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414A - 컨넥터용 클립 - Google Patents

컨넥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414A
KR20100083414A KR1020090002769A KR20090002769A KR20100083414A KR 20100083414 A KR20100083414 A KR 20100083414A KR 1020090002769 A KR1020090002769 A KR 1020090002769A KR 20090002769 A KR20090002769 A KR 20090002769A KR 20100083414 A KR20100083414 A KR 20100083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lip
upper body
lower bod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414A/ko
Publication of KR2010008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널에 장착되어, 전기 컨넥터를 착탈할 수 있는 컨넥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립은, 자동차의 패널에 착탈 가능한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10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탄성 힌지연결부; 상기 탄성 힌지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디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단부를 서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상부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탄성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걸림후크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컨넥터, 클립, 자동차패널

Description

컨넥터용 클립{Clip for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패널 등에 장착되어 컨넥터를 지지함과 동시에 컨넥터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컨넥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컨넥터용 클립은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클립에 컨넥터가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클립에 결합된 컨넥터에는 상대 컨넥터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통상 자동차용 패널에 클립이 장착되면 일측면은 패널에 의하여 패쇄된다. 따라서 클립에 장착된 컨넥터가 고장 등의 이유로 수리가 필요하게 되면 클립에 장착된 컨넥터를 분해하는데 공간적 제약이 따르게 된다. 종래의 클립은 장착된 컨넥터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공간적으로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 등의 이유로 분리가 컨넥터의 취급이 상당히 곤란한 단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컨넥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컨넥터용 클립은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되고 전기 컨넥터가 착탈 가능한 컨넥터용 클립으로써; 자동차의 패널에 착탈 가능한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10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탄성 힌지연결부; 상기 탄성 힌지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디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하부바디;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단부를 서로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에 대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탄성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걸림후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바디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벤딩되고 걸림공을 구비하는 걸림부와; 상기 하부바디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공에 탄성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걸림돌기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바디에는 컨넥터가 착탈될 수 있는 착탈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착탈수단은 컨넥터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바디의 양측면에서 돌출 성형된 가이드레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부바디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패널에 끼워지기 위한 앵커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바디를 상부바디에서 분리하여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하부바디에 결합되어 있는 컨넥터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된 컨넥터를 보다 쉽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닫힌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닫힌 상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은 바디(10)의 일측면(도면을 기준으로 상면)에 결합용 앵커(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12)는 자동차용 패널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면과 상기 앵커(1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C)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간격(C)에 자동차의 패널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앵커(12)를 패널에 형성된 장착공에 밀어넣게 되면, 클립의 앵커(12)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앵커(12)가 패널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앵커(12)의 바디(10)의 상면 사이에 패널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상기 클립이 자동차의 패널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클립(1)의 바디(10)는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는 힌지연결부(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클립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연결부(2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변형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1)은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되어 컨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클립에는 컨넥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클립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레일(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4)은 예를 들면 상기 바디(10)의 양측면에서 양측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돌출 성형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에 장착되는 컨넥터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4)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클립의 가이드레일(14)과 컨넥터의 결합홈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4)은 하부바디(10b)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4)이 하부바디(10b)에 형성되어 있어야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에 결합된 컨넥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는 도 1에서와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바디(10a)의 선단부(도면상 우측 단부)에는 걸림턱(1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하부바디(10b)의 선단부 상측 내부에는 걸림후크(10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가 서로 닫히게 되면, 상기 걸림후크(10d)가 걸림턱(10c)에 걸리면서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는 일체화되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1)이 자동차의 패널(30)에 장착되면, 상술한 앵커(12)가 패널(30)의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12)와 바디(10)의 상면 사이에 패널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클립(1)이 패널(30)에 장착된다.
이렇게 클립(1)이 패널(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컨넥터(50)가 상기 클립(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컨넥터(50)와 클립(1)의 결합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1)의 양측에 돌출된 가이드레일(14)이, 제1컨넥터(50)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클립(1)에 제1컨넥터(50)가 고정된다. 물론 이 때 상기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는 닫힌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1컨넥터(50)에는 상대 컨넥터인 제2컨넥터(40)가 결합되어, 내부의 단자들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한 상태가 클 립(1)이 자동차의 패널(30)에 장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컨넥터(50)와 제2컨넥터(4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1)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이러한 상태는 컨넥터 및 클립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컨넥터(40 또는 50)를 수리 등을 위하여 분리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 3에 도시한 상태로 클립에서 컨넥터를 분리하는 것은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불편하다. 즉 실제로 컨넥터(40,50)가 패널(30)과 바로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10a)에서 하부바디(10b)를 열어야 한다. 즉 걸림턱(10c)에서 걸림후크(10d)를 해제하게 되면, 컨넥터(40,50)를 장착하고 있는 하부바디(10b)는, 상기 힌지연결부(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컨넥터(40,50)는 패널(30)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컨넥터(40,50)를 분리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를 연결하는 힌지연결부(20)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부바디(10a) 단부의 걸림턱(10c)과 하부바디(10b) 단부의 걸림후크(10d)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를 서로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진 다른 실시예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10a)의 단부를 하방으로 밴딩시켜 걸림부(10k)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10k)에 걸림공(10m)을 형성한다. 그리고 대응하는 하부바디(10b)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직립한 연장부(10p)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10p)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공(10m)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10n)을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걸림공(10m)과 걸림돌기(10n)의 결합에 의하여 하부바디(10b)는 상부바디(10a)에 체결되어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립의 닫힌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립의 열린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립이 닫힌 상태에서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립이 열린 상태로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예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클립 10: 바디
10a: 상부바디 10b: 하부바디
10c: 걸림턱 10d: 걸림후크
10k: 걸림부 10m: 걸림공
10n: 걸림돌기 10p: 연장부
12: 앵커 14: 가이드레일
20: 힌지연결부 30: 패널
40: 제2컨넥터 50: 제1컨넥터
C: 간격

Claims (6)

  1.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되고 전기 컨넥터가 착탈 가능한 컨넥터용 클립으로써;
    자동차의 패널에 착탈 가능한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10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탄성 힌지연결부;
    상기 탄성 힌지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디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하부바디;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단부를 서로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탄성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걸림후크로 구성되는 컨넥터용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벤딩되고 걸림공을 구비하는 걸림부와;
    상기 하부바디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공에 탄성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컨넥터용 클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에는 컨넥터가 착탈될 수 있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용 클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컨넥터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바디의 양측면에서 돌출 성형된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컨넥터용 클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부바디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패널에 끼워지기 위한 앵커가 형성되어 있는 컨넥터용 클립.
KR1020090002769A 2009-01-13 2009-01-13 컨넥터용 클립 KR20100083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69A KR20100083414A (ko) 2009-01-13 2009-01-13 컨넥터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69A KR20100083414A (ko) 2009-01-13 2009-01-13 컨넥터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14A true KR20100083414A (ko) 2010-07-22

Family

ID=4264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69A KR20100083414A (ko) 2009-01-13 2009-01-13 컨넥터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23B1 (ko) * 2020-09-28 2021-12-2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인슐레이터용 모듈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23B1 (ko) * 2020-09-28 2021-12-2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인슐레이터용 모듈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3927B2 (ja) コネクタ
WO2015190081A1 (ja) 収容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KR20090104173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83414A (ko) 컨넥터용 클립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101820143B1 (ko) 배선장치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0428003Y1 (ko) 커넥터어셈블리
JP2004218762A (ja) 固定具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100122257A (ko) 박스의 결합장치
KR100812775B1 (ko) Ccfl을 pcb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의 하우징
JP4790687B2 (ja) 樹脂製クリップ
KR101000572B1 (ko) 배선 분기구
KR20100002454U (ko)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KR20090072743A (ko) 커넥터
KR20090005016U (ko) 커넥터하우징
KR101830435B1 (ko) 배선장치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080001928U (ko)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