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481B1 - 전원연결박스 - Google Patents

전원연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481B1
KR101586481B1 KR1020090135935A KR20090135935A KR101586481B1 KR 101586481 B1 KR101586481 B1 KR 101586481B1 KR 1020090135935 A KR1020090135935 A KR 1020090135935A KR 20090135935 A KR20090135935 A KR 20090135935A KR 101586481 B1 KR101586481 B1 KR 10158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using
relay
main relays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990A (ko
Inventor
손인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연결박스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메인릴레이(30,30') 및 프리차지릴레이(38)가 설치된다. 상기 릴레이(30,30',38)들은 그 버스바연결부(32,38')가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30,30')의 버스바연결부(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보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30,30')의 사이에는 중앙제진패드(34)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30,3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하우징(10)으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에도 버스바연결부(38')반대쪽 면에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40)가 설치되어 진동과 소음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메인릴레이(30,30')의 버스바연결부(32)와 마주보는 측벽의 외부에 단자안착대(18)가 형성되도록 하여 버스바(42,45,47,50)의 길이를 최소화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연결박스의 소음이 최소화되고 내부 구성, 특히 버스바(42,45,47,50)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차량용 박스, 하이브리드 카, 전원 연결, 전원 차단, 진동

Description

전원연결박스{Power relay box}
본 발명은 전원연결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카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동력배터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카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전기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차세대 자동차를 말한다.
최근 하이브리드카는 배터리 충전량의 한계로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어려워지자 기존의 가솔린엔진과 전기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여 전기 엔진이 가솔린엔진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하이브리드카에 사용되는 전기 엔진은 크게 운전시 구동력을 보조하는 모터,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 배터리의 고전압을 구동모터로 공급 및 제어하는 인버터, 인버터와 배터리를 연결하고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연결박스로 구 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연결박스는 하이브리드카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동력배터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중요한 구성요소중 하나이다. 하지만 상기 전원연결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에서는 동작소음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동작소음은 전원연결박스의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차량의 동작소음을 크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연결박스의 내부 구성, 특히 릴레이와 외부를 연결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복잡하여 그 제조 및 조립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연결박스의 동작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연결박스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로 개구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구획리브가 형성되어 공간이 구획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구획된 공간내에 배치되고 버스바와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연결부가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반대쪽 측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구획된 공간내에 배치되는 프리차지릴레이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개의 버스바,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와 제1메인릴레이와의 연결을 위한 프리차지버스바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가 형성된 반대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중앙제진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그리고 프리차지릴레이와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 에는 제진패드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2 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서로 반대되는 측벽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가 위치되어 외부의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안착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와 마주보는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와 버스바연결부 사이의 결합을 위한 공구가 삽입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커버에 형성된 차폐벽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측벽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가 형성된 반대면에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가 상기 구획리브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연결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메인릴레이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제진패드를 두어 메인릴레이에서 발생하는 동작소음이 하우징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전원연결박스의 하우징 외부로 전달되는 동작소음이 최소화되어 차량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 하도록 하여 하우징의 양단을 보도록 하고, 동시에 버스바가 하우징의 양단에서 외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였으므로 전원연결박스의 내부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하게 되어 조립성이 좋아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원연결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연결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의 B-B'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원연결박스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2)이 상부 및 하부 일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의 바닥에는 메인릴레이 구획리브(14)와 프리차지릴레이 구획리브(16)가 각각 돌출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릴레이 구획리브(14)는 내부공간(1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2줄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릴레이 구획리브(14)의 사이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릴레이(30,30')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릴레이(30,30')가 서로 마주본다는 것은 상기 메인릴레이(30,30')의 일단에 형성되는 버스바결합부(32)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된다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결합부(32)가 형성된 반대면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 구획리브(16)는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을 구성하도록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 구획리브(16)의 내부에는 프리차지릴레이(38)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 외부 상단에는 단자안착대(18)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대(18)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이에는 단자볼트(20)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볼트(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42,45,47,50)와 외부 단자(도시되지 않음)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장착편(1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9)은 하우징(10)을 차량의 패널 등에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장착편(19)은 볼트 등을 사용하여 패널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중 상기 단자안차대(18)가 형성된 측벽에는 각각 개구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2)는 버스바(42,45,47,50)와 메인릴레이(30,30')의 결합을 위한 공구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4)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4)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커버(24)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26)가 체결된다. 상기 하부커버(26)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서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커버(26)도 역시 사각형의 판상이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27)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27)중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22)를 차폐하는 차폐벽(2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메인릴레이 구획리브(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1 및 제2메인릴레이(30,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메인릴레이(30,30')에는 각각 일면에 버스바결합부(3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버스바결합부(32)는 각각의 메인릴레이(30,30')에 2개씩 형성된다. 이들 버스바결합부(32) 사이는 격벽(3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메인릴레이(30,30')는 상기 버스바결합부(32)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데, 상기 메인릴레이(30,30')의 사이에는 중앙제진패드(34)가 설치된다. 상기 중앙제진패드(34)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무재질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중앙제진패드(34)는 상기 각각의 메인릴레이(30,3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메인릴레이(30,30')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 설치될 때, 바닥제진패드(36)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과 메인릴레이(30,3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바닥제진패드(36) 역시 상기 중앙제진패드(34)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메인릴레이(30,30')의 진동과 소음이 상기 하우징(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바닥제진패드(36)는 중앙제진패드(34)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프리차지릴레이 구획리브(16)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는 프리차지릴레이(38)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중 상기 제1메인릴레이(30)와 마주보는 면에는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40)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40)는 상기 프리차지릴레이 구획리브(16)와 프리차지릴레이(38)의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40)는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의 버스바연결부(38')가 있는 반대면과 상기 프리차지릴레이 구획리브(1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의 경우도 버스바연결부(38')가 하우징(10)의 측벽을 향하도록 되어 있고, 그 반대면에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40)가 배치되도록 하여 하우징(10)으로는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에서 진동과 소음이 작용하는 방향이 상기 메인릴레이(30,30')에서와 같기 때문이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와 하우징(10)의 바닥면 사이에도 프리차지릴레이바닥 제진패드(40')(도 5참고)가 설치되어 진동과 소음이 하우징(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메인릴레이(30,30')와 배터리 또는 인버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42,45,47,5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배터리버스바(42)는 메인릴레이(30)의 일측 버스바연결부(32)와 배터리의 양단자를 연결하는 것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양단에 각각 단자연결부(43)와 릴레이연결부(43')가 형성된다.
제2배터리버스바(45)는 메인릴레이(30)의 타측 버스바연결부(32)와 배터리의 음단자를 연결하는 것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양단에 각각 단자연결부(45)와 릴레이연결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터리버스바(42)와 제2배터리버스바(45)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1인버터버스바(47)는 메인릴레이(30')와 인버터의 양단자를 연결하는 것으로, 형상이 상기 제1배터리버스바(42)와 같다. 상기 제1인버터버스바(47)의 양단에는 각각 단자연결부(48)와 릴레이연결부(48')가 형성된다.
제2인버터버스바(50)는 메인릴레이(30')와 인버터의 음단자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인버터버스바(50)는 양단에 각각 단자연결부(51)과 릴레이연결부(51')가 형성되는데, 상기 릴레이연결부(51')는 상기 단자연결부(51)측에서 상기 제1인버터버스바(47)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리차지릴레이(38)와 메인릴레이(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프리차지 버스바(53)가 구비되는데, 상기 프리차지버스바(53) 역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양단에 각각 메인연결부(54)와 프리차지연결부(5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 즉 상기 단자안착대(18)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 외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커넥터(56)(도 3참고)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56)는 별도의 커넥터가 결합됨에 의해 외부와의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6은 전류센서이고, 58은 레지스터(resistor)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연결박스를 조립 하는 것과 전원연결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메인릴레이(30,30')와 프리차지릴레이(38)를 설치하기 전에 그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바닥제진패드(36)와 프리차지릴레이바닥 제진패드(40')를 위치시킨다. 상기 제진패드(36,40')들은 각각 하우징(10)의 바닥에 접착제로 부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메인릴레이(30,30')나 프리차지릴레이(38') 자체에 제진패드(36,40')들을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릴레이(30,30')를 상기 메인릴레이 구획리브(14) 사이의 공간에 설치함에 있어 메인릴레이(30,30')의 사이에 중앙제진패드(34)를 설치한다. 상기 중앙제진패드(34)는 상기 두개의 메인릴레이(30,30')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중앙제진패드(34)는 상기 메인릴레이(30,30')의 사이에 위치함에 의해 메인릴레이(30,3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특히 진동이 하우징(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외부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메인릴레이(30,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이 상기 버스바연결부(32)가 구비된 반대쪽 방향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메인릴레이(30,30')를 설치함에 있어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하나의 중앙제진패드(34)로 전달되게 하여 하우징(10)으로는 메인릴레이(30,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돌고 하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하우징(10)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메인릴레이(30,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주로 상기 중앙제진패드(34) 방향이기는 하나 일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으로도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바닥제진패드(36)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38)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40)와 프리차지릴레이바닥 제진패드(40')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되므로 하우징(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많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양단에 단자안착대(18)를 형성하고 각각의 메인릴레이(30,30')와 배터리 및 인버터와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42,45,47,50)를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단자안착대(18)가 형성된 하우징(10)의 측벽과 마주보게 메인릴레이(30,30')의 버스바연결부(32)를 배치하고 그 측벽에 단자안착대(18)를 두었으므로 버스바(42,45,47,5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메인릴레이(30,30')와 프리차지릴레이(38)를 하우징(10)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버스바(42,45,47,50)를 연결한다. 상기 버스바(42,45,47,50)와 메인릴레이(30,30')의 버스바연결부(32)와의 체결을 위한 공구의 삽입은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22)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릴레이(30,30')와 버스바(42,45,47,50)를 연결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커넥터(56), 전류센서(58) 및 레지스터(60)를 설치하는 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0)에 각종 부품의 설치가 완성되면 상기 상부커버(24)와 하부커버(26)를 하우징(10)에 체결한다. 상기 상부커버(24)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상부를 차폐하게 되고, 상기 하부커버(26)는 하우징(10)의 바닥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차폐벽(28)이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22)를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전원연결박스의 조립이 완성되고, 상기 단자안착대(18)에 위치된 버스바(42,45,47,50)의 각각의 단자연결부(43,46,48,51)에 배터리 측 및 인버터 측의 단자를 연결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을 차폐하는 하부커버(26)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56), 전류센서(58) 및 레지스터(60) 등은 그 구성 및 설치 위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연결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메인릴레이구획리브 16: 프리차지릴레이구획리브
18: 단자안착대 19: 장착편
20: 단자볼트 22: 개구부
24: 상부커버 26: 하부커버
28: 차폐벽 30: 제1메인릴레이
30': 제2메인릴레이 32: 버스바연결부
33: 격벽 34: 중앙제진패드
36: 바닥제진패드 38: 프리차지릴레이
38': 버스바연결부 40: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
42: 제1배터리버스바 45: 제2배터리버스바
47: 제1인버터버스바 50: 제2인버터버스바
53: 프리차지버스바 56: 커넥터
58: 전류센서 60: 레지스터

Claims (6)

  1. 상부로 개구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구획리브가 형성되어 공간이 구획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구획된 공간내에 배치되고 버스바와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연결부가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반대쪽 측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구획된 공간내에 배치되는 프리차지릴레이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개의 버스바,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와 제1메인릴레이와의 연결을 위한 프리차지버스바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가 형성된 반대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중앙제진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그리고 프리차지릴레이와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진패드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서로 반대되는 측벽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가 위치되어 외부의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안착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박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와 마주보는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와 버스바연결부 사이의 결합을 위한 공구가 삽입됨을 특징으로하는 전원연결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커버에 형성된 차폐벽에 의해 외부와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측벽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의 버스바연결부가 형성된 반대면에 프리차지릴레이 제진패드가 상기 구획리브와의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박스.
KR1020090135935A 2009-12-31 2009-12-31 전원연결박스 KR10158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935A KR101586481B1 (ko) 2009-12-31 2009-12-31 전원연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935A KR101586481B1 (ko) 2009-12-31 2009-12-31 전원연결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90A KR20110078990A (ko) 2011-07-07
KR101586481B1 true KR101586481B1 (ko) 2016-01-18

Family

ID=4491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935A KR101586481B1 (ko) 2009-12-31 2009-12-31 전원연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8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정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36B1 (ko) * 2011-07-29 2014-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101861374B1 (ko) * 2011-12-12 2018-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인버터의 고전압커넥터
KR101989395B1 (ko) 2012-12-20 2019-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용 커버장치
KR101631876B1 (ko) 2014-12-08 2016-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20160075267A (ko) 2014-12-19 2016-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101666869B1 (ko) 2014-12-23 2016-10-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101755102B1 (ko) 2015-06-23 2017-07-06 주식회사 만도 브릿지 어셈블리
KR102119594B1 (ko) 2017-03-06 2020-06-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WO2018164449A1 (ko) * 2017-03-06 2018-09-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102411445B1 (ko) 2017-07-20 2022-06-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WO2019017593A1 (ko) * 2017-07-20 2019-01-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8913A (ja) 2005-07-08 2007-01-25 Nec Tokin Corp 複合型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803U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200446696Y1 (ko) * 2007-12-31 2009-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8913A (ja) 2005-07-08 2007-01-25 Nec Tokin Corp 複合型電磁継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8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정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90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481B1 (ko) 전원연결박스
JP6414021B2 (ja) 燃料電池の搭載構造
JP4754321B2 (ja) 燃料電池自動車
EP1829724A1 (en) Vehicle mounted structure of high voltage battery unit
CN108621823B (zh) 燃料电池车辆
JP5446537B2 (ja) 電気自動車の搭載構造
JP5216316B2 (ja) 統合パッケージ垂直装着用フレーム構造
KR101561045B1 (ko) 전원 연결 박스
JP4924671B2 (ja) 電気自動車の搭載構造
CN112009228A (zh) 电动车辆的电池单元安装结构
JP4968292B2 (ja) 電気自動車の搭載構造
JP2012096715A (ja) バッテリユニットの冷却用ダクト構造
JP2015081042A (ja) 電気車両
JP2011020624A (ja) 電気自動車の搭載構造
JP2005132348A (ja) 車両後部構造
JP4622931B2 (ja) 車両用のプロテクタ構造
JP2012096716A (ja) 空冷式バッテリユニットの冷却用ダクト構造
US11814101B2 (en) Front end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for a passenger vehicle, and motor vehicle, in particular passenger vehicle
KR101529067B1 (ko) 전원 연결 박스
JP2013071694A (ja) 車体構造
JP2005247064A (ja) 蓄電機構の搭載構造
CN214013087U (zh) 电池包及具有该电池包的车辆
JP6458715B2 (ja) 電子制御装置
KR20220099307A (ko) 파워 일렉트릭 모듈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차체
KR200463442Y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