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850U - 커넥터의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850U
KR20080000850U KR2020060028694U KR20060028694U KR20080000850U KR 20080000850 U KR20080000850 U KR 20080000850U KR 2020060028694 U KR2020060028694 U KR 2020060028694U KR 20060028694 U KR20060028694 U KR 20060028694U KR 20080000850 U KR20080000850 U KR 200800008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coupling
housing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850U/ko
Publication of KR20080000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8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커넥터하우징(10)과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튜브(18)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결합면(25)에는 요입채널(26)이 형성되는 제1몸체(21)와, 상기 제1몸체(21)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제1몸체(21)와 결합되는 결합면(35)에는 상기 요입채널(26)과 형합되는 리브(36)가 형성되는 제2몸체(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보호커버에 의하면, 보호커버(20)의 각 몸체의 결합면(25,35)에는 서로 대응되는 리브(36)와 요입채널(26)이 형성되어 두 몸체(21,31)가 서로 어긋날 염려 없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두 결합면(25,35) 사이가 밀폐되어 결합면(25,35)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와이어, 보호커버

Description

커넥터의 보호커버{Protective cover for connector}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하우징보호커버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보호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의 보호커버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이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3의 Ⅰ-Ⅰ'선 및 Ⅱ-Ⅱ'선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보호커버 21: 제1몸체
24,34: 결합공 25,35: 결합면
26: 요입채널 27: 걸이후크
28,38: 결합리브 29: 고정턱
31: 제2몸체 36: 리브
37: 걸이턱 39: 고정홈
40: 연결리드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가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하우징보호커버가 결합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과 연결되어, 소정거리 이격된 기타 상대물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튜브(2)에 의해 감싸져 보호된다.
상기 하우징(1)에는 보호커버(4)가 결합된다. 상기 보호커버(4)는 상기 하우 징(1)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상기 하우징(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보호커버(4)는 상기 하우징(1)과 튜브(2)가 연결되는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하우징(1)과 와이어의 연결 부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서 하우징(1)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4)는 제1몸체(5)와 제2몸체(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는 체결후크(7)와 체결턱(8)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을 감싸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는 상기 하우징(1)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호커버(4)는 그 부피를 줄이기 위해 두께가 얇게 만들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되, 그 결합체가 차량내부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보호커버(4)가 얇게 형성되면,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 사이의 결합이 어긋나기 쉬워진다. 왜냐하면, 상기 보호커버(4)의 두께가 얇아지면, 제1몸체(5)와 제2몸체(6)의 결합면 역시 그 폭이 좁아지게 되어, 약간의 외력만 가해져도 쉽게 결합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두 몸체(5,6) 사이의 결합이 쉽게 어긋날 수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에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몸체(5,6)의 결합면은 그 폭에 비해 전체 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되므로, 역시 쉽게 어긋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보호커버(4)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가하게 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몸체(5,6) 사이의 결합이 어긋나게 될 가능성이 높고, 이렇게 되면, 다시 분리 후에 재작업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외력이 상기 보호커버(4)에 전해지는 경우, 결합면 사이가 쉽게 어긋나 벌어지게 되어 그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될 수 있고, 따라서, 이로 인해 커넥터의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을 감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호커버의 결합면을 통해 커넥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하우징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튜브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결합면에는 요입채널이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튜브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상기 요입채널과 형합되는 리브가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요입채널 및 상기 리브는 각각 상기 제1몸체의 결합면과 제2몸체의 결합면을 따라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요입채널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의 결합면과 상기 제2몸체의 결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턱과 고정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플랙시블한 특성을 갖는 연결리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후크 및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튜브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보호커버에 의하면, 보호커버의 각 몸체의 결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리브와 요입채널이 형성되어, 두 몸체(5,6)가 서로 어긋날 염려 없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고, 결합면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보호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의 보호커 버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이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선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결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2)에는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대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4)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관통공(14)의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14)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은 모두 개구되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에는 터미널이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6)는 아래에서 설명할 보호커버(20)에 형성된 결합공(24,34)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들을 보호하기 위해 와이어튜브(18)가 결합된다. 즉, 상기 와이어를 감싸 외부로부터 차폐하도록 와이어튜브(18)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튜브(1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홈(19)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와이어튜브(18)가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보호커버(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와이어튜브(18)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튜브(18)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와 하우징(10) 사이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그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을 감싸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튜브(18)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의 결합부분이 차폐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인 터미널과 와이어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0)는 두 부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20)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3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를 감싸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를 감싸 결합되어야 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두 부분을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몸체(21)는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의 일부, 즉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를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잘랐을 때 일측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2에서 보듯이, 상기 제1몸체(21)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몸체(31)와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S)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내부공간(S)에는 상기 하우 징(10)과 와이어튜브(18)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몸체(21)는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의 하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제1몸체(21)에는 상기 결합돌기(16)에 대응되는 결합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4)에는 상기 결합돌기(1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 보호커버(20) 사이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공(24)은 상기 결합돌기(16)에 대응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21)에는 결합면(2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25)은 상기 제2몸체부(31)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제2몸체부(31)의 결합면(35)과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면(25)은 상기 제1몸체(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25)에는 요입채널(26)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채널(26)은 상기 결합면(25)이 함몰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요입채널(26)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브(36)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서로 형합되어 두 몸체(21,31)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요입채널(26)은 리브(36)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요입채널(26)은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25)의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21)에는 걸이후크(27)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7)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턱(37)에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몸체(21)를 제2몸체(31)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후크(27)는 상기 결합면(25) 보다 상기 제2몸 체(31)를 향해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7)는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21)의 내면에는 결합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8)는 상기 와이어튜브(18)의 홈(19)에 삽입되어,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와이어튜브(18)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다수개의 결합리브(28)가 형성되면, 각 결합리브(28)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홈(19)과 홈(19)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어야 한다.
상기 결합면(25)에는 고정턱(2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29)은 상기 결합면(25)으로부터 제2몸체부(31)의 결합면(35)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홈(39)에 삽입됨으로써, 두 몸체(21,31) 사이의 위치를 고정하고, 요입채널(26) 및 리브(36)와 함께, 두 몸체(21,31)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몸체(21)부에는 제2몸체부(31)가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부(31)는 상기 제1몸체(21)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몸체(31)는 상기 제1몸체(21)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S)을 형성하고, 내부공간(S)에는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몸체(31)는 상기 제1몸체(2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제1몸체(21)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20)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몸 체(21)와 제2몸체(31)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더 크게 형성되어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을 더 많이 감쌀 수도 있다.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몸체(31)는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의 상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제2몸체부(31)에는 상기 결합돌기(16)에 대응되는 결합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4)에는 상기 제1몸체(21)부의 결합공(24)과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돌기(1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 보호커버(20) 사이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공(34)은 상기 결합돌기(16)에 대응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31)에는 결합면(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35)은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25)과 접하여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2몸체(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35)에는 리브(36)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36)는 상기 결합면(35)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36)는 상기 요입채널(26)과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요입채널(26)과 형합되어 두 몸체(21,31)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리브(36)는 상기 요입채널(26)의 형상과 대응되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두 몸체(21,31) 사이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리브(36)가 상기 요입채널(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리브(36)는 상기 요입채널(26)과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면(35)을 따라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몸체(31)는 상기 제1몸체(21)와의 결합과정이나, 결합된 후 외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서로 어긋남 없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몸체(31)에는 걸이턱(3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7)은 상기 걸이후크(27)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상기 걸이후크(27)가 걸어짐으로써 상기 두 몸체(21,31)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37)은 상기 걸이후크(27)에 대응하여 제2몸체(31)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31)의 내면에는 결합리브(3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8)는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리브(28)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튜브(18)의 홈(19)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와이어튜브(18)와 보호커버(2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38)는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리브(28)와 대응하여 두 개 이상이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다수개의 결합리브(38)가 형성되면, 각 결합리브(38)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홈(19)과 홈(19)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어야 한다.
상기 결합면(35)에는 고정홈(39)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9)은 상기 고정턱(29)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결합면(35)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39)에는 상기 고정턱(29)이 삽입됨으로써 두 몸체(21,31) 사이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요입채널(26) 및 리브(36)와 함께, 두 몸체(21,31)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 몸체(21,31) 사이는 연결리드(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리드(40)에 의해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31)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31)를 구별하여 별개로 보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리드(4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플렉시블한 바형상으로 된다. 이는 상기 두 몸체(21,31)가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튜브(18)에 결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굽힘모멘트에 의해 상기 연결리드(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두 몸체(21,31)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리드(40)가 굽혀진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두 몸체(21,31)가 상기 연결리드(40)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보호커버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보호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의 일부를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를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21)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제2몸체(31)는 타측에서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35)과 제2몸체(31)의 결합면(25)이 서로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두 몸체(21,31)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하우징(10)에 터미널과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20)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하우징(10)에 터미널과 이에 연결된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와이어튜브(18)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31)를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31)를 하우징(10)과 와이어의 연결 부위로 가져간다. 이때, 상기 두 몸체(21,31)는 서로 펼쳐진 상태이다.
그리고, 제1몸체(21)를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10)의 하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제2몸체(31)를 반대방향, 즉 하우징(10)의 상방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가 굽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두 몸체(21,31)는 상기 결합공(24,34)이 상기 결합돌기(16)에 끼워지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두 몸체(21,31)를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후크(27)와 걸이턱(37)이 체결된다. 즉, 걸이후크(27)의 선단이 걸이턱(37)에 접할 때 힘을 더 가하면, 상기 걸이후크(27)는 상기 걸이턱(37)을 타고 넘으면서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27)가 걸이턱(37)에 완전히 걸어지면, 상기 걸이후크(27)는 원상으로 복원되어 두 몸체(21,31) 사이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25)에 형성된 요입채널(26)에 상기 리브(36)가 삽입된다. 즉, 상기 두 결합면(25,35)에 형성된, 서로 대응되는 요입채 널(26)과 리브(36)가 형합됨으로써, 보호커버(2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두 몸체(21,31)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걸이턱(37)과 걸이후크(27)를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두 결합면(25,35)이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고 서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턱(29)은 상기 고정홈(39)에 삽입되어 진다. 이는 상기 리브(36) 및 요입채널(26)과 함께, 두 결합면(25,35)이 서로 대응되는 정확한 위치에서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결합리브(28,38)는 상기 와이어튜브(18)의 홈(19)에 끼워진다. 즉, 상기 두 몸체(21,31)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리브(28,38)는 상기 홈(19)에 삽입되어 와이어튜브(18)에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두 몸체(21,31)의 결합리브(28,38)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므로 두 몸체(21,31)가 결합되면 자연스럽게 이어져, 상기 결합리브(28,38)는 상기 홈(19)에 대응되는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28,38)가 두 개 이상 형성되면, 각각 인접한 홈(19)에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호커버(20)는, 그 일측에서는 결합공(24,34)과 결합돌기(16)에 의해 하우징(10)과 결합되고, 타측에서는 결합리브(28,38)에 의해 와이어튜브(18)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과 와이어튜브(18)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동시에, 하우징(10)과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걸이후크(27)와 걸이턱(37)은 각각 제2몸체부(31)와 제1몸체(21)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요입채널(26)과 리브(36)도 각각 제2몸체부(31)와 제1몸체(21)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보호커버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보호커버는, 두 몸체로 구성되고 각 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입채널과 리브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 몸체를 결합하는 과정이나, 결합된 후 사용 중에 커넥터하우징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두 몸체 사이가 서로 어긋나거나 결합면이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호커버의 조립시에 재조립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좋아지고,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입채널과 리브에 의한 결합으로, 두 몸체의 결합면 사이가 보다 확실하게 밀폐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결합면 사이로 침투하여 커넥터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튜브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결합면에는 요입채널이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튜브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상기 요입채널과 형합되는 리브가 형성되는 제2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보호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보호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채널 및 상기 리브는 각각 상기 제1몸체의 결합면과 제2몸체의 결합면을 따라 전체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보호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요입채널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보호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결합면과 상기 제2몸체의 결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턱과 고정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보호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플랙시블한 특성을 갖는 연결리드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보호커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후크 및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튜브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보호커버.
KR2020060028694U 2006-10-30 2006-10-30 커넥터의 보호커버 KR200800008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94U KR20080000850U (ko) 2006-10-30 2006-10-30 커넥터의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94U KR20080000850U (ko) 2006-10-30 2006-10-30 커넥터의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850U true KR20080000850U (ko) 2008-05-07

Family

ID=4132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694U KR20080000850U (ko) 2006-10-30 2006-10-30 커넥터의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850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62Y1 (ko) * 2008-05-19 2011-03-08 박근만 부트
KR200461107Y1 (ko) * 2010-10-22 2012-06-29 박재홍 이어폰 보호캡
KR200465856Y1 (ko) * 2008-10-07 2013-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KR101640101B1 (ko) * 2015-03-19 2016-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와이어커버
KR20180076383A (ko) * 2016-12-27 2018-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코어 와이어 쉴드용 서포트 쉴드
KR20220085172A (ko) * 2020-12-15 2022-06-2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62Y1 (ko) * 2008-05-19 2011-03-08 박근만 부트
KR200465856Y1 (ko) * 2008-10-07 2013-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KR200461107Y1 (ko) * 2010-10-22 2012-06-29 박재홍 이어폰 보호캡
KR101640101B1 (ko) * 2015-03-19 2016-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와이어커버
KR20180076383A (ko) * 2016-12-27 2018-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코어 와이어 쉴드용 서포트 쉴드
KR20220085172A (ko) * 2020-12-15 2022-06-2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KR20230091848A (ko) * 2020-12-15 2023-06-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494B2 (en) 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KR20080000850U (ko) 커넥터의 보호커버
JP5227599B2 (ja) コネクタ
US6540547B2 (en) Cable harness plug having a securing device for the cable harness
JP635814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US9525278B2 (en) 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using tying member
US9017109B2 (en) Protector-attached connector
US20210031709A1 (en) Binding structure of wire routing material
US11031726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inflow resistant interface
KR20100059629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JP2011165429A (ja) コネクタ
JP7256272B2 (ja) 保護ワイヤーカバーアセンブリ、及びリード線を備えた装置
KR200438138Y1 (ko)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JP7189822B2 (ja) コネクタ構造
KR20090022945A (ko) 와이어커버
KR100848693B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090043338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JP570301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KR20090022954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20120004256U (ko) 와이어커버
KR20080004985U (ko) 와이어커버
JP5560740B2 (ja) ワイヤハーネスへの電子制御ユニット取付構造
JP2005259608A (ja) コネクタへの電線接続構造
JP503066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JP6344228B2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