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307A -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307A
KR20150110307A KR1020150013680A KR20150013680A KR20150110307A KR 20150110307 A KR20150110307 A KR 20150110307A KR 1020150013680 A KR1020150013680 A KR 1020150013680A KR 20150013680 A KR20150013680 A KR 20150013680A KR 20150110307 A KR20150110307 A KR 2015011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member
locking spring
hou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카타노
히로시 시라이
타케시 키무라
아키라 쿠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11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저배화 커넥터에 적합하고, 확실하게 록킹됨과 동시에 필요 시에는 용이하게 록킹 해제가 가능한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커넥터와 도 3에 미도시된 제2커넥터를 갖는다. 제1커넥터는 하우징과 록킹 스프링 부재를 갖는다. 록팅 스프링 부재는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가진다. 록킹 스프링 부재는 그 한 가닥의 선재가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커넥터는 그 록킹 스프링 부재의 두 개의 아암부와 간섭하는 걸림부를 갖는다. 해당 걸림부는 두 개의 아암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휘게 한 후 복귀시킴으로써, 록킹 스프링 부재에 걸린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서로 조합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 상에 플렉시블 기판(FPC)을 접속하는 기판실장형 등과 같은 커넥터는 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됨과 동시에, 확실하게 록킹되고 또한 필요 시에는 용이하게 록킹 해제가 가능한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에는 단면 원형의 록킹 스프링을 갖는 푸시 온(push-on) 형의 록킹 기구를 갖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록킹 기구의 경우, 록킹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록킹 및 록킹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 기구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커넥터의 경우에는 록킹을 위한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지만, 기판실장형 등과 같은 저배 커넥터에는 부적합하다.
특개 2010-17700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저배 커넥터에 적합하고, 확실하게 록킹됨과 동시에 필요 시에는 용이하게 록킹 해제가 가능한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과,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갖고, 그 한 가닥의 선재가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된 록킹 스프링부를 갖는 제1커넥터 및 록킹 스프링 부재의 두 개의 아암부에 간섭하여 두 개의 아암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휘게 한 후, 복귀시킴으로써 록킹 스프링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제2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가 상기 한 가닥의 선재가 두 개의 아암부를 형성하도록 꺽어져 상기 자세로 배치된 록킹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저배화를 손상시키지 않고 착탈 가능한 록킹 기구가 실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1커넥터가 록킹 스프링 부재를 하우징과의 사이에 끼우는 보강용 쇠고리를 더욱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용 쇠고리를 구비함으로써 록킹 스프링 부재에 걸린 제2커넥터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록킹 스프링 부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에 강하게 걸리게 하여 한층 더 확실한 록킹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고착되는 상기 걸림부가 설치된 금속 셸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록킹 기구는 상기 타입의 제2커넥터에도 적합한 록킹 기구이며, 상기 타입의 제2커넥터와 조합시킴으로써 한층 더 저배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중 제1커넥터는 하우징과, 한 가닥의 선재이며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와 두 개의 아암부 각각의 일방 단부끼리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한 가닥의 선재가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하우징 단부에 배치된 록킹 스프링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커넥터 중 제2커넥터는 하우징과,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한 가닥의 선재가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된 록킹 스프링 부재를 갖는 상대 커넥터에 구비된 록킹 스프링 부재의 두 개의 아암부에 간섭하여 두 개의 아암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휘게 한 후, 복귀시킴으로써 록킹 스프링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배 커넥터에 적합하고 확실하게 록킹됨과 동시에, 필요 시에는 용이하게 록킹 해제가 가능한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를 록킹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커넥터의 록킹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커넥터의 록킹부와 제2커넥터의 걸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록킹 스프링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감합 방향의 관계상 도 1(A)에 제2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B)에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를 록킹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1커넥터(1:도 1(B))와 제2커넥터(2:도 1(A))로 구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1)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인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지지되어 2열로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2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비교적 넓은 감합면(11)을 갖는다. 감합면(11)은 제1커넥터(1)용 흡착면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각 콘택트(20)는 회로 기판(미도시)의 표면에 납땜접속되는 기판접속부(21)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1)는 하우징(10)의 양단에 록킹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부(30)의 상세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2커넥터(2)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60:이하 「FPC」라 칭한다.)과, 상기 FPC(60)의 일단에 고착된 금속 셸(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FPC(60)는 실제로는 상기 도 1(A)에 나타낸 것보다 길지만, 여기서는 금속 셸(70)이 설치된 일단부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FPC(60)의 금속 셸(70)로 덮여 있는 부분의 하면(제1커넥터(1)측을 향한 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1)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20)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 콘택트(20)에 접촉하는 도전 패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제2커넥터(2)의 금속 셸(70)의 양단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제1커넥터(1)의 록킹부(30)에 걸리는 걸림부(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2)는 제1커넥터 상에 겹쳐지도록 하여 걸림부(71)가 록킹부(30)에 걸리게 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에 감합된다. 상기 감합에 의해 제1커넥터의 콘택트(20) 각각에 제2커넥터(2)의 FPC(60)의 뒷면 도체 패드(미도시)가 각각 접촉하고, FPC(60) 상의 배선이 도전 패드 및 콘택트(20)를 통해 회로 기판(미도시) 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은 제1커넥터의 록킹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제1커넥터(1)의 록킹부(30)에는 록킹 스프링 부재(40)와 보강용 쇠고리(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40)는 피아노 선이나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 가닥의 선재이며,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41)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록킹 스프링 부재(40)는 두 개의 아암부(41)의 일방의 단부끼리 연결하는 연결부(42)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꺽인 금속 부재이다.
상기 록킹 스프링(40)은 제1커넥터(1)의 하우징(10)의 제2커넥터(2) 측을 향한 감합면(1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상기 감합면(11)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0)에는 록킹 스프링 부재(40)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임시고정부(12)를 갖는다. 이 임시고정부는 록킹 스프링 부재(40)의 연결부(42)를 끼우는 두 개의 입벽(12a, 12b)을 갖는다.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40)는 연결부(42)의 중앙부분만이 하우징(10)의 임시고정부(12)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감합면(11) 상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40)의 두 개의 아암부(41)는 도 3에 나타내는 R-R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보강용 쇠고리(50)는 록킹 스프링 부재(40)를 덮고, 그 록킹 스프링 부재(40)를 하우징(10)과의 사이에 끼우는 금속 부재이다. 다만 록킹 스프링 부재(40)가 보강용 쇠고리(50)로 덮여진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40)의 두 개의 아암부(41)의 일부는 상기 보강용 쇠고리(50)의 노치부(52)에서 노출된 상태에 있다.
상기 보강용 쇠고리(50)에는 4개소에 기판고정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4개소의 기판고정부(51)는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1)와 함께 미도시된 회로기판에 납땜된다. 또한 상기 보강용 쇠고리(50)에는 하우징(20)에 프레싱되는 프레싱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판고정부(51)와 프레싱부(53)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가 회로 기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록킹 스프링 부재(40)가 하우징(20)에 강고하게 빠짐 방지된다. 다만, 보강용 쇠고리(50)는 록킹 스프링 부재(40)를 하우징(10)의 감합면(11)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빠짐 방지하고, 감합면(11)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록킹 스프링 부재(4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갖게 하고 있다.
따라서 록킹 스프링 부재(40)는 보강용 쇠고리(50)로 덮여진 상태에 있어서도 화살표(R-R)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제2커넥터(2)와의 감합 시에 셀 얼라인먼트가 행해지게 된다. 셀 얼라인먼트에 대해서는 더욱 후술한다.
도 4는 제1커넥터(1)의 록킹부와 제2커넥터의 걸림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4(A), (B), (C)의 순서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걸려 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제1커넥터(1)의 록킹부(30)와 제2커넥터(2)의 금속 쉘(70:도 1, 도 2참조)의 걸림부(71)의 단면이 별도로 나뉘어 도시되어 있다. 록킹부(30)에는 록킹 스프링 부재(40:도 3참조)의 두 개의 아암부(41)가 하우징(10)과 보강용 쇠고리(50)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암부(41)는 보강용 쇠고리(50)의 노치부(52)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다.
제2커넥터(2)의 금속 쉘(70:도 1, 도 2참조)의 걸림부(71)에는 제1커넥터(1)를 향하여 열린 형상의 경사면(71a)과, 상기 경사면(71a)에 이어지는 돌출된 헤드부(71b)와, 상기 헤드부(71b)에 이어지는 약간 패인 형상의 걸림요부(71c)가 설치되어 있다.
제2커넥터(2)를 제1커넥터(1)에 근접해 가면 걸림부(71)가 보강용 쇠고리(50)의 노치부(52:도 3참조)에 파고들어 록킹 스프링(40)의 두 개의 아암부(41)에 간섭한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71a)에서 두 개의 아암부(41)를 서로 근접하도록 록킹 스프링 부재(40)를 탄성 변형시킨다.
상기 제2커넥터(2)를 제1커넥터(1)에 더욱 근접시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71)의 헤드부(71b)가 두 개의 아암부(41)를 통과하면, 두 개의 아암부(41)가 탄성 변형에서 복귀하여 걸림요부(71c)에 파고 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암부(41)는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R-R)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다. 이 때문에 두 개의 아암부(41)가 걸림부(71)에 간섭하여 탄성 변형함에 있어서는 두 개의 아암부(41)가 균등하게 변형하도록 걸림부(71)에 밀려 화살표(R-R)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위치 조정(셀 얼라인먼트)이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1)의 록킹부(30)와 제2커넥터(2)의 걸림부(71)는 각각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2)의 양단에서 도 4에 나타내는 걸림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2커넥터(2)가 제1커넥터(1)에 걸린다.
상기 록킹 기구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걸리는 저배화에 적합한 록킹 기구이다. 또한 제2커넥터(2)와 제1커넥터(1)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제2커넥터(2)를 강하게 당겨 올림으로써 제1커넥터(1)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록킹 스프링 부재(40)는 보강용 쇠고리(50)로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 해제에 의해 록킹 스프링 부재(40)가 제1커넥터(1)에서 떨어지지 않고 제2커넥터(2)를 제1커넥터(1)에 반복하여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제1커넥터(1)에 구비되어 있는 대략 U자 형상의 록킹 스프링(40)의 두 개의 아암(41)을 제2커넥터(2)의 금속 쉘(70)의 걸림부(71)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록킹 기구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보강용 쇠고리(50)나 걸림부(71) 등의 형상을 변경하여 두 개의 아암부(41)끼리의 사이에 제2커넥터(2)의 걸림부를 받아들여 두 개의 아암부재(41)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일단 탄성 변형시켜 복귀시킴으로써 걸리게 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5는 록킹 스프링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두 개의 아암부(41)와 그들 두 개의 아암부(41)를 연결부(42)로 구성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인 록킹 스프링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록킹 스프링 부재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갖는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반드시 U자 형상일 필요는 없다.
도 5(A)에는 제1변형예의 록킹 스프링 부재(4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40A)도 상술한 실시형태의 록킹 스프링 부재(40)와 마찬가지로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41A)를 갖는다. 다만 연결부(42A)는 두 개의 아암부(41A)의 서로 떨어진 측의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S자 형상의 록킹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도 5(B)에는 제2변형예의 록킹 스프링 부재(4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40B)도 상술한 실시형태의 록킹 스프링 부재(40) 및 도 5(A)의 제1변형예의 록킹 스프링 부재(40A)와 마찬가지로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41B)를 갖는다. 다만, 연결부(42B)는 그 연결부(42B) 자신이 대략 U자 형상을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W자 형상의 록킹 스프링 부재(40B)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변형예1, 2의 록킹 스프링 부재(40A, 40B)를 채용하면 그에 따라 하우징(10) 등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는 있지만,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을 행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커넥터(2)는 FPC(60)에 한정되지 않고, 콘택트 및 걸림부가 하우징에 고정된 커넥터라도 좋다.
1 제1커넥터
2 제2커넥터
10 하우징
11 감합면
12 임시고정부
12a, 12b 입벽
20 콘택트
21 기판접속부
30 록킹부
40, 40A, 40B 록킹 스프링 부재
41, 41A, 41B 아암부
42, 42A, 42B 연결부
50 보강용 쇠고리
51 기판고정부
52 노치부
53 프레싱부
60 플렉시블 기판
70 금속 쉘
71 걸림부
71a 경사면
71b 헤드부
71c 걸림요부
100 커넥터 조립체

Claims (5)

  1. 하우징;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한 가닥의 선재가 상기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된 록킹 스프링 부재를 갖는 제1커넥터; 및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의 상기 두 개의 아암부에 간섭하여 상기 두 개의 아암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휘게 한 후,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제2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끼우는 보강용 쇠고리를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고착되는 상기 걸림부가 설치된 금속 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하우징;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한 가닥의 선재가 상기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된 록킹 스프링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하우징;
    한 가닥의 선재로 형성되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한 가닥의 선재가 상기 하우징의 감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된 록킹 스프링 부재를 갖는 상대 커넥터에 구비된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의 상기 두 개의 아암부에 간섭하여 상기 두 개의 아암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휘게 한 후,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록킹 스프링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0013680A 2014-03-24 2015-01-28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20150110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9751A JP6342190B2 (ja) 2014-03-24 2014-03-24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4-059751 2014-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307A true KR20150110307A (ko) 2015-10-02

Family

ID=5414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80A KR20150110307A (ko) 2014-03-24 2015-01-28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3254B2 (ko)
JP (1) JP6342190B2 (ko)
KR (1) KR20150110307A (ko)
CN (1) CN104953314B (ko)
TW (1) TW2015378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3497A (ja) * 2015-01-30 2016-08-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KR102589304B1 (ko) * 2016-06-22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7071108A (zh) * 2017-05-12 2017-08-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组件及移动终端
TWM560120U (zh) * 2017-08-25 2018-05-11 英豪科技股份有限公司 軟性排線電連接器固定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187Y2 (ko) * 1976-02-13 1981-09-11
JP2589801Y2 (ja) 1993-10-12 1999-02-03 ホシデン株式会社 ロック付l型コネクタプラグ
DE19526248C2 (de) 1995-07-18 1999-04-08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JPH10189145A (ja) 1996-12-24 1998-07-2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4009111B2 (ja) * 2002-01-21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004288494A (ja) * 2003-03-24 2004-10-14 Hirose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JP2005011567A (ja) 2003-06-17 2005-01-13 Rex Industries Co Ltd Efコントローラーコネクタ用アダプタ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2008108499A (ja) * 2006-10-24 2008-05-0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087020B2 (ja) * 2009-01-28 2012-11-28 株式会社ワカ製作所 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TWM450855U (zh) * 2012-03-29 2013-04-11 Advanced Connectek Inc 板對板連接器組件
JP6058355B2 (ja) * 2012-07-19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08942B2 (ja) * 2012-12-28 2015-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6005575B2 (ja) * 2013-04-11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56641B2 (ja) *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5716933B2 (ja) * 2013-10-04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0631A1 (en) 2015-09-24
JP6342190B2 (ja) 2018-06-13
CN104953314A (zh) 2015-09-30
JP2015185311A (ja) 2015-10-22
CN104953314B (zh) 2019-03-22
US10193254B2 (en) 2019-01-29
TW201537841A (zh)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6934B (zh) 连接器
JP5486859B2 (ja) コネクタ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20070002678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5716803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110307A (ko)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200813026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CN108475865B (zh) 基板连接构造
JP5720904B2 (ja) 配線端子連結装置
JP5909586B1 (ja) 電気コネクタ
TWI548156B (zh) 連接器
JP2007220536A (ja) コネクタ
CN109802263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N110364893B (zh) 具有端子按压构造的连接器装置
CN115699474A (zh)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保持件
JP5842677B2 (ja) コネクタ装置
JP5870757B2 (ja) 電気コネクタ
JP5959282B2 (ja) コネクタ装置
JP4368342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KR200451453Y1 (ko) 터미널
JP2016143497A (ja)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2002015818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6100430B2 (ja) 基板接続構造
KR10156104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11216438A (ja) 平板状導電接続部材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