단자 접속부(121)를 판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체(110)에 결합되는 터미널(120)의 간격인 피치를 줄일 수 있어 크기가 작은 예를 들어 단자의 피치가 5mm 미만인 연결단자(10)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단자(10)에 의해 터미널(120)이 상호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터미널(120)의 슬라이딩 결합부(125a)가 본체(110)의 슬라이딩 결합홈부(131)에 삽입 고정되고, 탄성바(133a)의 걸림턱(133b)에 이탈방지홈부(125b)가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터미널(120)이 본체(110)에 보다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커넥터 110 : 본체
111 : 설치공간부 117 : 격벽
120 : 터미널 121 : 단자 접속부
121a : 접속홈부 121b : 압착돌부
123 : 클립부 125 : 이탈방지부
130 : 터미널 고정부 131 : 슬라이딩 결합홈부
133 : 터미널지지부재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에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단자가 압입되도록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상기 터미널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전선이 결합되도록 벤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립부; 및
    상기 터미널 고정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터미널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미널 고정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이탈방지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홈부; 및
    상기 접속홈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가 압입 고정되는 압착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홈부;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슬라이딩 결합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어 상기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KR1020100139602A 2010-12-30 2010-12-30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KR10118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02A KR101186627B1 (ko) 2010-12-30 2010-12-30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02A KR101186627B1 (ko) 2010-12-30 2010-12-30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592A true KR20120077592A (ko) 2012-07-10
KR101186627B1 KR101186627B1 (ko) 2012-09-27

Family

ID=4671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602A KR101186627B1 (ko) 2010-12-30 2010-12-30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56B1 (ko) * 2013-10-11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쉴드커넥터
KR20170032835A (ko) * 2015-09-15 2017-03-23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21008733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673B1 (ko) * 2021-04-29 2021-08-05 (주)티에이치엔 정션블록 로우 프로파일 타입 슬로우 블로우 퓨즈용 파지형 리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6282A (ja) * 2001-09-12 2003-03-20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56B1 (ko) * 2013-10-11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쉴드커넥터
KR20170032835A (ko) * 2015-09-15 2017-03-23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21008733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627B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745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5882213A (en) Battery mounted junction box
US7837480B2 (en) Electric junction box
CN108025688B (zh) 带有可插接电子器件的配电器
US8142235B2 (en) Arrangement for current distribution and contact arrangement and fuse protection thereof of the outgoing cables
US10395878B2 (en) Modular fuse holder and arrangement and connection thereof
EP3243705A1 (en) Utility vehicle power distribution module
US5823798A (en) Electric center for motor vehicles
KR101186627B1 (ko)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US6282078B1 (en) Capacitor for car stereo with current distributing capability
US10017063B2 (en) Electrical distributor arrangement
JP2002343331A (ja) バッテリ
CN100508290C (zh) 馈电模块
KR20160066182A (ko) 조인트 커넥터
WO2014017571A1 (ja) 電気接続箱
CN108604745B (zh) 用于使多个电信号循环通过的环路电桥
KR20190120309A (ko) 스프링 브리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
US6368118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CN105529662A (zh) 接线盒组件结构
JP2002101526A (ja) 電気接続箱の電源接続構造
CN217936183U (zh) 一种电器盒
US9796346B2 (en) Motor vehicle plastic panel having an integral electrical unit
CN210897665U (zh) 一种接线端子
CN209329230U (zh) 电连接器、电连接器组件以及电气组件
RU2008108533A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с монтажным осн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