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84B1 - 와이어커버 - Google Patents
와이어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1884B1 KR101001884B1 KR1020080060438A KR20080060438A KR101001884B1 KR 101001884 B1 KR101001884 B1 KR 101001884B1 KR 1020080060438 A KR1020080060438 A KR 1020080060438A KR 20080060438 A KR20080060438 A KR 20080060438A KR 101001884 B1 KR101001884 B1 KR 101001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body portion
- deformation
- connector housing
- press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needles or p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커버(10)는 커넥터하우징과 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W)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11)와, 상기 제1몸체부(11)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의 나머지 부분을 일부를 감싸는 제2몸체부(21)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1) 또는 제2몸체부(21)의 외면에는 변형고정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제1몸체부(11) 또는 제2몸체부(21)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21)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내부공간(S)을 향해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W)를 가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커버(10)의 일면에는 변형고정부(2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으로 변형되면서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W)를 가압하므로 외력에 의해 와이어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변형고정부(26)는 와이어(W)의 개수에 상관없이 변형되어 와이어(W)를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와이어, 와이어커버, 고정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와이어커버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기기의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결합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커넥터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되어, 소정거리 이격된 기타 상대물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는 와이어커버(4)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하우징(2)의 일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커넥터하우징(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연결되는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와이어(W)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와이어(W)의 연장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커버(4)는 크게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8)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8)는 각각 상기 와이어커버(4)의 상부 및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8)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W)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5)의 외면에는 체결턱(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6)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9)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후크(9)가 걸어져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부(8)의 외면에는 체결후크(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체결턱(6)에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몸체부(8)를 제1몸체부(5)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부(8)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제1몸체부(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부(8)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체결턱(6)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5)와 제2몸체부(6)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체결턱(6)과 체결후크(9)의 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후 크(9)를 상기 제2몸체부(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체결턱(6)으로부터 체결후크(9)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8)를 제1몸체부(5)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4)의 내부공간에는 다수개의 상기 와이어(W)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커버(4)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W)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와이어(W)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와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불안정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커버(4)의 내부에는 안착리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리브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와이어(W)가 한꺼번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안착리브는 상기 와이어커버(4)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W)의 개수가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을 경우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변형고정부가 구비되는 와이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개수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는 변형고정부가 구비되는 와이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과 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내부공간 방향 또는 내부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변형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형고정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고, 상기 변형고정부는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각각 연결되는 변형판;으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누름판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고정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변형판의 변형으로 상기 누름판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가압한다.
상기 고정리브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과 상기 변형판을 합한 길이는 상기 누름판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각각 연결된 변형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의 양단과 인접한 상기 변형판의 외면 및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인접한 상기 변형판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접이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커버의 일면에는 변형고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커버의 내부공간으로 변형되면서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가압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와이어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와이어와 연결된 터미널과의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변형고정부는 와이어의 개수에 상관없이 변형되어 와이어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와이어가 정렬된 한 묶음 형태가 되어 서로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각각이 외부 충격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터미널과의 연결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와이어커버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선 I-I에 따른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미도시)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은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는 와이어(W)가 관통하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되는 터미널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와이어커버(10)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10)는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 및 상기 와이어(W)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커버(10)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그 일측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감싸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W)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 부분이 차폐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인 터미널과 와이어(W)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10)는 그 일측을 하우징차폐부(10')가 형성하고, 타측을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안내부(10'')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차폐부(10')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후단부가 결합되어 차폐되고, 와이어안내부(10'')를 통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연결된 와이어(W)가 외부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커버(10)는 두 부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커버(10)는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2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 및 와이어(W)를 감싸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와이어커버(1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를 감싸 결합 되어야 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두 부분을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면을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되는 커넥터하우징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설계할 수 있어 상기 와이어커버(10)와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21)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서로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 와이어(W)가 안착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간(S)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와 이어커버(10)를 두 개의 몸체로 구성한 것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와이어(W)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를 감싸도록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몸체부(11)의 외면에는 체결턱(1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24)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후크(24)가 걸어져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21)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부(21)의 외면에는 체결후크(2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24)는 상기 체결턱(14)에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몸체부(21)를 제1몸체부(11)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후크(24)는 상기 제2몸체부(24)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제1몸체부(1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24)는 상기 제2몸체부(21)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체결턱(14)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10')에 해당되는 상기 제2몸체부(21)의 외면에는 변형고정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제2몸체부(21)의 일부가 상기 제2몸체부(2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와이어(W)를 가압하여 상기 와이어(W)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제2몸체부(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누름판(26a)과 상기 누름판(26a)의 양단에 형성되는 변형판(26b)으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26a)은 상기 와이어(W)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변형판(26b)는 상기 누름판(26a)의 양단에 형성되어 각각 상기 제2몸체부(21)와 연결된다. 상기 누름판(26a)의 길이(L1)와 상기 변형판(26b)을 합한 길이(L2,L3)는 상기 누름판(26a)을 중심으로 상기 제2몸체부(21)와 각각 연결된 변형판(26b)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변형고정부(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26a)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변형판(26b)이 변형되고, 상기 누름판(26a)이 이동되어 와이어(W)를 눌러주게 된다. 즉,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상기 누름판(26a)에는 고정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8)는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고정부(26)가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을 향해 눌려질 때, 상기 와이어(W)를 가압한다. 즉, 상기 고정리브(28)는 상기 와이어(W)와 커넥터하우징의 터미널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리브(28)는 상기 와이어(W)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다수개의 상기 와이어(W)를 한꺼번에 정렬하여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리브(28)에는 선단을 향해 안내경사면(28')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8')은 상기 고정리브(28)가 상기 와이어(W)를 견고하게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변형고정부(26)와 제2몸체부(21)의 사이에는 변형공간(29)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29)은 상기 변형고정부(26)가 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빈 공간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판(26a)의 양단과 인접한 상기 변형판(26b)의 외면에는 제1접이채널(30a)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접이채널(30a)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접이채널(30a)은 상기 고정리브(28)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접이채널(30a)은 상기 변형고정부(26)가 원활하게 변형되도록 상기 변형판(26b)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접이채널(3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고정부(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접혀져 면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과 마주보는 상기 변형판(26b)의 내면에는 제2접이채널(30b)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접이채널(30b)은 상기 제2몸체부(21)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접이채널(30b)은 상기 제1접이채널(30a)과 마찬가지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접이채널(30b)은 상기 제1접이채널(30a)이 요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접이채널(30b)은 상기 제1접이채널(30a)과 함께 상기 변형고정부(26b)가 원활하게 변형되도록 상기 변형판(26b)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2접이채널(30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고정부(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접혀져 면접촉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커버(10)는 와이어(W)가 연결된 커넥터하우징의 일부를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커 넥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W)를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부(11)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서, 제2몸체부(21)는 타측에서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몸체부(11,21)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과 와이어(W)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커버(10)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과 이에 연결된 와이어(W)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11)와 제2몸체부(21)를 결합시킨다.
우선,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작업자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내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와이어안내부(10'')로 연장되게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위치시킨다. 상기 제1몸체부(11)의 내면에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면이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W)는 플랙시블한 소재이므로 상기 와이어커버(10)의 형상을 따라 그 후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몸체부(11)에 제2몸체부(21)를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및 제2몸체부(11,21)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결후크(24)가 상기 체결턱(14)에 탄성변형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면 와이어커버(1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변형고정부(2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변형고정부(26)의 누름판(26a)을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을 향해 누른다. 이때, 상기 와이어커버(1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큰 힘을 주 지 않아도 상기 변형고정부(26)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판(26a)을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판(26a)과 상기 누름판(26a)의 양단에 연결된 변형판(26b)이 함께 상기 내부공간(S)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누름판(26a)이 상기 제2몸체부(21)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상기 와이어커버(10)의 내부공간(S)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판(26a)의 고정리브(28)가 다수개의 상기 와이어(W)을 가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원상태으로 복원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리브(28)가 상기 와이어(W)를 가압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터미널과의 연결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와이어(W)의 개수에 상관없이 변형되어 상기 와이어(W)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와이어(W)가 정렬된 한 묶음 형태가 되어 서로 밀착된다.
한편, 상기 변형고정부(26)를 상기 와이어(W)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형고정부(26)의 누름판(26a)을 누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판(26a)을 누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변형고정부(26)는 원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고정리브(28)는 상기 와이어(W)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게 된다(도 2 참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형고정부(26)는 제2몸체(21)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변형고정부(26)는 제1몸체(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와이어커버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 I-I에 따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와이어커버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와이어커버 10': 하우징차폐부
10'': 와이어안내부 11: 제1몸체부
14: 체결턱 21: 제2몸체부
24: 체결후크 26: 변형고정부
26a: 누름판 26b: 변형판
28: 고정리브 28': 안내경사면
30a: 제1접이채널 30b: 제2접이채널
S: 내부공간 W: 와이어
Claims (7)
- 커넥터하우징과 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상기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몸체부; 그리고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내부공간 방향 또는 내부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변형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변형고정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고,상기 변형고정부는,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누름판과;상기 누름판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각각 연결되는 변형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누름판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고정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변형판의 변형으로 상기 누름판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리브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누름판과 상기 변형판을 합한 길이는 상기 누름판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각각 연결된 변형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누름판의 양단과 인접한 상기 변형판의 외면 및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인접한 상기 변형판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접이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438A KR101001884B1 (ko) | 2008-06-25 | 2008-06-25 | 와이어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438A KR101001884B1 (ko) | 2008-06-25 | 2008-06-25 | 와이어커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807A KR20100000807A (ko) | 2010-01-06 |
KR101001884B1 true KR101001884B1 (ko) | 2010-12-17 |
Family
ID=4181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0438A KR101001884B1 (ko) | 2008-06-25 | 2008-06-25 | 와이어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188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3127B1 (ko) | 2000-12-15 | 2003-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컨넥터의 와이어링 보호구조 |
KR200370917Y1 (ko) * | 2004-09-08 | 2004-12-20 | 대은전자 주식회사 | 모듈라 플러그 |
-
2008
- 2008-06-25 KR KR1020080060438A patent/KR1010018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3127B1 (ko) | 2000-12-15 | 2003-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컨넥터의 와이어링 보호구조 |
KR200370917Y1 (ko) * | 2004-09-08 | 2004-12-20 | 대은전자 주식회사 | 모듈라 플러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807A (ko)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045106A1 (en) | Wiring harness | |
CN108631110B (zh) | 电缆线束插头 | |
JP6448925B2 (ja) | コネクタ | |
CN110065449B (zh) | 电接线盒和保护构件的连接结构 | |
US20150179301A1 (en) | 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 |
KR101234175B1 (ko) | 자체 정렬 연결구 | |
US9343889B2 (en) | Electric wire fixing device | |
US8408934B2 (en) | Connector | |
KR20080000850U (ko) | 커넥터의 보호커버 | |
KR20100070742A (ko) |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 |
KR101001884B1 (ko) | 와이어커버 | |
KR20090022945A (ko) | 와이어커버 | |
EP2869406B1 (en) | Seal-preserving contact element with a position securing element | |
KR20090043338A (ko)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
US10737643B2 (en) | Engaging member | |
KR20120004256U (ko) | 와이어커버 | |
KR20090022954A (ko)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
KR101473483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JP5703011B2 (ja) |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 |
KR20080004985U (ko) | 와이어커버 | |
KR100998832B1 (ko) | 통전용 탄성편,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및 차폐 커넥터세트 | |
KR20080108822A (ko) | 커넥터용 더미캡 | |
KR102695394B1 (ko) | 패널장착형 커넥터 | |
KR200465856Y1 (ko) |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 |
CN113013803B (zh) | 保护器及线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