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56U - 와이어커버 - Google Patents

와이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56U
KR20120004256U KR2020100012600U KR20100012600U KR20120004256U KR 20120004256 U KR20120004256 U KR 20120004256U KR 2020100012600 U KR2020100012600 U KR 2020100012600U KR 20100012600 U KR20100012600 U KR 20100012600U KR 20120004256 U KR20120004256 U KR 201200042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ortion
fastening hook
fasten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256U/ko
Publication of KR20120004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와이어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와이어커버는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 사이의 결합을 위해 체결걸이판(20)과 체결후크판(26)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은 상기 제1몸체부(11)와의 사이에 안착공간(20')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의 안착공간(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체결후크판(26)은 연장판부(28)와 탄성변형판부(30)가 서로 마주보게 일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안착공간(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판부(28)는 제1몸체부(11)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변형판부(30)는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밀착부(23)에는 걸이공(24)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판부(30)에는 상기 걸이공(24)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 사이의 결합을 위한 체결걸이판(20)와 체결후크판(26)이 서로 면접촉을 하면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커버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와이어커버의 기능상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커버{Wire cover}
본 발명은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와이어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의 후단과 이에서 연장된 와이어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와이어커버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기기의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결합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커넥터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서는 후방으로 와이어(W)가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을 통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와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는 와이어커버(4)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하우징(2)의 후단 일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커넥터하우징(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서 와이어(W)가 연장되는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와이어(W)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와이어(W)의 연장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커버(4)는 크게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8)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8)는 각각 상기 와이어커버(4)의 상부 및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8)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의 후단과 와이어(W)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5)의 외면에는 체결턱(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6)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9)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후크(9)가 걸어져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부(8)의 외면에는 체결후크(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체결턱(6)에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몸체부(8)를 제1몸체부(5)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부(8)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제1몸체부(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부(8)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체결턱(6)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체결턱(6)과 체결후크(9)의 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후크(9)를 상기 제2몸체부(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체결턱(6)으로부터 체결후크(9)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8)를 제1몸체부(5)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4)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는 다수개의 체결턱(6)과 체결후크(9)의 쌍에 의해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턱(6)은 조그만 돌기형상으로, 이 것이 체결후크(9)에 걸어지는데, 상기 체결턱(6)의 크기가 작아 상기 체결후크(9)와 걸어지는 부분이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가 서로 맞닿아 있는 길이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커버(4)에 비틀림이 발생하면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가 서로 접촉된 부분이 어긋나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와이어(W)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된 와이어커버에서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커넥터하우징과 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판형상의 밀착부를 구비하는 체결걸이판과;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중 상기 체결걸이판이 형성된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걸이판의 안착공간 내부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후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결합된 선단은 상대적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큰 대경부이고 후단은 상대적으로 내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작은 소경부로 형성되어, 상기 소경부쪽으로 와이어가 돌출되는 와이어통공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걸이판은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과 마주보는 밀착부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후크판은 상기 제2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의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선단에서 상기 연장판부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탄성변형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변형판부는 상기 체결걸이판의 밀착부에 밀착된다.
상기 체결걸이판의 밀착부와 상기 체결후크판의 탄성변형판부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걸이돌기와 걸이공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판의 밀착부 양측에는 밀착부의 양측과 제1몸체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차폐부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와이어커버에서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걸이판과 체결후크판이 서로 면접촉하면서 체결되므로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의 틀어짐 발생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커버의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보다 견고하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커버의 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체결걸이판 내부의 안착공간에 체결후크판에 안착되어 고정되므로 체결걸이판과 체결후크판 사이의 상대 이동이 없어지게 되어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와이어커버는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전체 형상은 서로 대칭이 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반드시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서로 대칭일 필요는 없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는 와이어커버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종방향으로 나누어져 와이어커버를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내부공간(13)을 형성하는데, 상기 내부공간(13)에 커넥터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의 후단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을 덮어 보호하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커버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후단을 감싸는 대경부(14)와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소경부(16)로 구성된다. 상기 대경부(14)는 상기 와이어커버에서 상대적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외관도 역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소경부(16)는 상기 대경부(14)에 비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13)은 와이어커버의 선단으로 개구된 부분으로 커넥터하우징이 돌출되어 연장되고, 후단으로 개구된 부분인 와이어통공(18)을 통해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몸체부(11)에는는 체결걸이판(2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은 상기 제1몸체부(1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부(1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부(11)의 외면과 나란히 연장되는 밀착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2)와 밀착부(23)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상기 연장부(22)는 곡면판 형상이고 상기 밀착부(23)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내면과 제1몸체부(11)의 외면 사이에는 안착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20')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부(23)의 양측부와 상단부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밀착부(23)에는 걸이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공(24)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돌기(32)가 걸어지는 부분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공(24)이 상기 밀착부(2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밀착부(23)의 내면에 요입된 홈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체결걸이판(20)과 체결되는 체결후크판(26)이 제2몸체부(12)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판(26)은 상기 제2몸체부(12)의 외면에 형성된 연장판부(28)와 상기 연장판부(28)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부(28)와 일단부가 연결된 탄성변형판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판부(28)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인데, 그 일단부만이 상기 제2몸체부(12)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2몸체부(12)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판부(28)는 상기 제2몸체부(12)중 상기 제1몸체부(11)와 맞닿는 부분에 인접한 외면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데, 상기 제1몸체부(1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장된다.
상기 탄성변형판부(30)는 상기 연장판부(28)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변형판부(30)는 상기 연장판부(28)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변형판부(30)는 상기 연장판부(28)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체결걸이판(20)의 안착공간(20')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후크판(26)의 탄성변형판부(30)와 연장판부(28)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외면과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내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밀착부(23) 내면에는 상기 탄성변형판부(30)가 밀착된다.
상기 탄성변형판부(30)의 외면에는 걸이돌기(3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32)는 상기 밀착부(23)의 걸이공(24)에 걸어져 상기 체결걸이판(20)과 체결후크판(26)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걸이판(20)과 체결후크판(26)의 쌍은 본 실시예에서 총 4개가 구비된다. 즉, 상기 대경부(14)의 양측에 각각 한쌍씩, 소경부(16)의 양단에 각각 한쌍식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의 크기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밀착부(23) 양단과 제1몸체부(11)의 외면을 연결하여 상기 안착공간(20')의 양측을 차폐하는 차폐부(2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23')는 상기 체결후크판(26)이 안착공간(20')에서 유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 물론, 상기 걸이돌기(32)가 상기 걸이공(24)에 걸어진 것으로도 체결후크판(26)이 안착공간(20')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차폐부(23')는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엇갈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와이어커버는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커넥터하우징의 후단과 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를 차폐하여 보호하는데, 특히 하우징의 후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을 와이어커버의 소경부(16)가 안내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커버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설치한 후에 커넥터하우징의 후단과 와이어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후단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가지런히 모아 제1몸체부(11)나 제2몸체부(12)의 소경부(16)를 통과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먼저 제1몸체부(11)에 와이어를 위치시켰다면, 상기 제2몸체부(12)를 제1몸체부(11)상에 위치시켜 결합되게 한다.
즉,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맞닿는 부분이 맞닿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걸이판(20)의 안착공간(20')에 상기 체결후크판(26)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후크판(26)은 상기 연장판부(28)와 탄성변형판부(30)가 동시에 상기 안착공간(20') 내로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어 연장판부(28)와 탄성변형판부(3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된다.
상기 탄성변형판부(30)의 걸이돌기(32)가 상기 밀착부(23)의 걸이공(24)에 걸어지면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가 서로 결합된다. 물론, 와이어커버에 구비된 모든 체결걸이판(20)와 체결후크판(26)의 쌍이 다 결합되어야 된다.
이와 같이 체결걸이판(20)의 안착공간(20') 내에 체결후크판(26)이 삽입되어 걸어지면, 상기 체결후크판(26)의 연장판부(28)는 제1몸체부(11)의 외면에 상기 탄성변형판부(30)는 상기 체결걸이판(20)의 밀착부(23) 내면에 밀착된다.
즉, 연장판부(28)와 제1몸체부(11), 탄성변형판부(30)와 밀착부(23)가 각각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체결걸이판(20)이 체결후크판(26)을 고정하게 되므로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12) 사이의 결합은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이돌기(32)가 걸이공(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현상까지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부(11)에 체결걸이판(20)이 형성되고, 제2몸체부(12)에 체결후크판(26)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제1몸체부(11)에 체결후크판(26)이 형성되고, 제2몸체부(12)에 체결걸이판(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공(24)과 걸이돌기(32)의 위치 또한 서로 반대로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걸이공(24)이 체결후크판(26)에 형성되고 걸이돌기(32)가 체결걸이판(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11: 제1몸체부 12: 제2몸체부
13: 내부공간 14: 대경부
16: 소경부 18: 와이어통공
20: 체결걸이판 20': 안착공간
22: 연장부 23: 밀착부
24: 걸이공 26: 체결후크판
28: 연장판부 30: 탄성변형판부
32: 걸이돌기

Claims (6)

  1. 커넥터하우징과 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판형상의 밀착부를 구비하는 체결걸이판과;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중 상기 체결걸이판이 형성된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걸이판의 안착공간 내부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후크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결합된 선단은 상대적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큰 대경부이고 후단은 상대적으로 내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작은 소경부로 형성되어, 상기 소경부쪽으로 와이어가 돌출되는 와이어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걸이판은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과 마주보는 밀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판은 상기 제2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의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선단에서 상기 연장판부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탄성변형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변형판부는 상기 체결걸이판의 밀착부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걸이판의 밀착부와 상기 체결후크판의 탄성변형판부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걸이돌기와 걸이공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걸이판의 밀착부 양측에는 밀착부의 양측과 제1몸체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차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KR2020100012600U 2010-12-06 2010-12-06 와이어커버 KR201200042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00U KR20120004256U (ko) 2010-12-06 2010-12-06 와이어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00U KR20120004256U (ko) 2010-12-06 2010-12-06 와이어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56U true KR20120004256U (ko) 2012-06-14

Family

ID=7288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00U KR20120004256U (ko) 2010-12-06 2010-12-06 와이어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2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83A (ko) * 2016-12-27 2018-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코어 와이어 쉴드용 서포트 쉴드
JP2021048072A (ja) * 2019-09-19 2021-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カ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83A (ko) * 2016-12-27 2018-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코어 와이어 쉴드용 서포트 쉴드
JP2021048072A (ja) * 2019-09-19 2021-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717B2 (en) Connector with a cover with wire guides bending a wire in opposite directions
KR101637721B1 (ko)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US7772498B2 (en) Wire holder
JP5517272B1 (ja) コネクタ
US10566775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rotection member
US8408934B2 (en) Connector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JP572481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229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20004256U (ko) 와이어커버
KR20080000850U (ko) 커넥터의 보호커버
KR20090022945A (ko) 와이어커버
JP6506904B2 (ja) コネクタ
KR20090043338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100998832B1 (ko) 통전용 탄성편,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및 차폐 커넥터세트
JP570301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KR20090022954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JP202017063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付き電線
KR101001884B1 (ko) 와이어커버
TWI649924B (zh) 電連接器
US12003060B2 (en) Connector and cover unit having shield and cover
KR200465856Y1 (ko)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JP503066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KR20080004985U (ko) 와이어커버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