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338A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3338A KR20090043338A KR1020070109136A KR20070109136A KR20090043338A KR 20090043338 A KR20090043338 A KR 20090043338A KR 1020070109136 A KR1020070109136 A KR 1020070109136A KR 20070109136 A KR20070109136 A KR 20070109136A KR 20090043338 A KR20090043338 A KR 20090043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ear cover
- connector housing
- connector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어커버(20)는 커넥터하우징(10)과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w)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몸체(21)와, 상기 제1몸체(21)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와이어(w)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몸체(41)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레버(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41)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버(22)가 걸어지는 걸이턱(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 중 상기 레버(22)의 양측과, 상기 제2몸체(41)의 외면 중 걸이턱(42)이 형성된 주변에는 보호리브(27,4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41)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29)와 홈부(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각각 탄성변형이 용이한 레버와 걸이턱이 구비됨에 따라, 두 몸체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레버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레버의 양측과 선단에는 보호리브가 구비됨에 따라, 리어커버와 커넥터하우징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레버가 임의로 눌러져 제1 및 제2몸체가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커넥터, 리어커버, 레버, 걸이턱, 장착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기기의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리어커버가 결합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커넥터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되어, 소정거리 이격된 기타 상대물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는 리어커버(4)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커버(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하우징(2)의 일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커넥터하우징(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연결되는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와이어(w)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커버(4)는 크게 제1몸체(5)와 제2몸체(8)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8)는 각각 상기 리어커버(4)의 상부 및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8)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w)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5)의 외면에는 체결턱(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6)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9)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후크(9)가 걸어져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8)의 외면에는 체결후크(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체결턱(6)에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몸체(8)를 제1몸체(5)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8)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제1몸체(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8)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체결턱(6)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체결턱(6)과 체결후크(9)의 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후크(9)를 상기 제2몸체(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체결턱(6)으로부터 체결후크(9)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8)를 제1몸체(5)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몸체(5,8)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몸체(8)에 형성된 체결후크(9)를 상기 체결턱(6)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체결후크(9)를 상기 제2몸체(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탄성변형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후크(9)가 소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커버(4)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후크(9)는 상기 제2몸체(8)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몸체(5,8)가 결합된 후 사용 중에 커넥터하우징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두 몸체(5,8) 사이가 서로 어긋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되는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하우징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호리브가 구비되는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면 가장자리에는 레버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레버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버가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외면 중 상기 레버의 양측과 상기 제2몸체의 외면 중 걸이턱이 형성된 주변에는 보호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와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는, 상기 레버의 양측에서부터 상기 레버가 상기 걸이턱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보호리브와; 상기 걸이턱을 둘러 돌출되게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보호리브와 마주보는 제2보호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는, 상기 제1몸체의 외면에 외팔보형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몸체의 걸이턱을 향해 연장되는 체결부; 그리고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커버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각각 탄성변형이 용이한 레버와 걸이턱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이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레버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레버의 양측과 선단에는 상기 레버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리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리어커버와 커넥터하우징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레버가 임의로 눌러져 제1 및 제2몸체가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몸체의 요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몸체의 요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일측에는 와이어(w)가 관통하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되는 터미널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리어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커버(20)는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0) 및 상기 와이어(w)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커버(20)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그 일측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을 감싸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w)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 부분이 차폐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인 터미널과 와이어(w)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커버(20)는 두 부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리어커버(20)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4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 및 와이어(w)를 감싸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리어커버(2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를 감싸 결합 되어야 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두 부분을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20)의 내면을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되는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설계할 수 있어 상기 리어커버(20)와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의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리어커버(20)는 그 일측을 하우징차폐부(20')가 형성하고, 타측을 와이어안내부(20'')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차폐부(20')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후단부가 결합되어 차폐되고, 상기 와이어안내부(20'')를 통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연결된 와이어(w)가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몸체(21)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 및 상기 와이어(w)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21)는 상기 제2몸체(41)와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S)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레버(22)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22)는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몸체(41)의 걸이턱(42)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두 몸체(21,41)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22)는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2)는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에 외팔보형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3)와, 상기 연결부(23)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 는 체결부(24)와 누름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4)는 상기 연결부(23)의 선단으로부터 제2몸체(41)의 걸이턱(42)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4)에는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을 향해 걸림턱(25)이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5)은 실질적으로 걸이턱(42)에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부(26)는 상기 연결부(2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체결부(24)의 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6)는 외력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체결부(24)가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레버(22)가 제2몸체(41)의 걸이턱(42)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26)가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리게 되면 상기 체결부(24)가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몸체(21)가 상기 제2몸체(41)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 중 상기 레버(22)의 양측에는 제1보호리브(2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보호리브(27)는 상기 레버(22)가 제2몸체(41)의 걸이턱(42)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호리브(27)는 상기 레버(22)의 누름부(26)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몸체(21)에는 결합면(2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28)은 상기 제2몸체(41)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2몸체(41)의 결합면(45)과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면(28)은 상기 제1몸체(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28)의 일측에는 고정부(29)(도 2참고)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 기 고정부(29)는 상기 결합면(28)으로부터 제2몸체(41)의 결합면(45)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홈부(46)에 삽입됨으로써, 두 몸체(21,41) 사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몸체(21)에는 제2몸체(41)가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41)는 상기 제1몸체(2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41)는 상기 제1몸체(21)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몸체(21)와 상기 제2몸체(41)가 결합되어 상기 리어커버(2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두 몸체(21,41)는 결합되어 내부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S)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몸체(41)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걸이턱(4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2)은 상기 레버(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2)은 상기 레버(22)의 걸림턱(25)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몸체(41)의 외면 중 상기 걸이턱(42)이 형성된 주변에는 제2보호리브(44)가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보호리브(44)는 상기 레버(22)가 상기 걸이턱(42)에 걸어졌을 때, 상기 레버(22)의 선단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보호리브(44)는 상기 제1몸체(21)를 향하여 개구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보호리브(44)의 양단은 상기 제1보호리브(27)와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41)가 결합되면, 상기 제1보호리브(27)의 선단과 상기 제2보호리브(44)의 양단은 서로 접하게 된다. 상기 제2보호리 브(44)는 상기 레버(22)의 선단이 외력에 의해 상기 걸이턱(4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41)에는 결합면(4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45)은 상기 제1몸체(21)와 상기 제2몸체(41)가 결합되면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28)과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면(45)은 상기 제1몸체(4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몸체(4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45)의 일측에는 홈부(46)(도 2참고)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46)는 상기 고정부(29)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결합면(45)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홈부(46)에는 상기 고정부(29)가 삽입됨으로써 두 몸체(21,41) 사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 몸체(21,41)는 연결리드(50)(도 2참고)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리드(50)에 의해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41)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w)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41)를 구별하여 별개로 보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리브(5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플렉시블한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두 몸체(21,41)가 상기 하우징(10) 및 와이어(w)에 결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굽힘모멘트에 의해 상기 연결리드(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에는 상기 두 몸체(21,41)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리드(50)가 굽혀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두 몸체(21,41)가 상기 연결리드(50)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는 모습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리어커버(20)는 와이어(15)가 연결된 커넥터하우징(10)의 일부를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커넥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와이어(w)를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21)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일측에서, 제2몸체(41)는 타측에서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28)과 제2몸체(41)의 결합면(45)이 서로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두 몸체(21,41)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터미널과 와이어(w)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커버(20)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터미널과 이에 연결된 와이어(w)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21)와 제2몸체(41)를 결합시킨다.
우선,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작업자는 상기 제1몸체(21)의 내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와이어안내부(20'')로 연장되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을 위치시킨다. 상기 제1몸체(21)의 내면에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일면이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내부공간(S)을 통해 상기 와이어안내부(20'')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플랙시블한 소재이 므로 상기 리어커버(20)의 형상을 따라 그 후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몸체(21)에 제2몸체(41)를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두 몸체(21,41)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두 몸체(21,41)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22)와 걸이턱(42)이 체결된다. 즉, 레버(22)의 선단이 상기 걸이턱(42)에 접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레버(22)의 누름부(26)를 상기 제1몸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러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21)의 결합면(28)과 상기 제2몸체(41)의 결합면(45)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레버(22)의 누름부(26)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상기 레버(22)는 원상복원되면서 상기 레버(22)의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턱(42)에 걸어져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29)는 상기 홈부(46)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두 결합면(28,45)이 서로 대응되는 정확한 위치에서 체결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커버(20)는, 그 일측에서는 레버(22)와 걸이턱(42)에 의해 커넥터하우징(10)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타측에서는 고정부(29)와 홈부(46)에 의해 와이어(w)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와이어(w)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몸체(21,41)의 외면에는 상기 레버(22) 주변을 둘러 제1 및 제2보호리브(27,4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2)는 상기 두 보호리 브(27,44)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상기 레버(22)가 임의로 눌러져 상기 두 몸체(31,41)가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에 종래기술에 의한 리어커버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몸체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몸체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하우징 20: 리어커버
21: 제1몸체 22: 레버
23: 연결부 24: 체결부
25: 걸림턱 26: 누름부
27: 제1보호리브 28: 결합면
29: 고정부 41: 제2몸체
42: 걸이턱 44: 제2보호리브
46: 홈부 50: 연결리드
Claims (3)
-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면 가장자리에는 레버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몸체와;상기 제1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레버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버가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1몸체의 외면 중 상기 레버의 양측과 상기 제2몸체의 외면 중 걸이턱이 형성된 주변에는 보호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와 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호리브는,상기 레버의 양측에서부터 상기 레버가 상기 걸이턱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보호리브와;상기 걸이턱을 둘러 돌출되게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보호리브와 마주보는 제2보호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레버는, 상기 제1몸체의 외면에 외팔보형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몸체의 걸이턱을 향해 연장되는 체결부; 그리고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136A KR20090043338A (ko) | 2007-10-29 | 2007-10-29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136A KR20090043338A (ko) | 2007-10-29 | 2007-10-29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3338A true KR20090043338A (ko) | 2009-05-06 |
Family
ID=4085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9136A KR20090043338A (ko) | 2007-10-29 | 2007-10-29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4333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932Y1 (ko) * | 2009-12-18 | 2013-11-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리어커버 |
KR20160054988A (ko) * | 2014-11-07 | 2016-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
JP2021048072A (ja) * | 2019-09-19 | 2021-03-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線カバー |
-
2007
- 2007-10-29 KR KR1020070109136A patent/KR200900433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932Y1 (ko) * | 2009-12-18 | 2013-11-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리어커버 |
KR20160054988A (ko) * | 2014-11-07 | 2016-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
US9888904B2 (en) | 2014-11-07 | 2018-02-13 | Hyundai Motor Company | Housing and connector for door using the same |
JP2021048072A (ja) * | 2019-09-19 | 2021-03-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線カバ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66263B2 (ja) | プロテクタ | |
US9954306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KR20150032793A (ko) | 전기 커넥터 | |
US9263823B2 (en) | Lever connector | |
JP4832241B2 (ja) | コネクタ保護構造 | |
KR20090043338A (ko) |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 |
JP5477026B2 (ja) | コネクタ | |
JPH04233176A (ja) | プラグコネクタ | |
KR100957118B1 (ko) | 커넥터 | |
KR20080000850U (ko) | 커넥터의 보호커버 | |
JP3763438B2 (ja) | コネクタ用保護カバー | |
KR20150110307A (ko) |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 |
CN113363908B (zh) | 电气接线箱 | |
KR20090022945A (ko) | 와이어커버 | |
KR100848693B1 (ko) |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 |
JP4918410B2 (ja) |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 |
JP6508914B2 (ja) | 位置固定部材を備えるシール保護コンタクト部材 | |
JP2018010771A (ja) | コネクタの保護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 |
KR101001885B1 (ko) | 커넥터하우징 | |
KR20120004256U (ko) | 와이어커버 | |
WO2019102818A1 (ja) | 保護部品及び保護方法 | |
KR101658014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CN108605418B (zh) | 框体 | |
KR20080108822A (ko) | 커넥터용 더미캡 | |
US20130309890A1 (en) | Connector hold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