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630A - 차폐 통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폐 통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630A
KR20220107630A KR1020210010471A KR20210010471A KR20220107630A KR 20220107630 A KR20220107630 A KR 20220107630A KR 1020210010471 A KR1020210010471 A KR 1020210010471A KR 20210010471 A KR20210010471 A KR 20210010471A KR 20220107630 A KR20220107630 A KR 2022010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ntact
shielding
integrated connector
shiel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271B1 (ko
Inventor
안호철
노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21001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2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차폐 통합 커넥터는 터미널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된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너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쉴드케이스; 상기 쉴드케이스의 외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하우징에 걸림 결합되는 아우터하우징; 및 일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쉴드케이스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케이스는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어셈블리와 접촉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쉴드블록에 접촉되는 제2접점부가 형성되어 개별차폐 또는 일괄차폐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수입유입을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차폐 통합 커넥터{Shielded Integrated Connector}
본 발명은 차폐 통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도록 고전압 와이어를 연결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적인 성질을 가진 부품들의 연결을 견고하게 이어주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전기 배선인 케이블, 즉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에 구성되는 부품으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결속하여 전류가 손실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와이어을 한번에 회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을 처리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당히 많은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전자파를 차폐하는 방식으로는 개별 와이어에 쉴드가 내설된 개별차폐 방식과, 여러 와이어를 감싸는 편조를 사용하여 일괄 차폐하는 방식이 있다. 이에 따라서 차폐커넥터도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있다. 즉, 개별 차폐방식에 적용되는 차폐커넥터와 일괄 차폐방식에 사용되는 차폐커넥터가 별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폐 커넥터를 개별 차폐용 커넥터와 일괄 차폐용 커넥터가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차폐타입에 맞지 않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분 유입이 가능하여 커넥터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별 차폐용 및 일괄 차폐용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차폐 통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는 터미널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된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너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쉴드케이스; 상기 쉴드케이스의 외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하우징에 걸림 결합되는 아우터하우징; 및 일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쉴드케이스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케이스는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어셈블리와 접촉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쉴드블록에 접촉되는 제2접점부가 형성되어 개별차폐 또는 일괄차폐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쉴드블록은 상기 제2접점부와 접촉되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와이어어셈블리를 일괄적으로 차폐하는 외부 편조선과 접촉되는 일괄차폐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계부의 일 측면에 접촉되는 외측 제2접점부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일 측면에서 요입된 접촉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계부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촉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연결리브와 접촉되는 내측 제2접점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케이스는 상기 제1삽입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연결공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공의 중심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어셈블리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너하우징 내측에 걸림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와이어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쉴드블록 내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별차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와이어의 내부 편조선 및 상기 제1접점부와 접촉되는 쉴드클램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과 상기 쉴드클램프 사이에는 상기 쉴트클램프위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씰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쉴드블록은 중기 중계부의 타 측면이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단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일괄차폐부의 외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쉴드블록과 상기 아우터하우징 사이를 밀폐시키는 쉴드블록씰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케이스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하우징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요입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는 쉴드블록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괄차폐 또는 개별차폐로 사용 가능하여 제품의 범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폐 방식에 따라 별도의 커넥터 개발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품 개발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폐 방식을 구분하지 않고 작업자가 유닛과 차폐 통합 커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폐 방식을 불문하고 이너씰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쉴드블록씰 및 터미널어셈블리의 와이어씰을 통해 후방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여 커넥터의 내부 부식을 방지하고, 차폐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제품 내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차폐 통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폐케이스 및 차폐블록이 일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일괄차폐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도 4의 Ⅵa-Ⅵa 방향의 단면도, 도 6(b)는 도 4의 Ⅵb-Ⅵb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개별차폐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a)는 도 7의 Ⅸa-Ⅸa 방향의 단면도, 도 9(b)는 도 7의 Ⅸb-Ⅸb 방향의 단면도.
도 10(a)는 도 6(a)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유닛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b)는 도 9(a)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유닛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개별차폐 및 일괄차폐로 사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차폐 통합 커넥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 후 일괄차폐 및 개별차폐로 사용되는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미널어셈블리와 유닛이 결합되는 방향을 연장방향으로 정의하고, 터미널어셈블리와 유닛이 결합되는 위치를 연장방향의 전방으로 터미널어셈블리가 차폐 통합 커넥터로 삽입되는 위치를 연장방향의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차폐 통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도 3은 도 2의 차폐케이스 및 차폐블록이 일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일괄차폐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4의 Ⅵa-Ⅵa 방향의 단면도, 도 6(b)는 도 4의 Ⅵb-Ⅵ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개별차폐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a)는 도 7의 Ⅸa-Ⅸa 방향의 단면도, 도 9(b)는 도 7의 Ⅸb-Ⅸ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0(a)는 도 6(a)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유닛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9(a)의 차폐 통합 커넥터가 유닛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차폐 통합 커넥터(10)는 터미널어셈블리(20)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110)이 형성된 이너하우징(100), 상기 이너하우징(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너하우징(100)에 걸림 고정되는 쉴드케이스(200), 상기 쉴드케이스(200)의 외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하우징(100)에 걸림 결합되는 아우터하우징(300) 및 일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상기 쉴드케이스(200)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쉴드블록(400)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케이스(200)는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어셈블리(20)와 접촉되는 제1접점부(231)와, 상기 쉴드블록(400)에 접촉되는 제2접점부(232)가 형성되어 개별차폐 또는 일괄차폐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폐 통합 커넥터(10)는 유닛과 터미널어셈블리(20)를 연결하는 고전압 차폐 통합 커넥터(10)로서 유닛에 형성된 유닛측커넥터와 연결된다. 이때 유닛측커넥터와 접촉되는 쉴드케이스(200), 쉴드케이스(200)와 접촉되는 쉴드블록(400)를 통해 차량 구동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차폐방식에 따라 내부 편조선(26) 또는 외부 편조선(40)을 통해 유닛과 터미널어셈블리(20)는 차폐 연결된다.
이너하우징(100)은 내측으로 터미널어셈블리(20)가 배치되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삽입공(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삽입공(110)의 전단에는 터미널(22)이 안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구획되어 서로 다른 터미널어셈블리(20)를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이너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걸림돌기(120)가 형성되고, 걸림돌기(120)는 쉴드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아우터하우징(30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330)에 걸림 고정되고, 이때 걸림돌기(120)가 관통하는 관통홀(211)에 의해 쉴드케이스(200) 또한 고정시킨다.
쉴드케이스(200)는 이너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쉴드바디(210)와, 쉴드바디(210)에서 연장되어 쉴드케이스(200)의 후방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접촉면(220)으로 형성되어 유닛측 커넥터와 접촉되어 전자파의 간섭을 차단한다.
쉴드바디(210)는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너하우징(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이너하우징(100)의 제1삽입공(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터미널어셈블리(20)과 유닛이 차폐연결되도록 자동차 구동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차단된다.
이때 쉴드바디(210)의 일 측에는 걸림돌기(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너하우징(100)의 걸림돌기(120)가 관통하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 구조 및 고정 부재 없이도 쉴드케이스(200)가 안정적으로 아우터하우징(300)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접촉면(220)은 쉴드바디(210)의 일 측 즉, 후방의 측면에 형성되어 터미널어셈블리(20)가 관통하는 연결공(221)이 형성되고, 쉴드블록(400)의 연결리브(411)가 삽입되어 접점부(230)와 접촉되는 접촉홀(222)이 형성된다.
연결공(221)은 제1삽입공(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터미널어셈블리(20)가 연결공(221) 및 제1삽입공(1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이너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개별차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접촉홀(222)은 쉴드블록(400)의 일 측에 형성된 연결리브(411)가 삽입되도록 접촉면(22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접촉홀(222)의 내측으로 접점부(2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쉴드케이스(200)와 쉴드블록(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접점부(230)는 터미널어셈블리(20)의 쉴드클램프(24)와 접촉되는 제1접점부(231)와 블륵블록과 접촉되는 제2접점부(232)로 형성되어 개별차폐 및 일괄차폐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접점부(231)는 연결공(221)의 내주면으로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어 터미널(22)어셉블리가 이너하우징(100)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쉴드클램프(24)와 접촉된다. 이때 안정적인 접촉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접점부(231)는 연결공(22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말단부가 연결공(221)의 내주면에서 전방으로 왕곡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접점부(231)는 터미널어셈블리(20) 설치 탄성 변형되어 간섭하지 않는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쉴드클램프(24)와 밀착시켜 보다 안정적인 차폐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2접점부(232)는 접촉면(220)의 일 측이 절개되어 쉴드블록(400)과 접하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밴딩 형성된 내측 제2접점부(2322)와, 쉴드케이스(200)의 일 측이 절개되어 접촉홀(22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밴딩 형성된 외측 제2접점부(2321)로 형성된다.
이때 내측 제2접점부(2322)는 접촉면(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형성되어 쉴드케이스(200)와 쉴드블록(400)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고, 외측 제2접점부(2321)는 접촉홀(222)의 내측에서 연결리브(411)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 안정성을 보다 강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의 쉴드케이스(200)는 터미널어셈블리(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부(231)와 쉴드블록(4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부(232)가 모두 형성되어 개별차폐 및 일괄차폐가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차폐 통합 커넥터(10)의 범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춰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아우터하우징(300)은 쉴드케이스(200)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이너하우징(100) 및 쉴드케이스(200)를 보호하고, 커넥터어셈블리가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용공간(310)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용공간(310)은 연장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수용공간(310)의 후방 내측으로는 쉴드블록(400)이 후방 말단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단(320)이 형성되고, 이너하우징(100) 및 쉴드케이스(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홈(330)이 형성된다.
또한 아우터하우징(300)의 전방에는 이너씰(330)이 형성되고, 이너씰(330)의 전방으로 이너씰(3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씰고정링(340)이 설치되어 차폐 통합 커넥터(10)가 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부분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이너하우징(100)과 쉴드케이스(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이너하우징(100)의 걸림돌기(120), 쉴드바디(210)의 관통홀(211) 및 아우터하우징(300)의 고정홈(330)은 연장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쉴드블록(400)은 제2접점부(232)와 접촉되는 중계부(410)와, 중계부(410)에서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부가 아우터하우징(3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일괄차폐부(420)로 형성되어 차폐 통합 커넥터(10)가 일괄차폐 가능하도록 하며, 일괄차폐부(420)의 외측으로 쉴드블록씰(430)이 형성되어 쉴드블록(400)과 아우터하우징(300)의 결합 부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계부(410)는 제2접점부(232)와 접촉되도록 쉴드블록(400)의 전방에 접촉면(220)과 대향 형성되어 내측 제2접점부(2322)와 접촉되고, 연장방향의 전방으로 연결리브(411)가 돌출 형성되 접촉홀(222)로 삽입되고, 접촉홀(222)의 내측에서 외측 제2접점부(2321)와 접촉된다. 또한 그 단면적이 일괄차폐부(420)보다 넓게 형성되어 아우터하우징(300)의 전방에서 삽입되되, 후방 외측면이 아우터하우징(300)의 걸림단(320)에 걸려 고정된다.
일괄차폐부(420)는 중계부(410)의 후방으로 연장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고, 제1삽입공(110) 및 연결공(2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삽입공(421)이 형성되며, 일부가 아우터하우징(300)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외부 편조선(40)과 연결되어 일괄차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관차폐부의 전방으로 외측둘레을 따라 요입되어 안착홈(422)이 형성되고, 안착홈(422)에는 쉴드블록씰(430)이 설치되어 쉴드블록(400)과 아우터하우징(300)의 결합 부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는 쉴드케이스(200) 및 외부 편조선(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쉴드블록(400)이 구비하여 일괄차폐가 가능하게 하고, 쉴드블록(400)에는 연결리브(411)가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쉴드케이스(200)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쉴드블록(400)의 후방으로 리어홀더(500)가 더 결합되어 터미널어셈블리(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가 개별차폐 또는 일괄차폐로 사용될 때를 각각 가정하여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가 일괄차폐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터미널어셈블리(20)는 와이어(21)와, 와이어(21)의 전방 말단에 형성되는 터미널(22)과, 제2삽입공(421)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21)씰로 형성되어 이너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차폐 통합 커넥터(10)에 터미널어셈블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폐블록의 일괄차폐부(420) 및 터미널어셈블리(20)를 모두 감싸도록 외부 편조선(40)이 형성되고, 외부 편조선(40)은 일괄차폐부(420)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외부 편조선(40)이 일괄차폐부(420)에 밀착 고정되도록 외측에서 이어 클램프(30)로 고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의 일괄차폐부(420)와 외부 편조선(40)이 접촉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나, 쉴드블록씰(430) 및 와이어(21)씰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하여 쉴드케이스(200)의 부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폐 성능 저하로 인한 노이즈 방출로 다른 장치에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가 개별차폐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터미널어셈블리(20)는 와이어(21)에서 연장된 내부 편조선(26)과 내부 편조선(26)의 내측에 형성되는 쉴드링(27)과, 내부 편조선(26)의 외측에 형성되어 제1접점부(231)에 접촉되는 쉴드클램프(24)와, 쉴드클램프(24)의 위치 가이드 및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씰(25)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21)에서 연장된 내부 편조선(26)은 쉴드클램프(24)에 의해 제1접점부(231)에 접촉되어 차폐 통합 커넥터(10)와 유닛을 차폐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폐 통합 커넥터(10)는 구성의 변경, 교체 및 별도의 구성 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괄차폐 및 개별차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차폐 방식에 따라 별도의 커넥터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기술 개발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작업자가 차폐 방식에 따라 구분하여 커넥터를 달리 사용하지 않아 작업시 피로도를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괄차폐 및 개별차폐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차폐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및 신뢰성을 개선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차폐 통합 커넥터
100 이너하우징 110 제1삽입공 120 걸림돌기
200 쉴드케이스 210 쉴드바디 211 관통홀
220 접촉면 221 연결공 222 접촉홀
230 접점부 231 제1접점부 232 제2접점부
2321 외측 제2접점부 2322 내측 제2접점부
300 아우터하우징 310 수용공간 320 걸림단
330 고정홈 330 이너씰 340 씰고정링
400 쉴드블록 410 중계부 411 연결리브
420 일괄차폐부 421 제2삽입공 422 안착홈
430 쉴드블록씰 500 리어홀더
20 터미널어셈블리 21 와이어 22 터미널
23 와이어씰 24 쉴드클램프 25 가이드씰
26 내부 편조선 27 쉴드링
30 이어 클램프 40 외부 편조선

Claims (8)

  1. 터미널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된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너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쉴드케이스;
    상기 쉴드케이스의 외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하우징에 걸림 결합되는 아우터하우징; 및
    일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쉴드케이스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케이스는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어셈블리와 접촉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쉴드블록에 접촉되는 제2접점부가 형성되어 개별차폐 또는 일괄차폐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블록은
    상기 제2접점부와 접촉되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와이어어셈블리를 일괄적으로 차폐하는 외부 편조선과 접촉되는 일괄차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계부의 일 측면에 접촉되는 외측 제2접점부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일 측면에서 요입된 접촉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계부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촉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연결리브와 접촉되는 내측 제2접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케이스는
    상기 제1삽입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연결공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공의 중심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어셈블리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너하우징 내측에 걸림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와이어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쉴드블록 내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씰로 형성되되, 개별차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와이어의 내부 편조선 및 상기 제1접점부와 접촉되는 쉴드클램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쉴드클램프 사이에는 상기 쉴트클램프위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씰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블록은
    중기 중계부의 타 측면이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단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일괄차폐부의 외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쉴드블록과 상기 아우터하우징 사이를 밀폐시키는 쉴드블록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케이스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하우징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요입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통합 커넥터.
KR1020210010471A 2021-01-25 2021-01-25 차폐 통합 커넥터 KR10251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71A KR102514271B1 (ko) 2021-01-25 2021-01-25 차폐 통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71A KR102514271B1 (ko) 2021-01-25 2021-01-25 차폐 통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30A true KR20220107630A (ko) 2022-08-02
KR102514271B1 KR102514271B1 (ko) 2023-03-27

Family

ID=8284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1A KR102514271B1 (ko) 2021-01-25 2021-01-25 차폐 통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2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430A (ko) * 2011-07-21 2013-01-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폐커넥터
KR101479056B1 (ko) * 2013-10-11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쉴드커넥터
KR20170079581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접압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430A (ko) * 2011-07-21 2013-01-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폐커넥터
KR101479056B1 (ko) * 2013-10-11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쉴드커넥터
KR20170079581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접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271B1 (ko) 202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7292B2 (en) Seal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US8808026B2 (en) Waterproof structure
US9455525B2 (en) Connector with flexible conductive member to isolate terminal from vibrations in a wire
JP63644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2009038032A (ja) 配電モジュール
CN110323589B (zh) 汇流条组件、端子块以及车辆装置
US11066024B2 (en) Grommet assembly
KR101645114B1 (ko) 와이어 하네스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107819251B (zh) 连接器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JP2004319196A (ja) シールド接続構造
KR20220107630A (ko) 차폐 통합 커넥터
US838837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416478A1 (en) Shielded connector
KR20150074033A (ko) 전기 접속 시스템
KR20150042019A (ko) 고전압 커넥터
WO2020230583A1 (ja) コネクタ
US12003060B2 (en) Connector and cover unit having shield and cover
JP7460543B2 (ja) 複数の方向性を有する導電性ハウジングを使用したコネクタ用の電磁障害(emi)地絡保護方法
US20220311190A1 (en) Connector and cover unit
CN113904162B (zh) 连接器
CN113471894B (zh) 保护器及用于保护器的连接器固定结构
KR20240061567A (ko) 피메일커넥터
JP5896120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