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636B1 - 전원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636B1
KR101352636B1 KR1020110076116A KR20110076116A KR101352636B1 KR 101352636 B1 KR101352636 B1 KR 101352636B1 KR 1020110076116 A KR1020110076116 A KR 1020110076116A KR 20110076116 A KR20110076116 A KR 20110076116A KR 101352636 B1 KR101352636 B1 KR 10135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nection
fixing
shieldin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164A (ko
Inventor
손인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가 골격을 형성하고, 그 내부의 내부공간에는 릴레이나 버스바와 같은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은 상부커버(2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부커버(20) 상에는 제1 및 제2버스바(23,2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버스바(23,26)는 각각 제1 및 제2커버측벽(22,2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설치되는데, 각각 제1커버(50)와 제2커버(60)의 제1 및 제2고정부(51,61)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제1커버(50)와 제2커버(60)의 제1 및 제2고정부(51,61)에는 각각 제1몰드힌지(52)와 제2몰드힌지(62)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연결부차폐부(54,64)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차폐부(54,64)는 상기 상부커버(20)의 가장자리를 벗어난 영역까지도 연장되어 있어, 전원분배장치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선(80)과 커넥터(90)까지도 차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분배장치의 공간사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되고 안정성이 더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원분배장치{Power distrib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등에서 배터리에서 전달된 전원을 인버터쪽으로 전달하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카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전기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차세대 자동차를 말한다.
최근 하이브리드카는 배터리 충전량의 한계로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어려워지자 기존의 가솔린엔진과 전기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여 전기 엔진이 가솔린엔진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하이브리드카에 사용되는 전기 엔진은 크게 운전시 구동력을 보조하는 모터,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 배터리의 고전압을 구동모터로 공급 및 제어하는 인버터, 인버터와 배터리를 연결하고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분배장치로 구성된다.
전기자동차에서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사용된다. 즉, 기존에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는 대략 12V 정도의 저전압만을 필요로 하였으나, 전기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전원분배장치는 고전압과 저전압을 동시에 다루게 된다. 따라서, 전원분배장치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더 복잡하게 되고, 고전압을 사용함으로 인해 보다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커버 상에 위치되는 버스바를 간편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된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분배장치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도 차폐할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분배장치에서 사용되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부품이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상에 장착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를 차폐하는 제1 및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버에는 각각 상기 버스바를 차폐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에 대해 회전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일부가 상기 상부커버를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차폐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버스바가 위치되는 공간이 각각 제1커버측벽의 쌍과 제2커버측벽의 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측벽의 쌍 내에 안착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1커버의 제1고정부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제2커버측벽의 쌍 내에 안착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2커버의 제2고정부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제1커버측벽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1몰드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차폐하며 상기 상부커버의 제1걸이벽에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지는 제1레버를 구비하는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와,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몰드힌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차폐부회전중심과,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고정걸이편과 제1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제2커버측벽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2몰드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차폐하며 상기 상부커버의 제2걸이벽에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지는 제2레버를 구비하는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와,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몰드힌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차폐부회전중심과,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2고정걸이편과 제2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차폐부회전중심은 각각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된 제1및 제2 회전중심리브의 쌍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차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제1 및 제2스컷트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의 선단에는 탄성걸이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이편의 양단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에 의해 차폐되는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선단의 누름돌편이 상기 탄성걸이편의 선단 상면에 안착되어 탄성걸이편을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몰드힌지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를 가로질러서는 제1 및 제2 보강리브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차폐부의 회전중심인 제1 및 제2 차폐부회전중심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부커버 상에 제1커버와 제2커버를 두고 이들 커버가 상부커버 상의 버스바를 차폐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원분배장치의 상부커버 상면까지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원분배장치의 상부커버 상면에 장착되는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각각 전원분배장치와 연결되는 상대물의 일부까지도 차폐하도록 연결부차폐부를 두었으므로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원분배장치의 안전성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원분배장치와 연결되는 상대물의 일부를 차폐하는 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개방걸이와 개방핀을 두었으므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상부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차폐부에 상대물과 결합되는 부분을 두어 상대물과의 결합이 보다 완전하게 하고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커넥터와 전선이 결합되고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커버에 있는 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원분배장치가 외부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제1 및 제2 커버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따르면, 전원분배장치의 외관과 골격을 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 예를 들면 릴레이와 버스바 등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생략한다.
상기 본체(1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장착편(1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12)은 본체(10)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장착편(1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장착공(14)이 천공되고, 상기 장착공(14)의 내면에는 부싱(16)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16)은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는 한쌍의 보호리브(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20)의 일측을 통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호리브(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일측의 제2버스바(26)와 제2연결볼트(3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되어 있는 본체(10)의 내부공간은 상부커버(2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의 입구와 대략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4,26)들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커버(20)상에는 제1커버측벽(22)이 쌍을 이뤄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측벽(22)은 한쌍 씩 두 군데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커버측벽(22)은 상기 상부커버(20) 상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측벽(22)의 사이에는 제1버스바(23)가 각각 위치된다. 이들 제1버스바(23)는 예를 들면 외부로 부터 전원분배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는 부분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의 각각 (+)와 (-)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커버측벽(22)이 형성된 반대쪽, 즉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돌출되어 형성된 구획벽(24)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커버측벽(22)의 반대쪽에는 제2커버측벽(25)이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측벽(25)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커버(20)의 일측 끝 부분에서 방향을 바꿔 연장된다. 물론, 상기 제2커버측벽(25) 그리고 상기 제1커버측벽(22)이 연장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측벽(25)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커버(20)의 상면에는 제2버스바(26)가 안착된다. 상기 제2버스바(26)는 상기 제1버스바(23)들과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릴레이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커버측벽(25) 쌍의 끝부분에서는 상기 본체(10)의 보호리브(18)와 나란히 제2커버측벽(25)이 연장된다. 상기 보호리브(18)의 사이 및 상기 보호리브(18)와 대응되는 제2커버측벽(25)의 사이에는 연결버스바(2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버스바(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90)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커버측벽(22)의 사이에는 제1연결볼트(30)가 있고, 상기 보호리브(18) 사이 및 제2커버측벽(25)의 사이에는 각각 제2연결볼트(32)가 있다. 이들 연결볼트(30,32)를 통해서는 버스바(23,26,28)들이 서로 결합되고, 이에 별도의 전선터미널(82) 등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볼트(30,32)들은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버측벽(22)의 외면 일측에는 각각 제1커버돌기(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돌기(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버(50)의 제1결합걸이편(51')이 걸어진다. 즉, 상기 제1커버돌기(34)는 제1커버(50)를 상부커버(2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커버돌기(34)가 상기 제1커버측벽(22) 쌍중에서 외측에 있는 것의 외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2개의 제1커버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측벽(25)의 외면에는 각각 제2커버돌기(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6개의 제2커버돌기(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커버측벽(25)이 상부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커버측벽(22)의 쌍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커버(20)의 상면 일단부에는 제1걸이벽(38)이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벽(38)에는 제1걸이턱(도시되지 않음)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벽(38)의 제1걸이턱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버(50)의 제1레버(58)가 걸어진다.
상기 제2커버측벽(25)쌍과 상기 보호리브(18)쌍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커버(20)의 상면 타단부에는 제2걸이벽(40)이 직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벽(40)에는 제2걸이턱(도시되지 않음)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벽(40)의 제2걸이턱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60)의 제2레버(68)가 걸어진다.
상기 제1걸이벽(38)과 마주보게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면에는 제1회전중심리브(42)의 쌍이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중심리브(42)의 쌍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버(50)의 제1연결부차폐부(54)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제2걸이벽(40)과 마주보게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면에는 제2회전중심리브(44)의 쌍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중심리브(44)의 쌍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60)의 제2연결부차폐부(64)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상부커버(20)의 일측에는 제1커버(50)가 장착된다. 상기 제1커버(50)는 상기 제1커버측벽(22)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제1고정부(51)를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부(51)의 양단에는 상기 제1커버측벽(22)에 형성된 제1커버돌기(34)에 걸어지는 제1결합걸이편(5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걸이편(51')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그 중앙에 걸이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공에 상기 제1커버돌기(34)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제1고정부(51)는 상기 제1결합걸이편(51')에 의해 상부커버(20)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51)의 일측에는 제1몰드힌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몰드힌지(52)는 상기 제1고정부(51)나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결부차폐부(54)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되어 제1연결부차폐부(54)가 어느 정도 회전되면서 상기 제1연결볼트(30) 등이 위치되는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몰드힌지(5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51)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몰드힌지(52)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제1차폐부회전중심(52')이 있다. 상기 제1차폐부회전중심(52')은 상기 제1몰드힌지(52)와 같은 연장선상에 있고, 상기 제1회전중심리브(42)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회전중심리브(4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고정부(51)에는 상기 제1몰드힌지(52)와 인접한 위치에 제1보강리브(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리브(53)는 상기 제1몰드힌지(52)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1보강리브(53)는 상기 제1몰드힌지(52)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제1몰드힌지(52)에서 연장되어서는 제1연결부차폐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는 상기 제1연결볼트(30)가 있는 부분을 차폐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커버(20)의 가장자리를 넘어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전선(80)의 일부까지도 차폐한다.
한편, 제1연결부차폐부(54)가 상기 제1몰드힌지(52)와 제1차폐부회전중심(5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걸이편(56)이 상기 제1고정부(51)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걸이편(56)의 형상은 상기 제1결합걸이편(51')과 동일하다. 상기 제1고정걸이편(56)이 걸어지는 제1고정핀(57)이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의 양단부, 상기 제1몰드힌지(52)와 인접한 양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핀(57)이 상기 제1고정걸이편(56)에 걸어지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차폐부(54)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차폐부회전중심(52')과 마주보게 제1레버(58)가 형성된다. 상기 제1레버(58)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버(50)의 제1연결부차폐부(54)의 중간부분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는 2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들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제1레버(58)가 형성된다. 상기 제1레버(58)는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제1걸이벽(38)의 제1걸이턱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에서 상기 상부커버(20)를 벗어난 영역에는 제1스컷트부(59)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컷트부(59)는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 가장자리를 둘러 하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것이다. 상기 제1스컷트부(59)는 본 실시예에서 양측의 제1연결부차폐부(54)의 선단을 둘러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1연결부차폐부(54)의 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커버(60)는 상기 제1커버(50)가 설치된 반대쪽, 즉 상기 구획벽(24)에 의해 구획된 반대쪽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커버(60) 역시 상기 제2커버측벽(25)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20)를 벗어난 영역에 있는 상대물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버(60)는 상기 제2커버측벽(25)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제2고정부(61)를 구비한다. 상기 제2고정부(61)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커버측벽(25)과 대응되게 상부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2고정부(61)의 양단에는 상기 제2커버측벽(25)에 형성된 제2커버돌기(36)에 걸어지는 제2결합걸이편(61')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걸이편(61')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그 중앙에 걸이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공에 상기 제2커버돌기(36)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제2고정부(61)는 상기 제2결합걸이편(61')에 의해 상부커버(20)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제2고정부(61)의 일측에는 제2몰드힌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몰드힌지(62)는 상기 제2고정부(61)나 아래에서 설명될 제2연결부차폐부(64)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되어 제2연결부차폐부(64)가 어느 정도 회전되면서 상기 제2연결볼트(32) 등이 위치되는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몰드힌지(6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61)의 횡단면 전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61)와 상기 제2몰드힌지(62)를 통해 연결되게 제2연결부차폐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는 본 실시예에서는 그 후단 일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61)측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일단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제2몰드힌지(62)와 연결되는 것이다. 물론, 제2연결부차폐부(64)에서 돌출된 부분도 상기 제2커버측벽(25) 사이의 공간중 상기 상부커버(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된 부분을 차폐한다.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후단에는 상기 제2회전중심리브(44)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차폐부회전중심(6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차폐부회전중심(62')은 상기 제2몰드힌지(62)와 같은 연장선상에 있고, 상기 제2회전중심리브(44)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2회전중심리브(44)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고정부(61)에는 상기 제2몰드힌지(62)와 인접한 위치에 제2보강리브(63)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리브(63)는 상기 제2몰드힌지(62)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2보강리브(63)는 상기 제2몰드힌지(62)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는 상기 제2연결볼트(32)가 있는 부분을 차폐할 뿐만아니라, 상기 상부커버(20)의 가장자리를 넘어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90)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까지도 차폐한다.
한편, 제2연결부차폐부(64)가 상기 제2몰드힌지(62)와 제2차폐부회전중심(6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제2고정걸이편(66)이 상기 제2고정부(61)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걸이편(66)의 형상은 상기 제2결합걸이편(61')과 동일하다. 상기 제2고정걸이편(66)이 걸어지는 제2고정핀(67)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대응되는 양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핀(67)이 상기 제2고정걸이편(66)에 걸어지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차폐부(64)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차폐부회전중심(6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레버(68)가 형성된다. 상기 제2레버(68)가 형성된 상기 제2커버(60)의 제2연결부차폐부(64)의 중간부분에는 관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제2걸이벽(40)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에서 상기 상부커버(20)를 벗어난 영역에는 제2스컷트부(69)가 형성된다. 상기 제2스컷트부(69)는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 양단을 따라 하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것이다.
상기 제2스컷트부(69)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양단에는 손잡이(7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70)는 작업자가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를 개폐할 때 잡는 부분이다.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선단중앙에는 탄성걸이(7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걸이(72)는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일부를 잘라 외팔보 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상기 탄성걸이(72)는 상대물인 커넥터(90)의 누름돌편(96)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된 상태로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걸이(72)의 양단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가이드리브(7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74)는 상기 탄성걸이(72)의 폭방향 양단에 있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리브(74)는 누름돌편(96)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76은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이다.
한편, 참고로, 상기 제1연결볼트(30)에는 각각 전선(80)의 단부에 구비된 전선터미널(82)이 결합된다. 상기 전선터미널(8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볼트(30)가 통과하고 상기 제1연결볼트(30)에 너트가 체결되면, 상기 전선터미널(82)은 상기 제1버스바(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선(80)은 배터리측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연결볼트(32)에는 상기 연결버스바(28)를 통해 커넥터(90)가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90)는 본 실시예에서는 인버터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인버터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90)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92)의 내부에서 돌출되게 터미널(94)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92)의 선단 일측에는 누름돌편(96)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누름돌편(96)은 상기 제2커버(60)의 제2연결부차폐부(64) 선단에 구비된 탄성걸이편(7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가 외력에 의해 진동하거나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원분배장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각종 부품을 다 조립하고, 상기 버스바(23,26)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상부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50)와 제2커버(60)를 상기 상부커버(2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제1커버(50)의 제1고정부(51)를 상기 제1커버측벽(22)사이의 공간을 덮도록 상기 제1커버측벽(22)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버측벽(22)의 제1커버돌기(34)가 상기 제1고정부(51)의 제1결합걸이편(51')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커버(60)는 제2고정부(61)를 상기 제2커버측벽(25)에 고정하여 제2커버측벽(25) 사이의 공간을 덮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커버측벽(25)의 제2커버돌기(36)가 상기 제2고정부(61)의 제2결합걸이편(61')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50,60)가 상기 상부커버(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볼트(30)와 제2연결볼트(32)에 각각 전선(80)과 커넥터(90)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1커버(50)의 제1연결부차폐부(54)와 제2커버(60)의 제2연결부차폐부(64)를 개방한다.
먼저, 제1연결부차폐부(54)를 개방하는 것은, 상기 제1레버(58)의 선단을 눌러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레버(58)가 제1걸이벽(38)의 걸이턱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를 제1몰드힌지(52)와 제1차폐부회전중심(5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가 회전되어 상기 제1고정걸이편(56)에 상기 제1고정핀(57)이 걸어지면,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54)가 개방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는 상기 제2커버(6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2커버(60)의 제2연결부차폐부(64)를 제2몰드힌지(62)와 제2차폐부회전중심(6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제2고정걸이편(66)에 제2고정핀(67)이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가 개방된 상태가 도 3 및 도 4의 (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커버(50) 및 제2커버(60)의 제1 및 제2 연결부차폐부(54,6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볼트(30) 및 제2 연결볼트(32)에 각각 전선터미널(82)과 연결버스바(28) 그리고 커넥터(90)의 터미널(94)을 연결하는 작업을 한다.
이들 전선(80)과 커넥터(90)의 연결이 완성되면, 상기 제1커버(50)와 제2커버(60)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제1연결볼트(30) 및 제2 연결볼트(32)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커버(50)와 제2커버(60)가 상기 상부커버(20)에 고정되는 것은 상기 제1레버(58)와 제2레버(68)가 각각 제1걸이벽(38)과 제2걸이벽(40)에 걸어지도록 하면 된다.
물론,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경우에는 그 선단에 있는 탄성걸이편(72) 선단 상면에 상기 커넥터(90)의 누름돌편(96)이 안착되어 탄성걸이편(72)을 약간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걸이편(72) 양단의 가이드리브(74)는 상기 누름돌편(96)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돌편(96)이 상기 탄성걸이편(72)을 약간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눌러줌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64)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필요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본체 12: 장착편
14: 장착공 16: 부싱
18: 보호리브 20: 상부커버
22: 제1커버측벽 23: 제1버스바
24: 구획벽 25: 제2커버측벽
26: 제2버스바 28: 연결버스바
30: 제1연결볼트 32: 제2연결볼트
34: 제1커버돌기 36: 제2커버돌기
38: 제1걸이벽 40: 제2걸이벽
42: 제1회전중심리브 44: 제2회전중심리브
50: 제1커버 51: 제1고정부
51': 제1결합걸이편 52: 제1몰드힌지
52': 제1차폐부회전중심 53: 제1보강리브
54: 제1연결부차폐부 56: 제1고정걸이편
57: 제1고정핀 58: 제1레버
59: 제1스컷트부 60: 제2커버
61: 제2고정부 62: 제2몰드힌지
62': 제2차폐부회전중심 63: 제2보강리브
64: 제2연결부차폐부 66: 제2고정걸이편
67: 제2고정핀 68: 제2레버
69: 제2스컷트부 70: 손잡이
72: 탄성걸이편 74: 가이드리브
76: 보강연결리브 80: 전선
82: 전선터미널 90: 커넥터
92: 하우징 94: 터미널
96: 누름돌편

Claims (9)

  1. 내부에 부품이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상에 장착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를 차폐하는 제1 및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버에는 각각 상기 버스바를 차폐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에 대해 회전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일부가 상기 상부커버를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차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제1커버측벽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1몰드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차폐하며 상기 상부커버의 제1걸이벽에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지는 제1레버를 구비하는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와,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몰드힌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차폐부회전중심과,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연결부차폐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고정걸이편과 제1고정핀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버스바가 위치되는 공간이 각각 제1커버측벽의 쌍과 제2커버측벽의 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측벽의 쌍 내에 안착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1커버의 제1고정부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제2커버측벽의 쌍 내에 안착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2커버의 제2고정부에 의해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제2커버측벽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2몰드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차폐하며 상기 상부커버의 제2걸이벽에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지는 제2레버를 구비하는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와,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몰드힌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차폐부회전중심과,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2고정걸이편과 제2고정핀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폐부회전중심은 각각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된 제1및 제2 회전중심리브의 쌍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차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제1 및 제2스컷트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의 선단에는 탄성걸이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이편의 양단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차폐부에 의해 차폐되는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선단의 누름돌편이 상기 탄성걸이편의 선단 상면에 안착되어 탄성걸이편을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몰드힌지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를 가로질러서는 제1 및 제2 보강리브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차폐부의 회전중심인 제1 및 제2 차폐부회전중심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KR1020110076116A 2011-07-29 2011-07-29 전원분배장치 KR10135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16A KR101352636B1 (ko) 2011-07-29 2011-07-29 전원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16A KR101352636B1 (ko) 2011-07-29 2011-07-29 전원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64A KR20130014164A (ko) 2013-02-07
KR101352636B1 true KR101352636B1 (ko) 2014-01-21

Family

ID=4789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16A KR101352636B1 (ko) 2011-07-29 2011-07-29 전원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0213B (zh) 2013-05-16 2018-01-23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电池组电子装置室和包括其的电池封装件
KR101666869B1 (ko) * 2014-12-23 2016-10-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20230136332A (ko) 2022-03-18 2023-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원블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529A (ja) * 2001-04-27 2002-11-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源分配ボックス
JP2005204356A (ja) 2004-01-13 2005-07-28 Yazaki Corp 電気接続箱
KR20110078990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연결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529A (ja) * 2001-04-27 2002-11-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源分配ボックス
JP2005204356A (ja) 2004-01-13 2005-07-28 Yazaki Corp 電気接続箱
KR20110078990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연결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64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3777B (zh) 電動車輛中之圓柱型電池的搭載構造
JP5211081B2 (ja) 電気自動車の電気部品搭載構造
JP5595228B2 (ja) 電動車両
US9193410B2 (en)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US9409495B2 (en) Vehicle apparatus attaching structure
EP2623404A1 (e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KR101352636B1 (ko) 전원분배장치
KR20110001013A (ko) 전원 연결 박스
JP2007069801A (ja) 電源装置の車両搭載構造
KR20110078990A (ko) 전원연결박스
CN108973710B (zh) 电动车辆
JP5853714B2 (ja) 自動車の充電ソケット取付構造
KR101859088B1 (ko) 자동차용 블록
WO2012153413A1 (ja) 車両
KR10228177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JP5212150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JP5182150B2 (ja) ケーブル保持構造
JP2006347261A (ja)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WO2018179297A1 (ja) 鞍乗り型車両のバッテリ支持構造
JP4001728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102382584B1 (ko) 충전 인렛
CN108511303A (zh) 保险盒盒体、保险盒盒盖、保险盒体组件和汽车保险盒
KR102514402B1 (ko) 전기자동차용 전력 분배장치의 통합형 모듈
JP6879185B2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
CN208085508U (zh) 一种交直流充电口集成式防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