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45Y1 - 터미널탈거공구 - Google Patents

터미널탈거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45Y1
KR200447845Y1 KR2020070020989U KR20070020989U KR200447845Y1 KR 200447845 Y1 KR200447845 Y1 KR 200447845Y1 KR 2020070020989 U KR2020070020989 U KR 2020070020989U KR 20070020989 U KR20070020989 U KR 20070020989U KR 200447845 Y1 KR200447845 Y1 KR 200447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tip
push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05U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4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탈거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터미널탈거공구의 골격은 손잡이부(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1)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부(21)의 일단에는 헤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22)는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형성된 랜스(14)를 향해 하우징(12)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헤드부(22)의 선단에는 상기 랜스(14)를 변형시키도록 경사지게 누름단(22')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22)의 일면에는 푸시부(2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2)가 상기 랜스(14)를 변형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랜스(14)에 형성된 걸이턱(14')에 걸어진 터미널(16)의 선단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24)에는 안내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푸시부(24)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22)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랜스(14)를 탄성변형시키는 동시에 터미널(16)을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랜스(14)를 변형시키는 동시에 터미널(16)을 당길 필요없이, 랜스(14)를 변형시킴과 동시에 터미널(16)을 랜스(14)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랜스, 커넥터, 탈거공구

Description

터미널탈거공구{Instrument for detaching terminal}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결합된 터미널을 해제하기 위한 터미널탈거공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터미널은 상대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연결되어 접속기구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lance)에 의해 걸어짐으로써 상기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탈거공구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탈거공구의 골격을 손잡이부(1)가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1)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1)를 파지하고 작 업을 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1)는 손잡이의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의 일단에는 헤드부(3)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3)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큰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헤드부(3)의 선단에는 누름단(3')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3')은 상기 랜스의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를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터미널의 분리를 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누름단(3')을 상기 랜스의 상방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상기 누름단(3')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상기 터미널을 탈거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을 파지하고, 상기 누름단(3')을 상기 랜스의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그 반대편으로는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작업을 동시에 해야한다. 따라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랜스를 조작함과 동시에 터미널을 밀어, 하우징과 터미널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골격을 형성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선단에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터미널을 고정하는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도록 경사지게 누름단이 형성되는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상기 헤드부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랜스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의 선단에 접촉하는 푸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과 접하는 상기 푸시부의 일면에는 상기 푸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단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가 상기 랜스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과 접하는 푸시부로부터 상기 누름단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터미널의 선단과 상기 랜스에 형성된 걸이턱의 선단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탈거공구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푸시부가 구비되어,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동시에 터미널을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랜스를 변형시키는 동시에 터미널을 당길 필요없이, 랜스를 변형시킴과 동시에 터미널을 랜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의 구성을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의 반대편 역시 개구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6)이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6)이 일단 고정되면 임의로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랜스(lance)(14)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징에 의해 탄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랜스(14)는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터미널(16)의 일측에 걸어져 터미널(16)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랜스(14)는 터미널(16)의 삽입시 잠시 탄성변형되었 다가 원형으로 복원된다. 상기 랜스(14)의 선단부에는 걸이턱(1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14')이 상기 랜스(14)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4)는 터미널(16)의 결합공(미도시)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터미널(16)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16)의 일단은 와이어(17)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대커넥터에 설치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16)의 저면에는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랜스(14)의 걸이턱(14')이 삽입되어 걸어져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미널탈거공구(20)의 골격은 손잡이부(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1)는 터미널탈거공구(20)의 기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부(22)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21)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21)의 일단에는 헤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22)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큰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헤드부(22)의 선단에는 누름단(2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22')은 상기 하우징(1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14)를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터미널(16)의 해제를 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단(22')과 인접한 상기 헤드부(22)의 일면에는 푸시부(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푸시부(24)는 상기 헤드부(22)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푸시부(24)는 상기 랜스(14)가 상기 헤드부(22)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6)의 선단에 접촉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터미널(16)과 접하는 상기 푸시부(24)로부터 상기 누름단(22')의 선단 사이의 거리(D)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6)의 선단과 상기 걸이턱(14')의 선단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경사면(24')에 의해 상기 터미널(16)을 상기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푸시부(24)의 일면 중 상기 터미널(16)의 선단과 접하는 면에는 안내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푸시부(24)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단(2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터미널(16)이 상기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경사면(24')이 상기 누름단(22')을 향할수록 상기 푸시부(24)와 상기 누름단(22') 사이의 거리는 좁아진다. 즉, 상기 안내경사면(24')에 의해 상기 터미널(16)이 안내되어 상기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터미널탈거공구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분리시키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탈거공구(20)를 파지 하여 상기 삽입공(13)을 향해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2)의 누름단(22')이 상기 삽입공(13)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22)를 상기 삽입공(13) 내부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단(22')이 상기 랜스(14)와 상기 터미널(16)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랜스(14)가 상기 하우징(12)의 내면과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랜스(14)는 탄성변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스(14)가 상기 하우징(12)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상기 터미널(16)의 결합홈은 상기 랜스(14)의 걸이턱(1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탈거공구(20)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미널(16)의 선단은 상기 푸시부(24)의 안내경사면(24')을 따라 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16)과 마주보는 상기 푸시부(24)로부터 상기 누름단(22')의 선단 사이의 거리(D)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6)의 선단과 상기 걸이턱(14')의 선단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16)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면(24')에 간섭되면서 상기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16)이 하우징(12)으로부터 어느 정도 분리되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탈거공구(20)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7)를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터미널(16)이 하우징(12)으 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랜스(14)를 변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터미널(16)을 당길 필요없이, 상기 랜스(14)를 변형시킴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16)을 랜스(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탈거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 실시예의 터미널탈거공구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터미널탈거공구 21: 손잡이부
22: 헤드부 22': 누름단
24: 푸시부 24': 안내경사면

Claims (3)

  1. 골격을 형성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선단에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터미널을 고정하는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도록 경사지게 누름단이 형성되는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상기 헤드부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랜스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의 선단에 접촉하는 푸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미널탈거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접하는 상기 푸시부의 일면에는 상기 푸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단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탈거공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랜스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과 접하는 푸시부로부터 상기 누름단의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터미널의 선단과 상기 랜스에 형성된 걸이턱의 선단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탈거공구.
KR2020070020989U 2007-12-28 2007-12-28 터미널탈거공구 KR200447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89U KR200447845Y1 (ko) 2007-12-28 2007-12-28 터미널탈거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89U KR200447845Y1 (ko) 2007-12-28 2007-12-28 터미널탈거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05U KR20090006705U (ko) 2009-07-02
KR200447845Y1 true KR200447845Y1 (ko) 2010-02-24

Family

ID=4133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989U KR200447845Y1 (ko) 2007-12-28 2007-12-28 터미널탈거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233A (ko) 2018-11-01 2020-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59B1 (ko) * 2015-11-25 2016-08-19 오성전장주식회사 하네스 터미널홀 전용 리워크 키
KR20220086275A (ko) 2020-12-16 2022-06-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091U (ja) 1984-03-15 1985-10-03 株式会社 白山製作所 電線押込切断治具
JPH0412287U (ko) * 1990-05-22 1992-01-31
JP2004014502A (ja) 2003-02-03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解除治具
KR100752778B1 (ko) 2006-06-29 2007-08-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워크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리워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091U (ja) 1984-03-15 1985-10-03 株式会社 白山製作所 電線押込切断治具
JPH0412287U (ko) * 1990-05-22 1992-01-31
JP2004014502A (ja) 2003-02-03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解除治具
KR100752778B1 (ko) 2006-06-29 2007-08-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워크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리워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233A (ko) 2018-11-01 2020-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05U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47B1 (ko) 커넥터조립체
CN212321667U (zh) 一种端子排测试用接线辅助装置和端子排
KR200447845Y1 (ko) 터미널탈거공구
CN105531876A (zh) 插拔连接器
KR20110082014A (ko)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KR100864246B1 (ko) 커넥터하우징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JPH1112666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接点を絶縁ハウジングから解除する方法と工具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WO2011013260A1 (ja) 回路接続部品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04218762A (ja) 固定具
JP2017182981A (ja) コネクタ用治具
KR20140011817A (ko) 커넥터
KR200450922Y1 (ko) 퓨즈 풀러
KR20100013639A (ko) 커넥터
KR200405196Y1 (ko) 단자 및 리어홀더의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구조
KR101061060B1 (ko) 커넥터 이탈방지용 성형지그
KR101820141B1 (ko) 커넥터
KR20100006432U (ko) 콘센트 안전덮개
KR20090022964A (ko) 커넥터
KR100982943B1 (ko)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KR20090006798U (ko) 커넥터하우징
KR100838776B1 (ko) 터미널 탈거장치
KR20090072743A (ko) 커넥터
KR101382824B1 (ko) 스위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