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32Y1 - 리어커버 - Google Patents

리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32Y1
KR200469932Y1 KR2020090016558U KR20090016558U KR200469932Y1 KR 200469932 Y1 KR200469932 Y1 KR 200469932Y1 KR 2020090016558 U KR2020090016558 U KR 2020090016558U KR 20090016558 U KR20090016558 U KR 20090016558U KR 200469932 Y1 KR200469932 Y1 KR 200469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body
panel
lever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423U (ko
Inventor
정세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3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리어커버는 일체로 된 커버몸체(50)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5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52)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2)은 와이어공간(53)과 커넥터공간(53')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커버몸체(50)에는 서로 마주보게 커넥터레버(56)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레버(56)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50)에는 또한 패널레버(62)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데, 상기 패널레버(62)는 그 걸이턱(64)이 커버몸체(5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레버(56)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50)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플랜지(66)가 소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리어커버의 강도가 높아지고 커넥터(70)를 리어커버를 통해 패널(80)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 리어커버, 패널, 장착

Description

리어커버{Rear cover}
본 고안은 리어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정리하면서도 패널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어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리어커버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리어커버(1)의 외관을 몸체부(3)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의 내부에는 와이어수납공간(4)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수납공간(4)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5)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3)는 제1몸체(6)와 제2몸체(8)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6)와 제2몸체(8)는 상기 개구부(5) 반대쪽이 변형가능힌지(9)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변형가능힌지(9)는 상기 제1몸체(6)와 제2몸체(8)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는 상기 제1몸체(6)와 제2몸체(8)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1몸체(6)와 제2몸체(8)가 서 로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수납공간(4)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5)가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부(3)에는 상기 제1몸체(6)와 제2몸체(8)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1)는 제1몸체(6)에 구비되는 걸림후크(12)와 제2몸체(8)에 구비되는 걸림돌기(15)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어커버(1)는 변형가능힌지(9)로 연결되어 있는 제1몸체(6)와 제2몸체(8)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므로, 제1몸체(6)와 제2몸체(8)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 근처에서 리어커버(1)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리어커버(1)는 단순히 커넥터에 장착되어 커넥터에서 나온 와이어를 정리하고 인출방향을 안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리어커버(1)가 사용되는 커넥터의 설치장소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로 된 리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패널에도 장착될 수 있는 리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일측으로 개구되게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 내에 위치하게 상기 커버몸체에 일체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이 형성되는 커넥터레버와, 상기 커버몸체중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에 해당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게 커버몸체에 일체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몸체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이 형성되는 패널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커넥터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와이어인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레버와 상기 패널레버는 각각 상기 커버몸체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는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커져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일그러지거나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는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패널에 장착될 수 있도록 패널장착레버와 플랜지를 구비하므로 리어커버에 장착된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박스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리어커버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예의 리어커버의 골격을 커버몸체(50)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50)는 일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내부에는 내부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52)은 와이어가 위치되는 와이어공간(53)과 커넥터(70)가 주로 위치되는 커넥터공간(53')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공간(53)이 상기 커넥터공간(53')보다 더 내측에 위치한다. 물론, 상기 와이어공간(53)에서 상기 커버몸체(50)의 외부로 와이어가 연장되므로 상기 커넥터공간(53')을 와이어가 통과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몸체(50)에는 상기 내부공간(52)의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 커넥터(70)(도 4참고)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와이어가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인 와이어인출부(54)이다. 상기 와이어인출부(54)는 상기 와이어공간(53)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몸체(50)의 양단에는 커넥터레버(56)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레버(56)는 상기 내부공간(52)에서 서로 마주보게 상기 커버몸체(50)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레버(56)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커버몸체(50)가 관통되어 있는데, 이 부분을 개구부(58)라 한다. 상기 커넥터레버(56)는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58)에 존재하는데, 그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52)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6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60)이 상기 커넥터레버(56)의 중간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0)은 상기 커넥터(70)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턱(72)에 걸어져 커버몸체(50)가 커넥터(7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레버(56)의 선단쪽의 개구부(58)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리워크 지그를 내부공간(52)으로 삽입하기 좋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레버(56)는 상기 내부공간(52)중 커넥터공간(53')의 중간부 또는 더 내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2)의 입구쪽에는 패널레버(62)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레버(62)는 차량의 패널(80)에 형성되는 패널통공(82)에 커버몸체(50)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널레버(62) 역시 상기 커버몸체(50)에 서로 마주보게 2곳에 형성된다.
상기 패널레버(62) 역시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레버((56)와는 그 연장방향이 반대로 된다. 이는 상기 패널(80)에 상기 커버몸체(50)를 장착하기 위해 삽입하는 방향이 상기 커버몸체(50)와 커넥터(70)가 서로 결합되도록 커넥터(70)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시 말하면 상기 커넥터(70)를 커버몸체(5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패널통공(82)에 상기 커버몸체(50)가 그대로 걸어져 있을 수 있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널레버(62)의 선단에는 패널걸이턱(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걸이턱(64)은 상기 패널통공(8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패널(80)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패널걸이턱(64)은 상기 커버몸체(5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50)의 내부공간(52) 입구 외면을 둘러서는 플랜지(66)가 소정 폭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6)는 상기 패널통공(82)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몸체(50)가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패널통공(8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패널(80)에 걸어지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래버(62)와 상기 플랜지(66)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패널(80)에 대해 상기 커버몸체(5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리어커버는 커넥터(70)의 후단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정리하고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된 커넥터(7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정리하여 상기 커버몸체(50)의 내부공간(52)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인출부(54)를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의 방향을 정리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52)으로 와이어를 삽입한다.
상기 와이어를 상기 내부공간(52)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커버의 커버몸체(50)가 상기 커넥터(7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몸체(50)의 커넥터레버(56)가 상기 커넥터(70)의 걸림턱(72)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넥터(70)에 커버몸체(50)가 체결되어 장착되고, 와이어는 상기 내부공간(52)중 상기 와이어공간(53)에 안착되고 상기 와이어인출부(5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연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넥터(70)에 장착된 리어커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80)에도 장착된다. 상기 패널(80)에는 패널통공(82)이 천공되어 있는데, 상기 패널통공(8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패널(80)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플랜지(66)가 걸어지고 반대쪽 표면에는 상기 패널레버(62)의 걸이턱(64)이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리어커버에 의해 상기 커넥터(70)가 상기 패널(8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어커버가 커넥터(70)에 장착된 상태에서 패널(80)에 바로 장착될 수 있어, 멀티박스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단하게 커넥터(70) 를 패널(80)에 장착할 수 있고, 리워크 작업 역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패널(80)에 장착된 리어커버의 커버몸체(50)를 분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커버몸체(50)의 패널레버(62)를 지그를 사용하여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이턱(64)이 상기 패널(80)의 패널통공(82)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몸체(50)는 상기 패널통공(82)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널(80)에서 분리된 커버몸체(50)가 장착된 커넥터(70)에서 상기 커버몸체(50)를 분리하는 것은 상기 커넥터레버(56)를 리워크 지그를 사용하여 탄성변형시키면 된다. 상기 커넥터레버(56)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리워크 지그를 상기 개구부(58)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커넥터레버(56)를 탄성변형시키면, 커넥터레버(56)의 걸이턱(60)이 상기 커넥터(70)의 걸림턱(72)에서 분리되어 커버몸체(50)가 상기 커넥터(7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어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리어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리어커버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리어커버가 커넥터에 장착되고 동시에 패널에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커버몸체 52: 내부공간
53: 와이어공간 53': 커넥터공간
54: 와이어인출부 56: 커넥터레버
58: 개구부 60: 걸이턱
62: 패널레버 64: 걸이턱
66: 플랜지 70: 커넥터
72: 걸림턱 80: 패널
82: 패널통공

Claims (3)

  1. 일측으로 개구되게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 내에 위치하게 상기 커버몸체에 일체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이 형성되는 커넥터레버와,
    상기 커버몸체중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에 해당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게 커버몸체에 일체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몸체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이 형성되는 패널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커넥터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와이어인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레버와 상기 패널레버는 각각 상기 커버몸체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커버.
KR2020090016558U 2009-12-18 2009-12-18 리어커버 KR200469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558U KR200469932Y1 (ko) 2009-12-18 2009-12-18 리어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558U KR200469932Y1 (ko) 2009-12-18 2009-12-18 리어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23U KR20110006423U (ko) 2011-06-24
KR200469932Y1 true KR200469932Y1 (ko) 2013-11-14

Family

ID=4929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558U KR200469932Y1 (ko) 2009-12-18 2009-12-18 리어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3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085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안 컨넥터의 와이어 차폐 구조
KR20040047113A (ko) * 2002-11-29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러그 콘넥터 케이스
KR20090043338A (ko) * 2007-10-29 2009-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20090006384U (ko) * 2007-12-24 2009-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어 커버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085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안 컨넥터의 와이어 차폐 구조
KR20040047113A (ko) * 2002-11-29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러그 콘넥터 케이스
KR20090043338A (ko) * 2007-10-29 2009-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20090006384U (ko) * 2007-12-24 2009-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어 커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23U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6578B2 (en) Clip and pillar garnish fixing structure
WO2007058013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2007300756A (ja)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KR200469932Y1 (ko) 리어커버
JP509689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0130801Y1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구
JP2005080434A (ja) 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
JP4830803B2 (ja) 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100894162B1 (ko)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JP4183078B2 (ja) プロテクタ
KR200439802Y1 (ko) 가변형 커넥터 커버
JP7023830B2 (ja) 配索部材の保持体
JP4954787B2 (ja) フロアカーペットの固定構造
KR20090072743A (ko) 커넥터
KR200176238Y1 (ko) 승용차 뒷범퍼 고정구조
JP5924291B2 (ja) プロテクタ
JP2005186903A (ja) カバー
KR20028429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100083414A (ko) 컨넥터용 클립
KR200406430Y1 (ko) 프로텍터와 브라켓의 결합구조
JP2001006804A (ja) コネクタ仮止め用治具
KR100338565B1 (ko) 승용차의 도어 손잡이 장치
KR101364113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