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64Y1 -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64Y1
KR200439564Y1 KR2020070008144U KR20070008144U KR200439564Y1 KR 200439564 Y1 KR200439564 Y1 KR 200439564Y1 KR 2020070008144 U KR2020070008144 U KR 2020070008144U KR 20070008144 U KR20070008144 U KR 20070008144U KR 200439564 Y1 KR200439564 Y1 KR 200439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locking
guide
hook
casset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해제경사면(64)이 구비되는 걸림턱(61)이 선단에 형성되는 록킹부(60)가 구비되는 하부커버(50)와; 상기 록킹부(6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선단에 걸이턱(81)이 구비되는 후크부(80)가 외면에 형성되는 카세트블록(70);이 포함되고, 상기 록킹부(60)의 걸림턱(61)은 상대적으로 선단쪽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80)의 걸이턱(81)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62)과,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81)이 걸어지는 걸림단(63)과, 상기 걸림단(63)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81)의 해제를 담당하는 해제경사면(64)과, 상기 가이드경사면(62)과 상기 해제경사면(64)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면(6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부(80)의 상기 걸이턱(81)은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면(82)과, 상기 안내면(82)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걸이면(83)과, 상기 안내면(82)과 상기 걸이면(83)을 연결하여 상기 록킹부(60)의 걸림단(63)에 걸어지는 걸이단(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걸림턱에 경사진 해제경사면이 형성되어 카세트블록이 상기 하부커버에 가고정되어 있다가 체결구의 체결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 걸이턱이 상기 해제경사면을 통해 상기 걸림턱에서 쉽게 빠지므로 상기 카세트블록과 하부커버의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카세트블록, 걸이턱, 걸림턱

Description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Cassette block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6a내지 도 6c는 본 고안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하부커버 51:안착공간
53:와이어통공부 55:삽입가이드돌부
57:삽입가이드 60:록킹부
61:걸림턱 62:가이드경사면
63:걸림단 64:해제경사면
65:연결면 70:카세트블록
71:커넥터통공 72:커넥터
73:안착대 74:체결공
80:후크부 81:걸이턱
82:안내면 83:걸이면
84:걸이단 s:탄성변형슬릿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에 구비되는 카세트블록을 하부커버에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션박스의 외관을 메인커버,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등이 형성한다. 상기 정션박스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커버와 결합되는 커버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많은 휴즈와 릴레이 그리고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 해 많은 와이어가 정션박스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들은 정션박스 내부의 회로기판 등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부품들과 상기 와이어 사이의 연결을 위해 상기 하부커버에는 다수개의 커넥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커넥터는 카세트블록의 커넥터통공에 안착되어 카세트블록과 일체로 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블록은 메인커버에 형성된 체결구통공을 관통한 체결구에 의해 메인커버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카세트블록은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메인커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카세트블록과 일체로 움직이는 커넥터의 터미널을 상기 메인커버의 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블록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메인커버에 체결될 때까지 상기 정션박스의 하부커버에 가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커버에는 상기 카세트블록의 후크부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의 걸이턱이 걸어져 고정되는 록킹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출원번호 20-2006-0028368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하부커버의 삽입가이드부(5)에 록킹부(10)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1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10)는 상기 록킹부(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변형슬릿(s)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그 선단에는 걸림턱(1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1)은 상대적으로 상기 록킹부(10)의 선단쪽에 구비되어 후술할 후크부(20)의 걸이턱(21)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12)과 상기 록킹부(10)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걸이턱(21)이 걸어지는 걸림면(13) 그리고 상기 경사가이드면(12)과 상기 걸림면(1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면(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블록의 외면에는 상기 록킹부(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커버에 가고정되기 위한 후크부(20)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20)에는 걸이턱(21)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1)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1)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면(22)과 상기 후크부(20)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상기 걸림면(13)에 걸어지는 걸이면(24)과, 상기 안내면(22)과 상기 걸이면(24)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걸이단(2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21)은 상기 걸림턱(11)의 가이드경사면(12)을 따라서 안내된다. 즉, 상기 걸이턱(21)은 상기 걸림턱(11)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걸림턱(11)의 걸림면(13)에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턱(21)의 걸이면(24)과 상기 걸림턱(11)의 걸림면(13)이 면접촉함으로써 걸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카세트블록은 상기 하부커버에 견고하게 가결합되면서도 상기 메인커버의 체결구통공을 통해서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해 그 결합이 쉽게 해제되고, 메인커버에 결합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걸이턱(21)과 걸림턱(11)은 걸이면(24)과 걸림면(13)이 상기 후크부(20) 및 상기 록킹부(10)와 직교하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걸이턱(21)이 상기 걸림턱(11)에 걸어지면 상기 걸이면(24)은 상기 걸림면(13)에 면 접촉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카세트블록은 상기 메인커버에 결합될 때 상기 체결구의 체결힘에 의해 상방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면(24)과 걸림면(13)은 상기 카세트블록이 하부커버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면이어서 상기 카세트블록과 하부커버의 해제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체결힘에 반대되는 과도한 마찰력이 작용될 경우 상기 걸림턱(11) 혹은 걸이턱(21)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블록을 하부커버에 견고하게 가고정하면서도 메인커버와의 결합시 하부커버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외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해제경사면이 구비되는 걸림턱이 선단에 형성되는 록킹부가 구비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선단에 걸이턱이 구비되는 후크부가 외면에 형성되는 카세트블록;이 포함되고, 상기 록킹부의 걸림턱은 상대적으로 선단쪽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의 걸이턱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과, 상기 가이드경사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의 해제를 담당하는 해제경사면과, 상기 가이드경사면과 상기 해제경사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면을 포함하 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상기 걸이턱은 상기 가이드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걸이면과, 상기 안내면과 상기 걸이면을 연결하여 상기 록킹부의 걸림단에 걸어지는 걸이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의 가이드경사면과 상기 걸이턱의 안내면은 상기 안내면이 상기 가이드경사면을 통해 안내되도록 서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진다.
상기 걸림턱의 해제경사면은 그 길이가 상기 가이드경사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의 양측에는 상기 걸이턱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외팔보형식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탄성변형슬릿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걸림턱에 경사진 해제경사면이 형성되어 카세트블록이 상기 하부커버에 가고정되어 있다가 체결구의 체결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 걸이턱이 상기 해제경사면을 통해 상기 걸림턱에서 쉽게 빠지므로 상기 카세트블록과 하부커버의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b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커버(50)는 정션박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50)의 내부에는 안착공간(5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50)의 측면을 관통해서는 와이어통공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통공부(53)는 정션박스와 연결되는 와이어(미도시)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정션박스의 메인커버 및 상부커버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메인커버 및 상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50)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51)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안착공간(51)에는 다수개의 삽입가이드돌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돌부(55)는 후술할 카세트블록(70)이 안착되는 방향과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가이드돌부(5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착공간(51)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의 상단이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는 카세트블록(70)의 개수만큼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카세트블록(70)의 하부와 안착공간(51)의 바닥면 사이에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공간(51)에는 삽입가이드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부(57)는 대략 판형상으로 상기 하부커버(50)의 측면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부(57)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51)에는 상기 삽입가이드돌부(55)를 중심으로 각각의 카세트블록(70)이 안착되는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부(57)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록킹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60)는 후술할 카세트블록(70)의 후크부(80)와 결합되어 카세트블록(70)을 상기 하부커버(50)에 가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60)는 상기 삽입가이드부(57)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크부(8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록킹부(60)는 상기 삽입가이드부(57)보다 상기 후크부(8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부(60)의 양측에는 탄성변형슬릿(s)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릿(s)은 상기 삽입가이드부(57)와 접하는 상기 록킹부(60)의 양측면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릿(s)은 후술할 후크부(80)가 상기 록킹부(60)에 걸어질때 상기 록킹부(60)가 외팔보형식으로 탄성변형되기 위한 여유공간에 해당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60)가 연장된 선단쪽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1)에는 후술할 후크부(80)의 걸이턱(81)이 걸어진다. 상기 걸림턱(61)은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턱(61)의 구성은 도 4 및 도 5a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61)에는 선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이턱(81)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62)과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걸이턱(81)이 걸어지는 걸림단(63)이 구비된다. 실제적으로는 상기 걸림턱(61)의 걸림단(63)에 후술할 걸이턱(81)의 걸이단(84)이 걸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은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은 후술할 걸 이턱(81)의 안내면(82)과 대응되게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61)의 상기 가이드경사면(62)과 상기 걸림단(63) 사이에는 해제경사면(64)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면(65)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해제경사면(64)이 구비됨에 의해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에서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해제경사면(64)은 상기 연결면(65)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의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해제경사면(64)은 상기 가이드경사면(62)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턱(61)이 걸이턱(81)을 견고하게 잡고 있으면서도 후술할 체결구의 체결힘에 의해 걸림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긴 가이드경사면(62)에 의해 상기 걸림턱(61)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고, 짧은 해제경사면(64)에 의해 상기 걸이턱(81)과 상기 걸림턱(61)의 접촉길이가 짧아져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해제경사면(64)을 타고 쉽게 올라갈 수 있어 탈거가 용이하다.
상기 연결면(65)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상기 록킹부(6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면(65)은 상기 걸림턱(61)의 크기가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그 강도 또한 커지게 하는 것으로 후크부(80)의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에 걸어진 상태에서 카세트블록(70)의 외면 일측에 잘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51)에 형성된 삽입가이드돌부(55)에는 카세트블록(70)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카세트블록(7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커넥터통공(71)이 형 성된다. 상기 커넥터통공(71)의 내부에는 커넥터(72)가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통공(71)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안착대(7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73)는 상기 카세트블록(7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하부커버(50)의 타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73)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공(7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4)의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73)와 체결공(74)은 상기 카세트블록(70)을 메인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외면에는 후크부(80)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80)는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부(80)가 연장된 선단쪽에는 걸이턱(81)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81)은 상기 록킹부(60)의 걸림턱(61)에 걸어진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81)에는 안내면(8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61)의 가이드경사면(62)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후술할 걸이단(84)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면(82)의 반대쪽에는 상기 후크부(8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걸이면(8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면(83)과 상기 안내면(82)은 걸이단(84)에 의해 연결되는데, 실질적으로 상기 걸이단(84)이 상기 걸림턱(61)의 걸림단(63)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걸이단(84)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외측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의 걸림단(63)에 지지되는 힘이 커지므로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상기 하부커버(50)에 고 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세트블록(70)이 결합된 상기 하부커버(50)의 상면에는 메인커버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체결구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체결공(74)에 체결구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메인커버와 상기 카세트블록(70) 및 커넥터(72)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에서 해제되고,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커넥터(72)는 상기 메인커버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는 일반적인 볼트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내지 도 6c에는 본 고안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은 커넥터(7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50)에 안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부커버(50)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카세트블록(70)이 하부커버(50)에 결합되어 가고정되는 것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카세트블록(70)을 상기 하부커버(50)의 안착공간(51)에 형성된 록킹부(60)의 걸림턱(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후크부(80)의 걸이턱(81)과 상기 록킹부(60)의 걸림턱(61)이 대응되도록 상기 카세트블록(7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상기 안착공 간(51)에 안착되는 위치는 삽입가이드돌부(55)에 의해 안내된다.
이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블록(70)을 상기 안착공간(51)에 인접하게 한다. 즉,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의 선단 내측의 가이드경사면(62)을 따라 안내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걸이턱(81)의 안내면(82)이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걸이턱(81)의 안내면(82)이 상기 걸림턱(61)의 선단 내측에 위치된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경사면(62)과 상기 안내면(82)은 동일한 경사각을 형성하므로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을 따라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6b의 상태에서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상기 록킹부(60)의 하부를 향해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이턱(81)의 안내면(82)에 의해 상기 록킹부(60)의 선단 내측이 안내되면서 상기 록킹부(60)의 걸림턱(61)부분이 외팔보형식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60)는 그 양측에 형성된 탄성변형슬릿(s)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카세트블록(70)에 상기 안착공간(51)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힘을 가하면, 상기 걸이턱(81)의 안내면(82)이 상기 걸림턱(61)의 연결면(65)을 따라 안내되다가 상기 연결면(65)을 지나게 되면, 상기 걸림턱(61)이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에 걸어지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턱(81)의 걸이단(84)이 상기 걸림턱(61)에 걸어져 상기 걸림단(63)에 지지되므로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상기 하부커버(50)의 안착공간(51)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에 걸어진 상태는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81)이 상기 걸림턱(61)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81)과 상기 걸림턱(61)의 결합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걸이턱(81)의 걸이단(84)이 상기 걸림턱(61)의 걸림단(63)에 걸어져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61)의 연결면(65)이 종래보다 길어서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외측면에 잘 지지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커버(50)에 메인커버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인커버의 체결구통공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삽입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구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커버의 하부에 있는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안착대(73)에 형성된 체결공(7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를 상기 체결공(74)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카세트블록(70)이 끌어올려져 상기 메인커버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이동에 의해 즉, 상기 체결구를 체결하는 체결힘에 의해 상기 걸이턱(81)에는 상기 걸림턱(61)을 빠져나가는 방향 즉, 도 6c의 화살표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구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걸이턱(81)의 걸이단(84)이 상기 걸림턱(6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해제경사면(64)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제경사면(64)을 타고 이동된 상기 걸이턱(81)은 상기 연결면(65)을 지나게 되면, 걸림턱(61)에서 빠지게 되어 둘 사이의 결합상태가 완전히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턱(81)은 상기 걸림턱(61)에 형성된 해제경사면(64)에 의해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턱(81)과 상기 걸림턱(61)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에 의해 걸어지므로 마찰력이 줄어 상기 하부커버(50)에 가고정된 상태의 상기 카세트블록(70)의 해제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든 체결구를 체결하면 상기 메인커버와 카세트블록(70)의 체결이 완성되면서, 상기 메인커버의 커넥터에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커넥터(72)가 모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걸림턱(61)에만 해제경사면(64)을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걸이턱(81)에도 해제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61)과 걸이턱(81)을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하부커버에 구비되는 록킹부의 걸림턱이 가이드경사면과 해제경사면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연결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카세트블록이 하부커버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가고정되면서도, 상기 카세트블록이 체결구의 체결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이턱도 상기 걸림턱의 해제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에서 쉽게 빠지므로 상기 걸이턱과 걸림턱의 결합해제가 용이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걸이턱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므로 결합해제시 줄어든 마찰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과 걸이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해제경사면이 구비되는 걸림턱이 선단에 형성되는 록킹부가 구비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선단에 걸이턱이 구비되는 후크부가 외면에 형성되는 카세트블록;이 포함되고,
    상기 록킹부의 걸림턱은 상대적으로 선단쪽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의 걸이턱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과, 상기 가이드경사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의 해제를 담당하는 해제경사면과, 상기 가이드경사면과 상기 해제경사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상기 걸이턱은 상기 가이드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걸이면과, 상기 안내면과 상기 걸이면을 연결하여 상기 록킹부의 걸림단에 걸어지는 걸이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가이드경사면과 상기 걸이턱의 안내면은 상기 안내면이 상기 가이드경사면을 통해 안내되도록 서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졍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해제경사면은 그 길이가 상기 가이드경사면보다는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양측에는 상기 걸이턱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외팔보형식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탄성변형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20070008144U 2007-05-17 2007-05-17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0439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44U KR200439564Y1 (ko) 2007-05-17 2007-05-17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44U KR200439564Y1 (ko) 2007-05-17 2007-05-17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64Y1 true KR200439564Y1 (ko) 2008-04-28

Family

ID=4164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144U KR200439564Y1 (ko) 2007-05-17 2007-05-17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6Y1 (ko) 2007-12-31 2009-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6Y1 (ko) 2007-12-31 2009-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875Y1 (ko) 박스
JP4043772B2 (ja) 電気接続箱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100759123B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689264B1 (ko) 정션박스의 커버 결합구조
KR2009013236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100874971B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0442528Y1 (ko)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200428003Y1 (ko) 커넥터어셈블리
KR2010012051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4896Y1 (ko) 커넥터
KR20240012158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0944013B1 (ko) 박스
KR20030080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65856Y1 (ko)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KR20100002454U (ko)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