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138Y1 -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138Y1
KR200438138Y1 KR2020060032681U KR20060032681U KR200438138Y1 KR 200438138 Y1 KR200438138 Y1 KR 200438138Y1 KR 2020060032681 U KR2020060032681 U KR 2020060032681U KR 20060032681 U KR20060032681 U KR 20060032681U KR 200438138 Y1 KR200438138 Y1 KR 200438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junction box
coupling hole
coupling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환
이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60032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1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링이 통과하도록 정션박스의 로우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에 엔트리를 결합시킬 때 결합홀의 변형을 방지하고, 결합홀과 엔트리 사이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는 와이어링이 통과하도록 정션박스의 로우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에 엔트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엔트리 결합구조에 있어서, 엔트리는 결합홀에 결합되며 와이링을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홀을 차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부몸체의 마감부 외측면의 양측으로 결합홀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엔트리의 보조마감부가 가이드리브를 감싸면서 결합되므로, 결합홀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에 수분이 정션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 1 및 제 2 삽입홈과 함께 한번 더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로우커버, 와이어링, 엔트리, 결합구조, 보조마감부

Description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Entry Combination Structure of Junction Box}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커버에 엔트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우커버 13 : 결합홀
14 : 가이드리브 15 : 제 1 삽입홈
16 : 체결리브 20 : 엔트리
21 : 상부몸체 22 : 제 1 고정부
24 : 걸림돌기 25 : 제 1 마감부
27 : 제 2 삽입홈 28 : 보조마감부
29 : 걸림턱 31 : 하부몸체
32 : 제 2 고정부 34 : 브래킷
35 : 제 2 마감부 40 : 와이어링
본 고안은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의 로우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의 변형을 방지하고, 결합홀과 엔트리 사이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조인트박스, 퓨즈박스 또는 정션박스 등의 다양한 박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정션박스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퓨즈 및 릴레에 등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한 박스로써, 차량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종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정션박스는 회로기판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로우커버와 로우커버의 상부를 차폐하는 메인커버플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로우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으로 각종 와이어링이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며, 결합홀에는 와이어링을 회로기판에 안내하도록 형성된 엔트리가 결합된다.
정션박스의 로우커버에 엔트리를 결합시킬 때에는 먼저 정션박스의 로우커버가 차체에 결합된 후 와이어링에 결합된 엔트리가 결합홀에 결합된다.
하지만, 정션박스의 로우커버를 차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로우커버를 고정하는 위치가 차체의 공차 때문에 약간의 변화가 생길 경우, 정션박스의 로우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우커버와 엔트리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고, 그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링이 통과하도록 정션박스의 로우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에 엔트리를 결합시킬 때 결합홀의 변형을 방지하고, 결합홀과 엔트리 사이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는 와이어링이 통과하도록 정션박스의 로우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에 엔트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엔트리 결합구조에 있어서, 엔트리는 결합홀에 결합되며 와이링을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홀을 차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부몸체의 마감부 외측면의 양측으로 결합홀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정션박스는 상기 보조마감부의 외부를 감싸는 체결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마감부의 외측 하단부에 엔트리가 결합홀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리브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커버에 엔트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에 의하면, 와이어링(40)이 통과하도록 정션박스의 로우커버(10)에 형성된 결합홀(13)에 엔트리(20)를 결합시킬 때 결합홀(13)과 엔트리(20) 사이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커버(10)는 정션박스의 하면과 측면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우커버(10)의 내부에는 정션박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측판(11)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11)의 일측에는 와이어링(40)이 통과하도록 소정 폭으로 절개된 결합홀(1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홀(13)은 그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3)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로우커버(10)의 측판(11)에는 "??" 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리브(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우커버(10)의 측판(11)과 가이드리브(14) 사이에 제 1 삽입홈(15)이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리브(14)의 상부 양측으로는 한 쌍의 체결리브(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리브(16)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 일측이 로우커버(10)의 측판(11)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엔트리(20)는 정션박스로 연결되는 와이어링(40)을 고정하는 동시에 로우커버(10)의 측판(11)에 형성된 결합홀(13)을 차폐한다. 이러한 엔트리(20)는 크게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31)로 나뉘어지며, 상부 및 하부몸체(21,31)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몸체(21,31)는 각각 와이어링(40)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22,32)와, 로우커버(10)의 측판(11)에 형성된 결합홀(13)에 결합되어 차폐하는 제 1 및 제 2 마감부(25,35)로 구성된다.
제 1 고정부(22)는 내부에 와이어링(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23)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다수의 결합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32)는 제 1 고정부(22)와 같이 내부에 고정홀(34)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24)가 결합되는 브래킷(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마감부(25)는 제 1 고정부(22)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로우커버(10)의 측판(1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제 1 마감부(25)의 하부는 고정홀(23)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 1 마감부(25)의 양측 단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26,26')에 의해 제 2 삽입홈(27)이 형성된다.
한편, 제 2 삽입홈(27)을 형성하는 외측 돌출부(26')의 내측 단부에는 제 2 삽입홈(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리브(16)의 외부를 감쌀 수 있는 보조마감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마감부(28)는 제 2 삽입홈(27)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형상은 가이드리브(14)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마감부(28)의 하단부에는 걸림턱(29)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마감부(35)는 제 2 고정부(32)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홀(13)의 하부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일측이 제 2 고정부(32)의 고정홀(33)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 2 마감부(35)의 외측 단부에는 제 1 마감부(25)의 제 2 삽입홈(27)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40)의 상·하부에 각각 엔트리(20)의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31)를 위치시키고, 와이어링(40)을 감싸도록 상부 및 하부몸체(21,31)를 결합한다. 이때, 상부몸체(21)의 결합돌기(24)가 하부몸체(31)의 브래킷(34)에 결합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이렇게 결합된 엔트리(20)를 로우커버(10)의 측판(11)에 형성된 결합홀(13)에 결합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3)의 단부가 엔트리(20)에 형성된 제 2 삽입홈(27)에 삽입되고, 제 2 삽입홀(27)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 돌출부(26') 가 로우커버(10)의 측판(11)과 가이드리브(14) 사이에 형성된 제 1 삽입홈(15)에 삽입된다. 또한, 보조마감부(28)가 가이드리브(14)를 감싸면서 가이드리브(14)와 체결리브(16) 사이로 삽입되며, 보조마감부(28)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9)이 체결리브(16)의 하단부에 결착된다. 따라서, 엔트리(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엔트리(20)에 형성된 보조마감부(28)가 가이드리브(14)를 감싸면서 결합됨으로써, 결합홀(13)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에 수분이 정션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 1 및 제 2 삽입홈(15,27)과 함께 한번 더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은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엔트리의 보조마감부가 가이드리브를 감싸면서 결합되므로, 결합홀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에 수분이 정션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 1 및 제 2 삽입홈과 함께 한번 더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와이어링이 통과하도록 정션박스의 로우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에 엔트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엔트리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링을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을 차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마감부 외측면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홀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보조마감부의 외부를 감싸는 체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감부의 외측 하단부에 상기 엔트리가 상기 결합홀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리브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KR2020060032681U 2006-12-27 2006-12-27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KR200438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81U KR200438138Y1 (ko) 2006-12-27 2006-12-27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81U KR200438138Y1 (ko) 2006-12-27 2006-12-27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138Y1 true KR200438138Y1 (ko) 2008-01-28

Family

ID=4133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681U KR200438138Y1 (ko) 2006-12-27 2006-12-27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13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92B1 (ko) * 2007-05-17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KR100957489B1 (ko) 2008-05-30 2010-05-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엔트리
KR100995274B1 (ko) * 2008-05-30 201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엔트리가 구비되는 박스
KR101035376B1 (ko) * 2009-01-19 2011-05-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박스
KR200463021Y1 (ko) * 2010-10-04 2012-10-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퓨즈 박스 유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92B1 (ko) * 2007-05-17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KR100957489B1 (ko) 2008-05-30 2010-05-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엔트리
KR100995274B1 (ko) * 2008-05-30 201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엔트리가 구비되는 박스
KR101035376B1 (ko) * 2009-01-19 2011-05-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박스
KR200463021Y1 (ko) * 2010-10-04 2012-10-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퓨즈 박스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6741B2 (ja) 電気接続箱
JP5943375B2 (ja) 電気接続箱
WO2011129336A1 (ja) コネクタ
US20050241715A1 (en) Protector
KR200438138Y1 (ko)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JP2004288545A (ja) コネクタ用プロテクタ
US9241417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8186614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9056992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保護カバー取付構造
JP5695975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装着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6681417B2 (ja) 電気接続箱と保護部材の連結構造
JP5634774B2 (ja) 防水ケース
JP5514528B2 (ja) 電気接続箱
JP200632009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プロテクタ挿通構造
JP7120852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339225B2 (ja) 樹脂構造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4600364B2 (ja) 電源分配構造
JP6613146B2 (ja) 電線固定構造
KR101035376B1 (ko) 퓨즈박스
JP4591374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7235550B2 (ja) プロテクタ
JP7348872B2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を備えた外装付ハーネス
JP6247890B2 (ja) クロージャカバー、クロージャカバーの設置方法
KR100957489B1 (ko) 케이블 엔트리
JP4183078B2 (ja) 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