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696Y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696Y1
KR200446696Y1 KR20070021121U KR20070021121U KR200446696Y1 KR 200446696 Y1 KR200446696 Y1 KR 200446696Y1 KR 20070021121 U KR20070021121 U KR 20070021121U KR 20070021121 U KR20070021121 U KR 20070021121U KR 200446696 Y1 KR200446696 Y1 KR 200446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lay
fastening piece
elastic fastening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1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93U (ko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21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9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정션박스(50)의 메인바디(51)에 형성되는 블록삽입부(53)에 릴레이블록(60)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장착된다. 상기 릴레이블록(60)의 장착을 위해 릴레이블록(60)의 외관을 형성하는 블록몸체(61)의 외측 하단에서 상방으로 탄성체결편(65)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68)가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턱(54)에 걸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상기 탄성체결편(65)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69)가 상기 메인바디(51)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릴레이블록(60)에 릴레이(70)가 안착되면, 상기 손잡이부(69)의 내면이 상기 릴레이(70)의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69)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릴레이블록(60)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며, 상기 릴레이블록(60)을 분리할 때에는 릴레이(70)를 제거한 후 상기 손잡이부(69)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블록(60)을 상기 블록삽입부(53)의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되므로 별도의 분리도구가 필요 없이 한번에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정션박스, 릴레이, 릴레이블록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분배하고 퓨즈와 릴레이 등이 설치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에서 릴레이블록의 결합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10)의 골격을 메인바디(11)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바디(11)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부품삽입부(1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1)에는 후술할 릴레이블록(20)이 장착되는 블록삽입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삽입부(13)는 상기 메인바디(11)를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블록삽입부(13)의 내면 양측 하단에는 걸이턱(1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4)은 상기 릴레이블록(20)의 외면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27)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릴레이블록(20)은 상기 블록삽입부(13)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된다. 릴레이블록(20)은 릴레이(R)를 상기 메인바디(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블록삽입부(13)에 결합된 상태의 릴레이블록(20)의 내부에 상기 릴레이(R)가 삽입되어 끼워진다.
상기 릴레이블록(20)의 외관 골격을 블록몸체(23)가 형성하는데, 상기 블록몸체(23)의 상부에는 상기 릴레이(R)가 안착되는 안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몸체(23)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24)에서 요입되게 형성되는 장착홀(25)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5)에는 상기 릴레이(R)의 장착레그(L)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몸체(23)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2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레버(2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26)는 재질 및 형상의 특성상 상기 블록몸체(23)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결합레버(26)의 외면 하단에는 걸림부(2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14)에 걸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릴레이블록(20)은 상기 결합레버(26)의 걸림부(27)가 상기 블록삽입부(13)의 걸이턱(14)에 걸어짐으로써 블록삽입부(13) 내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결합레버(26)의 복원력만으로 상기 걸림부(27)가 상기 걸이턱(14)에 걸어지므로, 상기 정션박스(10)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27)가 상기 걸이턱(14)에서 분리될 우려가 있다.
또한, 릴레이블록(20)을 교체할 때에는 날카로운 도구를 상기 결합레버(26)와 상기 걸이턱(27) 사이에 끼우고, 상기 결합레버(26)를 상기 블록몸체(23)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릴레이블록(20)을 상기 블록삽입부(13)의 하방으로 분리시켜야 하므로 상기 릴레이블록(20)의 교체 작업이 불편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레이블록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어 정션박스의 진동에도 릴레이블록의 유동이 방지되는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분리도구 없이 릴레이블록을 손으로 잡고 한번에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하를 관통하여서 블록삽입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블록삽입부에 삽입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요입되게 형성된 릴레이안착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단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며 상기 블록삽입부의 내면 일측에 걸어지는 탄성체결편으로 구성되는 릴레이블록과; 상기 릴레이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결편의 내면을 지지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결편의 상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레이블록의 분리시에 눌러지는 손잡이부가 되며; 상기 릴레이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의 릴레이의 외면이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을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결편의 외면에는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상기 블록삽입부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어져 상기 릴레이블록이 상기 블록삽입부에서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걸이턱의 선단에서 상기 블록삽입부의 내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삽입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가이드는 상기 릴레이블록이 상기 블록삽입부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릴레이블록이 블록삽입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릴레이가 상기 릴레이블록 내에 장착되어 릴레이가 탄성체결편의 내면을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편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지되어 걸이턱과의 체결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블록삽입부 내에서의 릴레이블록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릴레이블록의 고정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릴레이블록을 분리할 때에는 릴레이를 먼저 분리시킨 후 상기 탄성체결편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손으로 쥐어 상기 탄성체결편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탄성체결편의 체결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블록을 상기 블록삽입부의 하방으로 분리하면 된다. 따라서 릴레이블록을 해제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 없이도 릴레이블록을 블록삽입부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릴레이블록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릴레이블록과 메인바디의 결합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릴레이의 장착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졍선박스(50)의 외관과 골격을 메인바디(51)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바디(51)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51)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부품삽입부(52)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51)의 일측에는 후술할 릴레이블록(6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블록삽입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삽입부(53)도 상기 메인바디(5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면 양측에는 걸이턱(54)이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4)은 상기 릴레이블록(60)의 외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68)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54)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면 양측에는 상기 릴레이블록(60)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56)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56)는 상기 걸이턱(54)의 선단에서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면을 향하여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릴레이블록(60)은 상기 블록삽입부(53)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된다. 상기 릴레이블록(60)은 릴레이(70)를 상기 메인바디(5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블록삽입부(53)에 결합된 상태의 릴레이블록(60)의 내부에 상기 릴레이(70)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릴레이블록(60)의 외관 골격을 블록몸체(61)가 형성하는데, 상기 블록몸체(61)의 상부에는 상기 릴레이(70)가 안착되도록 요입되는 릴레이안착부(63)가 형성된다. 상기 릴레이안착부(63)에는 다수개의 장착홀(64)이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릴레이(70)의 장착레그(7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54)과 대응되는 상기 블록몸체(61)의 외면에는 상기 블록몸체(6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탄성체결편(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몸체(61)와 상기 탄성체결편(65) 사이에는 탄성변형슬릿(6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릿(66)은 상기 탄성체결편(65)이 상기 블록몸체(61)를 향하여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외면의 상기 걸이턱(54)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걸이턱(54)에 걸어지는 걸림부(6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8)는 상기 걸이턱(54)에 걸어져 상기 블록몸체(61)가 상기 블록삽입부(53)에서 하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체결편(65)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눌러지는 손잡이부(69)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69)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51)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6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69)를 손으로 쥐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걸림부(68)가 상기 걸이턱(54)에서 분리되어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손잡이부(69)의 이면은 상기 릴 레이안착부(63)에 릴레이(7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70)의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릴레이(70)가 릴레이안착부(63)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손잡이부(69)가 눌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릴레이(70)가 상기 손잡이부(69)의 내면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체결편(65)이 상기 릴레이블록(60)의 내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릴레이(7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릴레이몸체(71)와 상기 릴레이몸체(71)의 저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64)에 삽입되는 장착레그(72)로 구성된다. 상기 릴레이몸체(71)는 상기 릴레이안착부(63)와 대응되는 크기이며, 상기 릴레이몸체(71)의 외면은 상기 릴레이안착부(63)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손잡이부(69)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메인바디(51)에 릴레이블록(60)과 릴레이(7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릴레이블록(60)을 상기 블록삽입부(53)에 삽입하여 상기 메인바디(51)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릴레이블록(60)을 상기 블록삽입부(53)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편(65)의 걸림부(68)가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면의 삽입가이드(56)를 통과하면서 상기 탄성체결편(65)이 상기 탄성변형슬릿(66) 내부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릴레이블록(60)의 삽입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68)가 상기 삽입가이드(56)를 모두 통과한 후에는 상기 탄성체결편(65)의 복원 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68)가 상기 걸이턱(54)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릴레이블록(60)이 상기 블록삽입부(53)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릴레이블록(60)이 상기 블록삽입부(53)의 하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릴레이블록(60)의 릴레이안착부(63)에 상기 릴레이(7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릴레이(70)의 장착레그(72)가 상기 릴레이안착부(63)에 형성된 장착홀(64)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릴레이(70)가 릴레이안착부(63)에 고정되며, 릴레이(70)의 외측면이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손잡이부(69)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탄성체결편(65)의 탄성변형을 방지한다. 즉, 이와 같이 상기 릴레이(70)가 릴레이안착부(63)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손잡이부(69)가 눌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걸림부(68)와 걸이턱(54)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정션박스(50)의 진동에도 릴레이블록(60)은 블록삽입부(53)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된다.
상기 릴레이블록(60)을 교체할 때에는 먼저, 상기 릴레이(70)를 릴레이안착부(63)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상기 릴레이(70)를 분리하면, 작업자가 상기 탄성체결편(65)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부(69)를 양측에서 잡을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69)를 양측에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69)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체결편(65)이 상기 탄성변형슬릿(66) 내부로 탄성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68)가 상기 걸이턱(54)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릴레이블록(60)이 상기 블록삽입부(53)의 하방으로 빠질 수 있도록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69)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러 상기 걸림부(68)가 상기 걸이턱(54)에서 빠질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블록(60)을 상기 블록삽입부(53)의 하부로 밀어넣어 상기 릴레이블록(60)을 메인바디(51)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릴레이안착부(63)에 안착된 상태의 상기 릴레이(70)는 상기 탄성체결편(65)을 지지하여 릴레이블록(60)의 장착을 견고하게 하며, 상기 탄성체결편(65)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탄성체결편(65)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부(69)가 상기 메인바디(51)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릴레이블록(60)의 분리시에 작업자는 양측의 손잡이부(69)를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분리도구가 필요 없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에서 릴레이블록의 결합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릴레이블록과 메인바디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릴레이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정션박스 51: 메인바디
53: 블록삽입부 54: 걸이턱
56: 삽입가이드 60: 릴레이블록
61: 블록몸체 63: 릴레이안착부
64: 장착홀 65: 탄성체결편
66: 탄성변형슬릿 68: 걸림부
69: 손잡이부 70: 릴레이

Claims (5)

  1. 상하를 관통하여서 블록삽입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블록삽입부에 삽입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요입되게 형성된 릴레이안착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단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며 상기 블록삽입부의 내면 일측에 걸어지는 탄성체결편으로 구성되는 릴레이블록과;
    상기 릴레이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결편의 내면을 지지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결편의 상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레이블록의 분리시에 눌러지는 손잡이부가 되며;
    상기 릴레이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의 릴레이의 외면이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을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편의 외면에는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상기 블록삽입부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어져 상기 릴레이블록이 상기 블록삽입부에서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졍선박스.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의 선단에서 상기 블록삽입부의 내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삽입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가이드는 상기 릴레이블록이 상기 블록삽입부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KR20070021121U 2007-12-31 2007-12-31 정션박스 KR200446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1121U KR200446696Y1 (ko) 2007-12-31 2007-12-31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1121U KR200446696Y1 (ko) 2007-12-31 2007-12-31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93U KR20090006793U (ko) 2009-07-03
KR200446696Y1 true KR200446696Y1 (ko) 2009-11-23

Family

ID=4133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1121U KR200446696Y1 (ko) 2007-12-31 2007-12-31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81B1 (ko) * 2009-12-31 2016-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연결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336A (ja) * 1996-09-26 1998-04-24 Daihatsu Motor Co Ltd 電気接続箱
KR100759123B1 (ko) * 2005-11-14 2007-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KR200439564Y1 (ko) 2007-05-17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336A (ja) * 1996-09-26 1998-04-24 Daihatsu Motor Co Ltd 電気接続箱
KR100759123B1 (ko) * 2005-11-14 2007-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KR200439564Y1 (ko) 2007-05-17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93U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367B2 (en) Fastener
KR20110117937A (ko) 차량용 박스
WO2013116601A1 (en)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for heat sink mounting
JP6274155B2 (ja) ヒューズプラーの保持構造
JP5853105B2 (ja) サンバイザホルダ
KR200446696Y1 (ko) 정션박스
JP6467413B2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KR100874964B1 (ko) 터미널 탈거장치
KR200447845Y1 (ko) 터미널탈거공구
KR100970274B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80006395U (ko) 램프홀더
KR20100010712U (ko) 박스
KR20100122257A (ko) 박스의 결합장치
KR20110137888A (ko) 자동차의 토잉후크 캡 결합구조
KR101061060B1 (ko) 커넥터 이탈방지용 성형지그
JP3543256B2 (ja) 取外可能なハーネスクリップ
KR100982943B1 (ko)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KR20130134253A (ko) 리벳툴
KR200427432Y1 (ko) 램프홀더조립체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0988791B1 (ko) 박스체결장치
KR20150018011A (ko)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KR20130134255A (ko) 리벳툴
KR102417420B1 (ko) 휴대 공구용 홀더
KR20090119145A (ko) 파워커넥터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